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or Design

검색결과 3,565건 처리시간 0.037초

실내 색채 디자인 지원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Design Support System for Selecting Color Combination)

  • 고경진;정선영;이현수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65-68
    • /
    • 2001
  • Color is an imfortant factor for interior design. But both selecting the appropriate color and combinating many color are not easy. Actually designers spend much time searching interior images published in magazine to refer to previous cases of the color combination. And the side up, they undergo a process to try to search own hoping color in the interior design example of the magazine. As an alternative to avoid this inefficient process, this study provides a method to show good cases of color combination. This method can reduce trial and error in the determination the color combination.

  • PDF

컴퓨터 그래픽스의 색상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uter Graphics Color System)

  • 홍석일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229-236
    • /
    • 1998
  • 컴퓨터가 컬러 색 체계를 갖게됨에 따라 컴퓨터 그래픽스는 중요한 기술적 진보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컴퓨터에서 구현되는 색 체계는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빛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인쇄 잉크나 물감에 의한 기존의 색 체계와는 전혀 다른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기존의 디자인 프로세스나 사진에서의 색 재현이나 호환성에 여러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컴퓨터에 의해 디자인 프로세스가 통합되어 조절, 관리되는 현재의 디자인 시스템에서는 정확한 색의 재현과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색 체계의 역할과 그 기능을 고찰하고, 컴퓨터 그래픽스에 있어 컴퓨터 색 체계의 특성을 전통적인 색 체계와 비교, 분석하여 컴퓨터의 기술적인 표현이 가져다주는 조형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컴퓨터를 이용한 재현과 디자인 프로세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주거공간 실내이미지에 따른 색채팔레트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color palettes leer the residential interiors according to the image types)

  • 하승아;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호
    • /
    • pp.72-7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lor palettes which are applicable to the color deign process for residential interiors according to the image types. To achieve this purpose, review of literature, questionnaire survey, and contents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interior color images are clearly divided into 4 types, such as 'sophisticated', 'natural', 'gorgeousl', and 'casual'From the results of color palette, these 4 color image types are found to b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interior image. It means that color image is very important element in Interior design process. Therefore, it is helpful to plan the color design according to the image types of interior color for good interior design.

  • PDF

H사 공장의 환경 색채 디자인 (Environmental Color Design for the Factory of the H. Company)

  • 김정근;주정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33-234
    • /
    • 2005
  • The design in this study is making a plan for the exterior color design for the factory of the H. company. The concept of this design is an integrated color program conside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s and the functional features of the factories. And this program is bas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forming the men-friendly, professional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friendly, factory image. The scope of this design was limited to the exterior color for 1 office building and 3 factory buildings, including 7 attached facilities. All the 6 colors were selected, and the blue, the company logo color, is the main color.

  • PDF

Multi-Axis-Adjusted System for Color Reproduction

  • Hsieh, Pei-Lin;Li, Yu-Hung;Lin, Shih-Chieh;Lin, Hsiang-Ta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9년도 9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554-1556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o adjust specific color of image. The HSV of R/Y/G/C/B/M regions can be modified individually. The color reproduction can be preferred color, true color, or stander color for customer requirement.

  • PDF

자동차 인테리어 배색 디자인을 위한 색상배색 지원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Color Coordinate Support System for Car Interior Color Design)

  • 박정순;정지원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57-62
    • /
    • 2001
  •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에 있어서 색상은 외형 디자인과 함께 사용자의 감성적 평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 주된 이유로 자동차 프로토타입 모델의 완성 전에 가상적인 색상배색 시뮬레이션을 해 볼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의 미약을 들 수 있다. 다행히 최근의 컴퓨터 하드웨어 발달로 자동차 색상계획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색채배색 효과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상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감성척도를 기반으로 색상배색 디자인을 지원할 수 있는 자동자 인테리어 색상배색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원 시스템은 색상감성 요소의 수집을 위한 정보수집 모듈, 색채감성과 색상속성의 상관관계를 추출하기 위한 컬러 감성해석 모듈, 디자이너의 색상 배색을 지원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듈, 도출된 배색의 평가 테스트를 위한 평가지원 모듈로 구성된다.

  • PDF

개인의 색채이미지 유영에 의한 국내 색조화장품의 스토리 개발과 색채 계획 (A Development of the Color Story and Color Scheme for Domestic Makeup Product Based on the Personal Color Images)

  • 김영인;주미영;이현주;김희연
    • 복식
    • /
    • 제55권6호
    • /
    • pp.1-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keup color range for developing the new makeup product line of domestic cosmetic brand, and suggest the special color stories and color palettes appropriate to characteristics of brand image For this study, personal color image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of Korean womens' skin rotor like korean PCDS and japanese PCS. Also, a total of 3879 colors were selected from the 18 cosmetic brands and were analyzed by hue/tone color system. Based on the color analysis, the color range for makeup products are determined, and the typical colors of 4 personal color images are suggested. As a results, personal color images are classified into 4 types: DEW of p, lt, b tone; FLASH of s, v tone; MIST of ltg, g, sf, d tone; TERRA of dk, dkg, dp tone. we developed the color stories through five senses and lifestyles based on the consumers' emotion, and the rotor palettes suitable to each type of personal color images are developed.

패션 디스플레이의 색채 디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olor Design in Fashion Display)

  • 확미림;김철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1-128
    • /
    • 2019
  • 패션 디스플레이는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중의 하나이다. 오늘날 소비자의 심미가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이 패션 매장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색채 디자인은 디스플레이에서 심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심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디스플레이의 색채 디자인 중심으로 색채 디자인의 현황, 감정적인 특성, 또한 디스플레이의 색채 디자인의 심리 및 생리적 기능을 살펴보고자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이러한 연구의 기초 위에 색채 디자인 방법과 규칙을 연구한다. 하는데, 그리고 배색미의 원칙을 파악하고, 패션 디스플레이에서의 색채 디자인의 효과를 더 잘 얻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의 색채 디자인의 향후의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인 색채매치에 중점을 둔다. 둘째 매장의 구조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과학적 합리적 배색 질서를 강조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후의 색채 디자인에 관한 연구에 긍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판단한다.

한국 디지털 전통색채이미지를 이용한 배색유형 개발 (A Development of Color Prototypes Based on Digital Color Image Analysis)

  • 이현수;김준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240-24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duce color harmony code based on color harmony prototype in terms of environmental color design. This paper proposes ways of categorizing more accurate color harmony prototype through digital image processing by the computer program called the Color Syntax. The method of analysis adopted in this paper is pixel based color image processing. The study suggests color harmony prototype which are categorized by a color harmony angles. These angles represented internal relations between colors. This study describes development processes of color harmony prototype which is a basis for creating color harmony codes. Development processes of color harmony schema consists of color analysis, color codes generation and color selection. Also, how to analyze color images and to chose suitable harmony color codes among various codes are main research issues. As a final result, 109 color harmony codes have been obtained. These code numbers are suggested through rotating 2 color pairs in a 360-degree arc in the same color harmony angles, the codes which is applicable to the color harmony schema previously developed. This color harmony codes will produce better color environment in a sense that it will help designers to maximally reduce their time consumption, and the results of their designs will also be related to the use of proper color for regional environments.

디지털 이미지 색채분석을 이용한 재택근무 공간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Harmony Scheme of the Home Office Based on Digital Color Image Processing)

  • 정현원;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62-17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al color of home office and the trendy color with special comparison of office and library colors, and to suggest the harmony of color combination of home office based on the emotional color of this analytical data. this study, the Color Syntax Program, digital tool for color analysis of images i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in color of home office images shows three color classifications of YR-Y, Y-GY, R-YR, and with relatively high ratios of YR-Y in the color of home offices, and B-PB, GY-G in offices and libraries. Secondly, from the point of emotional aspect, the trendy color of the home offic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olor image categories: 'natural', 'peaceful', 'mild', and 'noble'. Under those categories this paper proposes 10 color harmony scheme that can be applied to color of home office interior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