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ve competency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6초

집단역량과 집단응집성의 상호작용이 팀성과에 미치는 효과 (An interactive effect of collective competency and group cohesiveness on team performance)

  • 신수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124-5129
    • /
    • 2012
  • 조직이 성과를 내기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개별적인 역량뿐만 아니라 이들이 집단화 되었을 때 나타나는 집단역량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집단역량과 응집성의 상호작용이 팀성과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국내 대기업 L사의 종업원 438명, 52개 팀을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응집성이 고려되지 않은 구성원들의 개별 역량의 합산 그 자체로는 경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역량이 고려되지 않은 집단응집성도 팀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집단역량과 응집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집단성과에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실제 인사평가 자료와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자료를 모두 사용함으로써 결과의 객관성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도 함께 제시하였다.

국제 성인역량측정 프로그램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 분석 (Analyses of Contents of Adult Competency in PIAAC)

  • 송경오;권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72-782
    • /
    • 2016
  • 실제 작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천능력이 중요하다는 최근 이슈에 부응하여 OECD에서는 국제 성인역량 측정 프로그램(PIAAC)을 개발하여 24개국 15만 7천 명 성인의 역량을 측정한 바 있다. 이 연구는 성인역량의 구체적인 개발 전략 수립에 앞서 성인역량 측정 프로그램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의 타당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PIAAC에 나타난 성인역량 콘텐츠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문헌을 활용한 개념적 분석을 통해 이 연구는 첫째,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성인의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실천력을 측정하기에 타당성이 부족함을 지적한다. 둘째, 성인역량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총체적인 능력임에도 불구하고,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관찰 가능하고 측정 가능한 개별 지식이나 기능의 측면만을 강조한다. 셋째, PIAAC의 핵심역량 콘텐츠는 가시적인 행동요소를 중심으로 인간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인간의 인격적 속성을 배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맥락에 맞는 총체적이고 통합적인 성인역량에 대한 규정이 필요하고, 이를 측정하기에 타당성 있는 콘텐츠를 엄밀히 검토하는 일이 필요하다.

창조경제와 지역: 창조도시의 세가지 원천 (Creative Economy and Region: Three Sources of Creative City)

  • 문미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46-659
    • /
    • 2014
  • 창조경제의 개념 및 사회적 의미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창조경제에 대한 정책적, 학술적 관심이 증대해왔다. 본 연구는 창조경제가 지역에서 실현되는 방식과 원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IT혁명의 영향으로 현대인들의 네트워크는 질적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어 '연결된 지식'이 창출하는 집단지성, 집단지성이 뿌리내린 '도시' '지역'은 창조 경제의 핵심 인프라가 되었다. 개인의 창조성이 발현되는 창조도시는 세 가지 바탕위에 발전한다. 첫째, 특정산업의 집적으로부터 나오는 지역의 고유성, 장소성을 기반으로 하며, 둘재, 도시의 다양한 개방적 지식정보연계망으로부터 발전한다. 셋째, 해당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치지향성과 지역에 축적된 사회적 자본으로부터 발전한다.

  • PDF

웹 2.0 방식의 직무역량모델링 방법 개발 (Developing a Web 2.0 based Job Competency Modeling Method)

  • 황은동;정윤민;김수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03-215
    • /
    • 2009
  • 현재 상당수 기업에서 인력육성 및 관리 분야에 활용하는 직무역량모델은 현장 업무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개발된 직무역량 모델이 실제 활용에 구체적이지 못해 업무 활용도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한국 기업의 직무역량모델 개발 현황과 이를 기반으로 한 교육체계 개발 현황을 조사한 결과, 종업원 400인 이상 기업의 43.5% 정도가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했으며, 직무역량모델을 개발한 기업 중 31.7%는 만들어진 역량이 상세하지 못해 직무역량을 기반으로한 교육체계를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문제 해결을 위해 '웹 2.0방식의 직무역량모델링 방법'을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으로 개발한 직무역량모델과 대부분 기업의 직무역량을 개발하는 방식인 전문가 중심의 개발된 직무역량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웹 2.0 방식의 개발한 직무역량모델에 대해 역량명의 정확성, 수용성 그리고 역량기술서의 유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환경에 맞는 구체적인 역량이 도출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컨설턴트 역량이 CEO 가치관과 조직의 집단가치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ltant Competency on CEO Values and the Organization's Collective Value Orientation)

  • 송명도;김정렬;유연우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17-27
    • /
    • 2023
  • 본 논문은 컨설턴트의 역량이 CEO의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및 CEO가치관이 직원의 집단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컨설턴트의 역량과 기업성과간의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는 다수 있지만, 컨설턴트의 역량이 CEO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컨설팅 수진 경험있는 중소기업의 CEO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으로 설문한 177부의 자료로 데이터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검증을 하였다. 컨설턴트의 역량이 CEO의 가치관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컨설팅사와 수진기업의 지속적 성장에 대한 경영 관리의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게 되었다.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로- (Case analysis of educational program of museum using online contents -Focusing on Jenkin's new media literacy-)

  • 백근아;허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25-134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온라인 미술관 교육 사례들을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 핵심 역량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젠킨스가 제시한 체계적인 미디어 교육의 핵심 역량은 미디어를 활용하여 콘텐츠를 개발해야하는 온라인 미술관의 향후 방향성에 대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사례 분석을 위해 국내 미술관으로는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사비나 미술관, 보름산미술관을 선택했고 국외 미술관으로는 클리블랜드미술관, 메트로폴리탄미술관, 게티미술관, 테이트모던미술관을 선택했다. 젠킨스의 뉴미디어리터러시 핵심 역량에 따라 분석한 결과로 국외 미술관의 경우에는 화상회의, 사이트 페이지 하단의 댓글 달기 등 상호 소통을 위한 콘텐츠를 구성하고 있었지만 국내 온라인 미술관은 이러한 요소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커뮤니케이션 콘텐츠를 구성하여 전용, 네트워킹, 협상력, 분산된 인지, 집단지성의 역량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대학생의 창업계획 교육과정 참여가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S여대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entrepreneurship planning course on the enhancement of core competencies of entrepreneurship: Focusing on the case of S women's university)

  • 권선아;서희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5호
    • /
    • pp.81-94
    • /
    • 2022
  • 본 연구는 대학이 제공하는 창업계획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여자대학교에서 운영된 사회문제해결기반 창업계획 교육과정에 참여한 여대생 32명(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여대생 31명(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창업가정신 핵심역량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검사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이 참여한 교육과정은 3인이 한 팀이 되어 사회문제해결 기반의 창업계획을 담은 창업계획서를 최종결과물로 도출해야 하는 팀 기반 프로젝트학습 교과목으로 총 8주간 운영되는 교육과정이었고, 사전 및 사후검사에 활용된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는 '가치창출 역량', '도전 역량', '자기주도 역량', '집단창의 역량'을 세부 역량군으로 하는 교육부·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2020)이 개발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실험집단의 교육과정 참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i)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분산이 수행되었으며, 이어서 ii) 집단에 따라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창업가정신 핵심역량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처치(실험집단, 통제집단)와 시점(사전검사, 사후검사)을 두 독립변인으로 하는 이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가정신 세부역량 중 가치창출 역량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도전 역량, 자기주도 역량, 집단창의 역량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운영한 창업계획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가치창출 역량 증진에는 기여하지 못했지만, 도전역량, 자기주도역량, 집단창의역량 증진에는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의 방향이 제언되었다.

보육교직원 보수교육 현황 고찰 및 발전 방안 (Improving the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and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 이미정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7-69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직원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수교육의 현재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현 보수교육체제의 강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보수교육의 한 축을 담당하는 온라인 특별직무교육을 포함하여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현재 실태를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쟁점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수교육 관련 법령 및 정책을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직원 보수교육의 쟁점은 교육과정의 다양화 및 전문성, 교육방법의 다양화, 자격관리, 교육지원 등으로 범주화되었고, 이는 다시 14개의 핵심과제로 정리되었다.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지만 최근에 두드러진 현상으로, 보수교육 현장의 온라인 특별직무교육 참여 증가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수교육' 용어의 변경, 직무교육의 다양화 인정, 직무교육의 학점은행제, 집합교육과정과 동일한 온라인 직무교육(기본과정/심화과정) 제공, 승급교육의 교육지원 확대, 보수교육기관 평가 의무제 전환 등의 발전방안을 제언하였다.

기업체 조직의 협력역량 요인에 대한 팀장과 팀원들의 인식을 통한 타당화 연구 (Validation Through Perceptions between Leader and Team Members on Collaborative Competencies in Corporate Organization)

  • 이유나;하유란;이상수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284-295
    • /
    • 2014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alidate the components of practical collaborative competencie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corporate personnel on practical collaborative competencies. The study reviewed the theories of collaborative intelligence, collective intelligence, cooperative learning, and learning commun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derived seven categories of participative motivation for group activities, ability to share thinking and consciousness, motivation to share experiences, ability to control emotion, ability to promote interaction,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performance as the core competencies. To validate the elements, survey was conducted for 186 corporate personne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nels perceived the following elements as important collaborative competencies: participative motivation for group activities, motivation to form participatory atmosphere, ability to manage conflict effectively, ability to form relationships, ability to form positive team atmosphere.

한국기업의 급진적 제품혁신의 영향요인과 결과 (Determinants and Outcomes of Radical Product Innovations by Korean Firms)

  • 문병준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3-3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급진적인 제품혁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구하였다. 기업들의 제품혁신 (혹은 신제품개발)은 급진성과 빈도 측면에서 그 정도를 달리한다. 제품혁신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기업의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이 기업의 제품혁신의 급진성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기업의 마케팅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개념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텔의 검증을 위하여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마케팅역량, 기술적 역량, 경영자외 위험수용도가 높을수록 급진적 제품혁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가설과는 상반되게 개인적 보상시스템보다는 집단적 보상시스템을 가진 기업일수록 급진적인 제품혁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급자와의 연구개발 제휴를 잘 하거나 고객과의 관계를 긴밀하게 유지하는 기업일수록 급진적인 제품혁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