A Study on the Frequency of Falls, Fear of Fall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따른 낙상발생빈도, 낙상두려움 및 지각된 건강상태

  • Shin, Kyung-Rim (Division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 Kang, Younhee (Division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 Jung, Dukyoo (Division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 Kim, Miyoung (Division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 Yun, Eun-Suk (Division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 Ma, Rye-Won (Division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 신경림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
  • 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
  • 김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
  • 윤은숙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
  • 마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학과)
  • Received : 2011.08.31
  • Accepted : 2011.11.18
  • Published : 2011.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falls, fear of falling, perceived health status, and number of disease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in community-dwelling the elderly women. This study utiliz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or six months with 311 elderly women who visited in public health center at S city. After obtaining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approval, a face-to-face, and privat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who was eligible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by trained graduate-level nursing students.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MoCA-K, K-MMSE, Fall Efficacy Scale, PH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7.0 program, which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Correl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71.68±5.13 and cognitive function score was 22.14±4.32. approximately 35% of participants had fallen within one year.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3) fear of fall and cognitive funct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strategies for preventing fall. Interventions for fall prevention and fear of fall enhancement should be developed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Reducing the fear of falling through the comprehensive nursing intervention will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에 따른 낙상발생빈도, 낙상 두려움,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S시 S구 보건소에 방문하는 대상자로 65세 이상 여성 노인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 9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사전에 교육을 받은 간호학과 대학원생 조사원들이 일대일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311명의 평균연령은 71.68±5.13세였고, 대상자 평균 인지기능은 22.14±4.32점으로 정상 노인 경우 25.25±1.80점, MCI 노인의 인지기능은 18.02±3.57점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간 낙상을 경험한 대상자는 109명으로 전체 35%였고 대상자의 평균 낙상 횟수는 1회 이하가 78%에 해당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나이가 많을수록 인지기능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인지기능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두 그룹(MCI그룹, 정상 인지그룹)간 낙상횟수 및 낙상두려움, 지각된 건강상태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인지기능이 좋은 그룹에서 스스로 지각하는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기능과 낙상횟수, 낙상두려움 및 지각된 건강상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낙상 두려움은 인지기능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는 인지기능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즉 인지기능이 떨어질수록 낙상 두려움의 증가와 지각된 건강상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향후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노인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두 가지의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인지기능 상태를 고려하여 낙상 두려움과 지각된 건강상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되지 않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른 요인들을 포함하여 병원, 노인 요양시설 등 다양한 곳에 거주하고 있는 남·여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인지기능 향상과 낙상예방을 위한 포괄적인 교육을 통해 낙상두려움을 감소시키고 낙상 발생률을 낮추면, 궁극적으로 노인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