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cation shadow are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환경변화에 적응하는 효율적인 그림자 제거 기법 (An Efficient Shadow Removal Technique adapted to Environmental Changes)

  • 류남훈;반경진;오경숙;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04-210
    • /
    • 2009
  • 영상 감시 분야 중 침입자를 자동으로 인식해 내는 기술의 전처리 과정인 배경 분리 방법과 이동하는 객체의 주변에 있는 그림자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이동하는 객체와 그림자의 분리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 이동 객체의 정확한 형태 분석이 어려우며, 위치 추적 또한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명도 값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림자 영역이 배경 영역과 비교하여 색상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고, 명도 차이만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한 방법으로, 이전 프레임에서 그림자 제거에 사용했던 임계값을 다음 프레임에서 갱신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 PDF

음영 지역을 위한 다중 중계기 기반의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화 OFDMA 전송 시스템 (Space-Frequency Block Coded OFDMA Transmission System using Multiple Relays for Shadow Area)

  • 원희철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8
    • /
    • 2014
  • 음영 지역 해소 및 셀 커버리지 확대를 위하여 중계기를 활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계기를 통해 다중 경로가 확보된 음영 지역에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를 적용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다중 중계기에서 복원된 전송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를 적용하여 재전송함으로서 음영 지역 내 단말기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화 OFDMA 전송 시스템의 성능이 기존의 단일 경로 OFDMA 전송 시스템의 성능보다 우수함을 확인한다.

전파 음영지역을 고려한 정밀한 RTLS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ecision RTLS in the Radio Shadow Area)

  • 손상현;최훈;정연수;백윤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4A호
    • /
    • pp.401-407
    • /
    • 2010
  • 최근 모바일 장치가 널리 이용됨에 따라 사용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간 위치 측정 시스템이 사용된다. 무선 신호의 통신을 토대로 위치 측정을 수행하는 RTLS에서 많은 장소에서 발견되는 무선 통신이 어려운 무선 신호의 음영지역은 위치 측정 성능을 저하시키기에 극복해야 한다. 음영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조 태그 기법과 방향성 안테나를 활용해 하나의 리더를 이용한 위치 측정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RTLS에서 음영지역의 문제를 위치 측정 성능을 유지하며 극복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여 실험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위치 측정 성공률은 38% 향상되었고 위치 측정 정밀도는 CEP 기준으로 1.13미터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전파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항로표지관리용 하이브리드 통신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brid communication system to remove the communication shadow area for controller system of navigational aids)

  • 전중성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409-417
    • /
    • 2013
  • 하이브리드 통신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신호처리 제어보드는 저전력의 8-bit 마이크로콘트롤러인 ATxmega128A1으로 설계하였으며, 마이크로콘트롤러는 하이브리드 통신을 위한 모뎀과 GPS 모듈 등을 직렬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8개의 UART 포트가 갖추어져 있으며, CLI(Command Line Interpreter) 프로그램은 각 포트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환경에 맞게 설정할 수 있으며, 내부에 2K 바이트의 프로그램 매개변수와 프로그램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EEPROM과 128K 바이트의 플래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8K 바이트의 S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항로표지의 원격 관리를 VHF, CDMA, TRS 통신의 경로설정 최적화(Path Optimization)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하면 개별 통신 방식별로 음영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통신방식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통신 음영지역의 해소가 가능하다. 또한 통신장치마다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호환성을 높였다. 실험은 30일 동안 각 부표에서 매 5분마다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데이터 수신율은 99.4 % 이상을 보였다.

차량 그림자 누적을 통한 검지 영역 자동 설정 및 교통량 측정 방법 (Automatic Detection of Vehicle Area Rectangle and Traffic Volume Measurement through Vehicle Sub-Shadow Accumulation)

  • 김지완;이재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885-1894
    • /
    • 2014
  • 기존 영상 검지기 분야에는 다양한 고성능 알고리즘들이 존재하지만 실시간 연산 요구량이 너무 많아 시스템 장비가 고가, 고전력을 소모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저가, 저전력 영상 검지 시스템 구현을 위해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성능 사양에 적합한 저연산량의 영상 검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방법은 차량 하부에만 생성되는 sub-shadow 를 분리하여 이를 누적함으로써 차선 및 검지 영역을 정밀하게 설정하고 이 검지 영역을 통과하는 차량 자체와 차량 sub-shadow 의 통과패턴을 판단하여 차선별 교통량 뿐만 아니라 상행 및 하행 교통량까지 자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하행 차량의 경우 평균 97.1%, 상행 차량의 경우 평균 94.1%의 검지율을 보였다. 이 결과는 상용 루프검지기의 성능 95% 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만족스러운 성능을 보였다.

산림 벌목 작업자간 측위 기반 스마트 안전모 (Location-based smart hard hat for deforestation workers)

  • 박창수;강윤희;김유리;김진래;박수빈;강명주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3-10
    • /
    • 2022
  • 산림 벌목과 같은 통신이 안되는 고위험 작업장은 작업자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비상상태 발생시 작업자 위치에 따른 정보를 획득하는 장비 활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산림 벌목 작업자들이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 안전모의 개발과 실증 실험을 분석한다. 개발된 스마트 안전모는 위치추정을 위해 UWB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작업자 간의 거리를 가깝게 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통신 음영 지역에서도 통신할 수 있도록 UWB, Gyro, LoRa 방법을 사용한다. 산림작업 환경의 작업자 위험 및 위험 저감을 위한 개선된 건설 등 안전 작업환경 제공에 사용한다.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한 항로표지의 원격관리 제어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le-controller System of Navigational Aids Using Hybrid Communication)

  • 전중성;오진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842-848
    • /
    • 2011
  • 다중통신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통신 제어보드는 저전력의 8-bit 마이크로콘트롤러인 ATxmega128A1으로 설계하였으며, 마이크로콘트롤러는 다중통신을 위한 모뎀과 GPS 모듈 등을 시리얼 인터페이스 하기 위한 8개의 UART 포트가 갖추어져 있으며, 내부에 2K 바이트의 프로그램 매개변수와 프로그램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EEPROM과 128K 바이트의 플래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8K 바이트의 SRAM으로 구성되어 있다. 항로표지의 원격 관리를 CDMA, TRS, RF 등 하이브리드 통신을 이용하면 개별 통신 방식별로 음영지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최적의 통신방식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통신 음영지역의 해소가 가능하다. 또한 통신장치마다 동일한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의 호환성을 높였다. 실험은 30일 동안 각 부표에서 매 5분마다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데이터 수신율은 85 % 이상을 보였다.

조명 환경에 강인한 얼굴인식 성능향상을 위한 Bilateral 필터 기반 조명 정규화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llumination Normalization Method based on Bilateral Filter for Illumination Invariant Face Recognition)

  • 이상섭;이수영;김중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4호
    • /
    • pp.49-55
    • /
    • 2010
  • 조명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강한 그림자 영역은 반사 영상을 이용하는 얼굴인식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으로써,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강한 그림자 영역과 얼굴의 특징 영역을 구분해 낼 필요가 있다. 한편 Bilateral 필터는 영상 화소 값의 비선형적인 조합을 사용하여 경계영역을 보존하면서도, 전체 영상을 평활화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Bilateral 필터의 특성은 레티넥스 기반 조명 정규화 방법에서의 조명을 추정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평활화 필터에 적합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강한 그림자 영역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Bilateral 필터 기반의 새로운 조명 정규화 방법을 제안한다. Bilateral 필터의 계수는 화소 간 근접성(proximity)과 불연속성(discontinuity)의 곱으로 설계하여, 추정된 조명 영상에서 강한 그림자 영역이 비교적 정확하게 보존되도록 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은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를 이용하여 인식률을 측정하고, 두 가지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기존의 조명 정규화 방법들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음영 지역을 위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화 중계기 전송 시스템 (Space-Frequency Block Coded Relay Transmission System for a Shadow Area)

  • 원희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776-5782
    • /
    • 2014
  • 음영 지역 해소 및 셀 커버리지 확대를 위하여 중계기를 활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이 널리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계기를 통해 다중 경로가 확보된 음영 지역에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를 적용한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 시스템을 제안하고, 중계기와 수신국 간의 신호 대 잡음 비를 기준으로 음영 지역을 위한 SC-FDMA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한다. 중계기에서 복원된 전송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를 적용하여 재전송함으로서 중계기 기반 SC-FDMA 시스템의 수신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화 중계기 기반 SC-FDMA 시스템의 신호 대 잡음 비 성능이 단일 중계기 기반 SC-FDMA 시스템보다 $10^{-2}$ 심볼 오류율 수준에서 약 5 dB 개선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고온 소결형 실리콘 태양 전지의 High Aspect Ratio 전극 형성이 가능한 Ag 페이스트의 레오로지 특성 연구 (A Study on Rheology Characteristics of Ag Paste for Screen Printing Method for Silicon Solar Cells Electrodes Capable of Forming High Aspect Ratio)

  • 오태현;김성빈;남수용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4
    • /
    • 2010
  • Photovoltaic solar cells are all in the incident because they are not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high-efficiency solar cells in order to reduce the loss of elements must be. Significant factor in the loss of solar cells, optical loss and electrical loss can be divided into. Optical losses occur when the sun will be join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on, the shadow loss due to electrodes, and the losses are in the solar wavelengths. Commercialization is currently the most common solar cells on the fron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electrode is formed. Therefore, the shadow caused by the electrode to cover the dead area of the sun, due to factors that hinder the absorption of sunlight which is shadowing them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solar cells is the inhibition factor. These barriers to eliminate the electrode linewidth reduces the shadowing to reduce, but simply of the electrode line width is reduced electrode area by reducing the series resistance elevates this because to improve the electrode Aspect ratio(height/width) to increase Ag development of paste is required. In this study, aspect ratio of screen-printing method to increase the electrode Ag paste composition of the binder for the characterization of rheology in the shadow of the electrode by reducing the optical loss of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fficiency of solar cells to boost the performance measures was. Properties and printability of the paste, the binder resin sintered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thermal properties are excellent with a good screen printability acrylic resin, ethyl cellulose, using a resin were evaluated. Prepared paste rheology properties, was formed to evaluate the electrode conductivity and aspect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