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bustion test

검색결과 1,375건 처리시간 0.029초

이중 스월 분사기의 Recess 길이에 따른 성능 평가 (A Study on Performance of Dual Swirl Injector with Different Recess Length)

  • 김태한;조남춘;금영탁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2-69
    • /
    • 2003
  • Swirl형 인젝터는 연소가 안정적이고 효율이 높으며 비교적 넓은 구간의 혼합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바깥쪽 오리피스 끝단에서 안쪽 오리피스 끝단까지의 길이인 Recess 길이는 Swirl형 인젝터 성능의 주요 변수로, 추진제의 충돌, 혼합, 분무, 연소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ecess 길이에 따라 엔진의 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수치해석, 비연소 실험, 연소 실험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Recess 길이에 따른 로켓엔진의 성능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고, 인젝터의 성능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수치해석, 비연소 실험을 통한 성능 예측이 연소실험을 통해 타당한 과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담유 실험에 의한 인화성 액체의 연소 패턴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Patterns of Flammable Liquids by Contained Oil Test)

  • 조희수;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4-20
    • /
    • 2014
  • 본 연구는 인화성 액체를 특정 용기에 담유하고 구획된 공간에서 연소 실험을 실시하여 연소 패턴을 분석하는 데 있다. 담유 실험에 사용된 용기는 깊이 20 mm, 넓이 150 mm의 플라스틱이다. 화염이 착화되어 연소되는 과정은 디지털카메라(digital camera) 및 비디오카메라(video camera)를 이용하여 확보하였다. 화염이 최성기에 도달하는 속도는 벤젠이 가장 빠르고 약 60 s이다. 반면 가장 늦게 것은 알코올이었으며 약 360.0 s로 6배 정도 차이가 있었다. 화염이 최성기에 도달하였을 때 플라스틱 용기와 인화성 액체가 동시에 연소됨에 따라 연기는 대부분 검정색이었다. 연소가 완료된 후유증 검지관(crime investigation tube)을 이용하여 유증을 조사한 결과 대두유를 제외한 모든 인화성 물질에서 유증 채취가 가능했다. 즉, 연소 물질의 종류에 따라 화재의 확산 속도 및 패턴 등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물형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물냉각 연소시험 성능결과 (Combustion Performance of a Full-scale Liquid Rocket Thrust Chamber Using Water as Coolant)

  • 한영민;김종규;문일윤;이광진;서성현;최환석;이수용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7-19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추력 30톤급 액체로켓엔진의 실물형 연소기 물냉각 연소시험 성능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연소기 연소압력은 53bara 그리고 추진제 유량은 90kg/s이다. 30톤급 실물형 연소기에 대한 첫 채널 냉각 연소시험인 관계로 연소실 채널로 냉각수 물을 케로신 설계 냉각 체적 유량의 110%인 35kg/s와 케로신 냉각과 비슷한 성능을 갖는 유량 18kg/s에 대한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연소시험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채널 냉각 연소실에서 냉각 성능이 충분해 케로신 냉각 연소시험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직장착에서의 액체추진제 로켓엔진(KL-3) 불안정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Liquid-Propellant Rocket Engine(KL-3) Unstabl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Vertical Installation)

  • 하성업;권오성;이정호;김병훈;한상엽;김영목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27
    • /
    • 2003
  • KSR-III 발사체를 위하여 개발된 추진기관 공급계와 엔진에 대한 연계시험을 위하여 수직형 시험설비가 구축되었으며, 연소시험이 진행되었다. 수직형으로 장착이 이루어진 시험에서 배플이 없는 엔진은 점화순간 즉시 불안정 연소현상이 발생하였으며, STS 배플과 복합재 배플 엔진의 경우 점화에 의한 불안정 발달이나 연소중 불안정 연소현상은 억제되었다. 배플이 있는 엔진의 경우 정상연소중 비정규적 압력섭동이 일시적으로 발생하였으나, 배플에 의해 음향적 특성을 가지는 불안정 연소로의 발달이 강력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시험을 통하여 복합재 배플을 가지는 최종 개발형 엔진이 비행용 KSR-III 추진기관시스템으로서 정상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용 단일 분사기 연소기와 축소형 연수고 수류/연소시험 결과 비교 (Comparison of Combustion Performance between Single Injector Combustor and Sub-scale Combustor)

  • 김승한;한영민;서성현;문일윤;이광진
    • 유체기계공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유체기계공업학회 2006년 제4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1-454
    • /
    • 2006
  •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cold flow test and hot firing tests of an uni-element coaxial swirl injector and hot firing tests of a subscale combustor, as to the development effort of coaxial swirl injector for high performance liquid rocket engine combustor. A major design parameter for coaxial swirl injector is the recess number of a bi-swirl injector. The results of hot firing tests of the uni-element injector combustor and the sub-scale combustor a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cess number influencing on the combustion performance and pressure fluctuation. The test results of a cold flow test of the unielement combustor shows that it was shown that the change in recess number has significant effect on mixing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while the effect of recess number on atomization characteristic is not The results of a series of firing tests using unielement and subscale combustor show that the recess length significantly affects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the dynamics of the liquid oxygen/kerosene bi-swirl injector. As a point of combustion performance, combustion efficiencies are 90% for unielement combustor and 95% for subscale combustor.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 velocities between the unielement combustor and the subscale combustor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rmal loss to the combustor wall and the relative lengths of the combustion chamber. For a mixed type coaxial swirl combustor, the pressure drop across the injector increases as recess number becomes larger. The low frequency pressure fluctuation observed in unielement combustor can be related to the propellant mixing characteristics of the coaxial bi-swirl injector. The effect of the recess number on the pressure fluctuation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s more significant in un i-element combustor than the subscale combustor, of which the phenomena are also observed in time domain and frequency domain.

  • PDF

강제교란 방법을 이용한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연소안정성 시험 (Combustion Stability Test of LRE Thrust Chamber using Artificial Perturbation Method)

  • 이광진;서성현;한영민;최환석;고영성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2-60
    • /
    • 2010
  • 이중와류 동축형 분사기가 사용된 추력 30톤급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연소안정성시험을 강제교란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지상연소시험설비에서 수행하였다. 시험에는 분사기 리세스 수, 배플 길이, 막냉각 및 연소실 직경과 같은 설계 요소가 변경된 연소기가 사용되었으며 시험결과는 이 변수들이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고주파 연소안정성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강제교란에 의한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연소안정성 분석에 있어서 감쇠시간 대신 진동 감분을 사용한 결과로부터 감쇠인자의 증가는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고주파 연소안정성 향상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VOF와 FSI 방법을 적용한 CBT 연소 정밀 모델링 및 해석 (CBT Combustion Precise Modeling and Analysis Using VOF and FSI Methods)

  • 강정석;박종근;성홍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5-4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고체추진제를 사용하는 closed bomb test(CBT)의 연소에 대한 정밀 모델링 및 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상과 고상을 동시에 해석하기 위해 fluid structure interaction(FSI)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기체상과 그레인의 연소해석은 Eulerian 방법을, 그레인의 이동은 Lagrangian 방법을 적용하였다. 고체상의 그레인과 연소가스의 상호 작용은 소스텀을 통해 완전 결합(fully coupled) 되도록 하였다. 그레인의 연소거리와 연소면의 이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volume of fluid(VOF) 방법을 사용하였고, 그레인에 작용하는 힘은 그레인 연소면에 작용하는 압력과 중력을 고려하고, VOF의 속도항에 그레인 연소속도와 그레인 이동속도를 고려하였다. 개발한 수치모델을 바탕으로 1개와 3개 그레인에 대한 연소해석을 수행하여 실험결과와 비교 검증하였다. 연소시에 나타나는 압력 섭동에 대한 음향장을 분석하였다.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ulip Tree (Liriodendron tulipifera) for Use as Interior Building Materials

  • Min Ji KIM;Sang-Joon LEE;Sejong KIM;Myung Sun YANG;Dong Won SON;Chul-Ki KI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5호
    • /
    • pp.410-418
    • /
    • 2023
  • In this study,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Tulip tree, which is the representative broad-leaved afforestation tree in Korea, were analyzed. The flame retardant performance of the Tulip tree was analyzed by analyz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on a total of three test samples; flame retardant treated,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and untreated. Then the flame retardance grade was classified for each of them. According to the result, test samples showed the strongest flame retardance were in order of flame retardant treated (C),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B), and untreated (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otal heat emission and maximum heat emission rates, which is the evaluation standard for interior materials of Korean domestic buildings, test samples with flame retardant treat or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 treat were qualified for the flame-retardant standard. Both flame retardant and oil stain-treated samples showed higher total heat release (THR) and heat release rate compared to flame retardant-treated samples as the oil causes combustion with oxygen. On the other hand, they didn't qualify the THR in Quasi-non-combustible standards.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ood,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other diffuse porous wood species, with which the Tulip tree is affiliated were analyzed, and noticed that the characteristic correlates with the density and quantity of w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Tulip tree.

On the Method for Hot-Fire Modeling of High-Frequency Combustion Instability in Liquid Rocket Engines

  • Sohn, Chae-Hoon;Seol, Woo-Seok;Valery P. Pikalov
    •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010-1018
    • /
    • 2004
  • This study presents the methodological aspects of combustion instability modeling and provides the numerical results of the model (sub-scale) combustion chamber, regarding geometrical dimensions and operating conditions, which are for determining the combustion stability boundaries using the model chamber. An approach to determine the stability limit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injectors is described intensively. Procedures for extrapolation of the model operating parameters to the actual conditions are presented, which allow the hot-fire test data to be presented by parameters of the combustion chamber pressure and mixture (oxidizer/fuel) ratio, which are customary for designers. Tests with the model chamber, based on the suggested scaling method, are far more cost-effective than with the actual (full-scale) chamber and useful for injector screening at the initial stage of the combustor development in a viewpoint of combustion instabilities.

고온, 희박공기 연소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High Temperature and Low Oxygen Air Combustion)

  • 정대헌;양제복;노동순;김원배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7
    • /
    • 1998
  • High temperature preheated and diluted air combustion has been developed as the technology to realize higher thermal efficiency. In this type of combustion, there are many interesting phenomena which cannot be observed in room temperature air combus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investigated using a 3500 kcal/h LPG fired test facility, are described. The flame is demonstrated to have a blue and green in color and has a large volume. As the preheated air temperature increased up to $1000\;^{\circ}C$, the NOx emission incrased exponentially over a few hundred ppm with 11% $O_2$ correction. But, it drastically reducedabout 20ppm when the air was diluted from 21% $O_2$ to 5% $O_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