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Graduates

검색결과 560건 처리시간 0.022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편입학 학생들의 GPA 분석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of Transferred Medical Students in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승희;양은배;전우택
    • 의학교육논단
    • /
    • 제9권2호
    • /
    • pp.41-48
    • /
    • 2007
  •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s about to adopt a new admission system in 2009 for postgraduate medical school. in which 4-year college graduates apply to it, instead of applying of high school graduates to undergraduate medical school. For preparing the new system, now, an admission policy is being intensively investigated. In the present admission system in Yonsei College of Medicine, college or university graduates with diverse majors such as pharmacy, biochemistry, engineering, social science and so on other than a medical major can be transferred into the undergraduate medical course when vacancy for enrollment is availabl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transferred students for establishing a new admission system. In this study, the GPAs of 94 medical students transferred for 1998 to 2006 years were analyzed regarding academic and personal background, and compared with those of untrans- ferred medica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some features. Particularly, the GPAs of transferred students with t he majors of art and social sciences were not lower than those with the major of natural sciences while transferred students with majors of pharmacy. veterinary science, nursing science, and biotechnology had their high academic achievements during the undergraduate medical courses.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모형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for Graduate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Job Sui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 이만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245-266
    • /
    • 2010
  • 지금까지 대졸자에 대한 연구는 대졸자의 취업, 임금 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가 취업을 하였다면 과연 자신의 수준에 맞는 일자리를 얻게 되었는지 아니면 현재 자신의 직무에는 만족하는 지에 대한 연구로 확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07년도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사용하여 대졸자의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졸자의 직업가치관,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가치관은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일자리적합과 직무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대학 취업지원프로그램 참여는 취업 시 직무만족과 일자리적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밖에 일자리적합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대졸자가 재학 시 갖는 직업에 대한 가치관이 매우 중요하며 취업 시에 일자리적합이나 직무만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 가치관이 높은 사람은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고 취업 후 일자리 적합이나 직무만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의 각종 취업지원프로그램이 대졸자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교 당국과 고용센터 등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직업 가치관을 심어 줄 수 있도록 가치관교육을 강화하여야 하며 대학의 취업지원프로그램을 개선하고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울산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Industrial Workers at Ulsan Province)

  • 김연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3
    • /
    • 2009
  • 본 연구는 울산 현대 중공업 근로자 244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구강건강 수준 및 인식도와 행태를 분석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근로자의 예방목적 치과방문은 20대 보다 50대가 높았고(p < .001), 구강위생용품 사용은 중학교 졸업군보다 대학교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5). 2. 구강보건지식은 중학교 졸업 군보다 고등학교 졸업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5). 1일 잇솔질 횟수는 3-5회가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p < .01), 교육정도별로는 중학교 졸업보다 대학교 졸업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3. 구강건강상태에서 연령별은 50대 군보다 20대 30대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1). 교육정도별은 중학교 졸업 군보다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구강건강 감수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중학교 졸업 군보다 대학교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5). 4. 치과방문, 발치 수, 잇솔질 횟수 간의 상관관계는 치과방문과 구강보건지식 간에 가장 큰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r = .233, p = .001). 구강보건지식과 잇솔질 횟수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 = .161, p = .05). 또한 잇솔질 횟수와 발치 간의 관계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r = -.145, p = .05).

  • PDF

일 대학의 RN-BSN 교육과정 평가 (A Study on Evaluation of an RN-BSN Program in a Nursing School)

  • 오가실;이경자;김인숙;김희순;오의금;이주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8-45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verall RN-BSN program, current curriculum, and student outcomes in one nursing college. Method: A cross- sectional survey was used for current students (n=152) and graduates (n=54). Three different instruments were used in this study; K-Regis University RN-BSN Program Evaluation Tool, Curriculum Evaluation Tool, and Outcome Evaluation Tool. Result: Results showed that overall the program was satisfying to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However, curriculum evaluation showed that clinical practicum and nursing skill courses were generally unsatisfying, indicating further changes in these areas. Graduates showed higher leadership and professionalism than current students in the outcome evaluatio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indicates a need for further studies such as review of the RN-BSN program philosophy and education method, or program evaluation by periods.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a strategic plan to develop the RN-BSN program in the future.

대학생의 공무원시험 준비가 취업, 보수,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Government Official Recruitment Exams)

  • 김태일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1호
    • /
    • pp.119-13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공무원시험 준비가 그들의 취업 및 직장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공무원시험 준비는 대학재학기간을 다소 연장시킨다. (2) 대학생의 공무원시험 준비는 취업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3) 민간기업 취업자만을 대상으로 할 때, 공무원시험 준비 경험은 보수에 다소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4) 공무원시험 준비를 하다가 민간기업에 취업한 경우는 공공부문에 취업한 경우 및 처음부터 공무원시험 준비를 하지 않고 민간기업에 취업한 경우에 비하여 직업만족도가 낮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기본적으로 대학생들의 공무원시험 준비에 대해 주변에서 갖는 일반적인 우려와 부합한다. 그러나 그 크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염려하는 것보다는 작음을 보여 준다.

  • PDF

지역이동이 대졸자의 임금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Internal Migration on Wage Growth among College Graduates)

  • 최광성;강동우;최충
    • 노동경제논집
    • /
    • 제41권2호
    • /
    • pp.61-88
    • /
    • 2018
  • 본 연구는 대졸자가 첫 직장에서 두 번째 직장으로 이행할 때, 지역이동이 이주자의 임금에 미치는 효과를 이중차분매칭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이동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이동으로 정의하였고, 특히 지역이동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상호 이동의 임금상승 효과를 각각 추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졸자직장이동경로조사(2010GOMS)를 이용하였으며, 성향점수 추정에는 대졸자의 개인 특성뿐만 아니라 대학수학능력시험 백분위 점수 및 지역특성 변인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의 이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임금상승 효과가 나타났다.

  • PDF

부산지역 초등학생의 영양교육에 대한 학부모 인식 I -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중심으로 - (Mothers' Perceptions on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rea I - A Demographical Factor Approach -)

  • 김혜란;신은수;류은순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4권3호
    • /
    • pp.276-290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mothers' perceptions on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al factor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mothers of 5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Busan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50%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the preschool years or the lower elementary grades were proper times to start nutrition education. Furthermore, they preferred school dietitians (55.4%), outside professional dietitians (16.3%), nurse teachers (13.8%), class room teachers (11.7%), and parents (2.8%) as nutrition educators. The mothers who were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had significantly (p<0.001) higher scores regarding the necessity of nutrition education for student growth when compared to mothers who were high schools graduates. However, the high school graduates had significantly (p<0.001) higher scores than the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with respect to nutrition education for correcting obesity. The order of importance for nutrition education curriculum content was as follows: eating habits, food safety, health and disease, maintaining ideal body weight, food waste and environment, basic food knowledge, and traditional foods. The college and university graduates, and those of 'A' group schools, had significantly (p<0.001) higher importance scores for proper eating habits. Mothers having experience with nutrition education comprised 43.9% of the subjec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ly (p<0.05) higher percentage of employed mothers as compared to unemployed. Eighty-six percent of the respondents wanted to receive nutrition education. For more effective learning, they preferred in-person group education rather than correspondence education using e-mails or printed materials from schools.

  • PDF

이공계 대졸여성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omen Graduat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 한성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577-583
    • /
    • 2020
  • 본 연구는 이공계 대졸여성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학계열과 자연계열의 전공별로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차이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진로준비행동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2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원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8월과 2012년 2월 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이공계전공 여성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2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원 데이터에서 연구대상인 이공계 전공여성 1,569명의 표본(공학계열; 649명, 자연계열;920명)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9.0을 사용해 빈도분석, 독립표본t검정,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준비행동을 고려하지 않고 전공 선택 이유, 대학유형, 대학소재지, 계열만을 통제하였을 때는 4년제 대학이 전문대보다 고용안정성이 좋고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나 전공 선택이유, 대학유형, 대학소재지, 계열 등의 통제변수와 진로준비행동 변인을 같이 사용하였을 때는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라는 대학유형간이 고용안정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진로준비행동을 체계적으로 하여 본인 적성에 맞도록 소신 있게 대학을 선택했을 경우 대학유형은 직무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대졸자의 대학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따른 특성 차이: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을 중심으로 (Analysis of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by College Graduates'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Regret: Focused on College Life, Employment Goal, First Job Satisfaction)

  • 강혜영;정태종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5-165
    • /
    • 2017
  • 본 연구는 대졸자를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대해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전공선택 후회여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전공선택 후회이유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에 따른 네 집단 간에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 등에 차이가 있는가 하는가?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흥미나 적성과 같은 내적동기로 전공선택을 할 경우에 외적동기의 경우보다 적게 후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동기로 전공선택을 한 경우에 가장 큰 후회이유는 '취업의 어려움'이었으며, 외적동기의 경우에는 '적성에 맞지 않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와 전공선택후회여부에 따른 네 집단 간에 대학생활, 취업목표, 첫 일자리 만족도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Utiliz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Recruitment Predictions of IT Graduates in the Saudi Labor Market

  • Munirah Alghamlas;Reham Alabduljabba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3호
    • /
    • pp.113-124
    • /
    • 2024
  • One of the goals of the Saudi Arabia 2030 vision is to ensure full employment of its citizens. Recruitment of graduates depends on the quality of skills that they may have gained during their study. Henc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ensuring that graduates have sufficient knowledge about the in-demand skills of the market are necessary. However, IT graduates are usually not aware of whether they are suitable for recruitment or not. This study builds a prediction model that can be deployed on the web, where users can input variables to generate predictions. Furthermore, it provides data-driven recommendations of the in-demand skills in the Saudi IT labor market to overcome the unemployment problem.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online job portals: LinkedIn and Bayt.com. Thre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namely, Support Vector Machine, k-Nearest Neighbor, and Naïve Bayes were used to build the model. Furthermore, descriptive and data analysis methods were employed herein to evaluate the existing gap. Results showed that there existed a gap between labor market employers' expectations of Saudi workers and the skills that the workers were equipped with from their educational institutions. Planned collaboration between industry and education providers is required to narrow down this g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