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ction acquisition divis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초

국가도서관 장서개발부서의 분석 및 역량강화 (An Analysis and Empowerment of Collection Development Department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윤희윤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2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도서관의 장서개발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직역량 강화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주요 선진국(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프랑스, 호주, 뉴질랜드, 일본, 대만) 국가도서관의 납본업무 주관부서를 중심으로 조직체계적 특징을 분석하고 국립중앙도서관의 법정 사무, 정책문서, 장서개발 사무분장을 분석하여 한계와 약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총괄기능 및 납본업무의 집중화, 자료수집과의 명칭변경 및 사무분장의 전면 재구성, 그리고 전담인력 확충 등을 제시하였다.

컨스펙터스방법을 이용한 장서평가연구 (A study of collection evaluation using conspectus methodology)

  • 박진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3-191
    • /
    • 1998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컨스펙터스(Conspectus)에 대한 개념과 이론을 발전시키고 그 이론을 실제로 성서학 전문도서관의 장서평가에 적용함으로써 새로운 장서평가 모형을 제시할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컨스펙터스는 도서관의 규모와 상황에 적합하게 장서를 주류, 강목, 요목별로 구분하여, 현재장서수준(CL), 수집의지수준(AC), 목표장서수준(GL)이라는 세가지 차원에서 분석 평가한 후, 각 장서에 적합한 장서수준기호를 부여하는 표준화되고 객관적인 장서평가방법이라 할 수 있다. 평가대상 도서관인 대한성서공회 성서학문헌정보자료실의 장서평가를 위하여 서가목록분석법과 목록대조법, 주문중인 자료의 주제별 수서데이터분석, 이용자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종합하여 각 주제별 장서에 미국서부지역도서관망 컨스펙터스의 장서수준기호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평가 대상도서관 장서중 성서학 강목의 현재장서수준은 '3cW', 수집의지수준은 '4W', 목표장서수준은 '4W', 목표장서수준은 '4W'였다. 본 연구는 신학도서관의 장서평가 모형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도서관간의 협동장서개발업무를 활성화시킬수 있을 것이다.

  • PDF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용 다단직렬연결 원심블로어 운전특성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Serially Connected Centrifugal Blowers Used for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 장춘만;이종성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40-46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blower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Blowers serially connected to six or seven centrifugal blowers are evaluated by experimental measurements to understand blower performances according to blower numbers operated. Two different blowers and duct diameters connected to the main blowers are considered. Data acquisition system is introduced to measure pressure and pressure difference at the main duct simultaneously, which is connected to several blowers serially. A auxiliary blower,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filter room and an air deodorizing apparatus, is also added to simulate its performance effect on the main blower. Throughout the experimental measurements of the blower system, it is found that pressure and inlet velocity at the upstream of a blower increase 3.7 and 2.4 times separately by increasing the operating blower numbers from one to seven. It is noted that blower efficiency and pressure measured at the system vary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a air intake and a blower system. Auxiliary blower is effective to increase blower inlet suction pressure, while total energy consumption is increased relatively.

MES 구현을 위한 현장정보 수집시스템의 적용 예 (Application of Data Acquisition System for MES)

  • 이승우;이재경;남소정;박종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9호
    • /
    • pp.1063-1070
    • /
    • 2011
  • 생산시스템은 다양한 제품을 특정 공정에 따라 생산되며, 이는 다양한 생산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제조실행시스템(MES)과 같은 생산관리시스템이 사용된다. MES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은 생산설비에서 발생되는 설비데이터를 작업자의 간섭 없이 직접적으로 수집하는 시스템이다. 본 논문에서는 생산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방법으로 범용기계에 적용 가능한 센서를 이용한 방법과 자동화 기계에 적용 가능한 PLC를 이용한 데이터수집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데이터 수집시스템은 실제 생산시스템에 적용하여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제조 현장에서 설비의 상태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MES를 구현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납본수집력 강화방안 연구 (A Study of the Strengthening Legal Deposit Collection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5-26
    • /
    • 2014
  • 모든 나라에서 국가도서관을 위한 법정 납본은 자국에서 생산된 오프라인 및 온라인 출판물을 수집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장서개발 수단이다. 그러나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은 취약한 납본시스템으로 인하여 국내에서 생산 제작된 모든 유용한 자료를 수집하는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법정 납본에 근거한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의 현주소를 분석하고 연간 발행 제작되는 출판물의 총량을 추정한 다음에 이를 근거로 납본수집력 강화방안, 즉 가칭 '납본법' 제정을 비롯한 납본규정(지침, 기준)의 추가 개발과 보완, 도서관법상의 납본조항 및 내용 개정, 납본수집 대상자료의 합리적 유형화, 자료유형별 납본수집 범위의 최적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콘텐츠 신디케이션을 이용한 웹 데이터 수집 및 활용 (Web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using Content Syndication)

  • 황상현;김희완
    • 서비스연구
    • /
    • 제5권2호
    • /
    • pp.83-92
    • /
    • 2015
  • 웹 상에는 수 많은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지만 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콘텐츠로 가공해 내는 것은 쉽지 않다. 그 이유 중 하나가 바로 표준화된 데이터 제공 방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이트 콘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다른 서비스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콘텐츠 신디케이션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콘텐츠 신디케이션의 대표적 포맷으로 XML에 기반한 RSS와 Atom, OPML 등이 있다. 이러한 신디케이션 포맷에서 제공하는 링크를 통틀어 피드 주소라고 한다. 피드 주소를 이용하면 기존 HTML을 파싱하는 것 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데이터 제공자는 간편하게 데이터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피드 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웹 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구현하여 수집하여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데이터를 가공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Online correction of drift in structural identification using artificial white noise observations and an unscented Kalman Filter

  • Chatzi, Eleni N.;Fuggini, Clemente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6권2호
    • /
    • pp.295-328
    • /
    • 2015
  • In recent years the monitoring of structural behavior through acquisition of vibrational data has become common practice. In addition, recent advances in sensor development have made the collection of diverse dynamic information feasible. Other than the commonly collected acceleration information, Global Position System (GPS) receivers and non-contact, optical techniques have also allowed for the synchronous collection of highly accurate displacement data. The fusion of this heterogeneous information is crucial for the successful monitoring and control of structural systems especially when aiming at real-time estimation. This task is not a straightforward one as measurements are inevitably corrupted with some percentage of noise, often leading to imprecise estimation. Quite commonly, the presence of noise in acceleration signals results in drifting estimates of displacement states, as a result of numerical integration. In this study, a new approach based on a time domain identification method, namely the Unscented Kalman Filter (UKF), is proposed for correcting the "drift effect" in displacement or rotation estimates in an online manner, i.e., on the fly as data is attained. The method relies on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white noise (WN) observations into the filter equations, which is shown to achieve an online correction of the drift issue, thus yielding highly accurate motion data. The proposed approach is demonstrated for two cases; firstly, the illustrative example of a single degree of freedom linear oscillator is examined, where availability of acceleration measurements is exclusively assumed. Secondly, a field inspired implementation is presented for the torsional identification of a tall tower structure, where acceleration measurements are obtained at a high sampling rate and non-collocated GPS displacement measurements are assumed available at a lower sampling rate. A multi-rate Kalman Filter is incorporated into the analysis in order to successfully fuse data sampled at different rates.

OpenBCI 플랫폼 기반 생체 정보 처리를 위한 데이터 패턴 모델링 (Data Pattern Modeling for Bio-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OpenBCI Platform)

  • 이태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51-456
    • /
    • 2019
  • 최근 다양한 생체 정보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며, 인간 환경 및 건강관리를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인체 관련 생체 정보 수집 및 분석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 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정보 연구개발 과정은 연구개발 구성요소의 중복성과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후속 연구 개발자에게 큰 부담을 지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체 정보 플랫폼을 기반으로 생체 정보 연구 개발의 중복성과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생체 정보 수집 및 분석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개방형 생체정보 플랫폼을 활용한다. 또한 생체 신호 수집, 처리, 분석 및 응용을 지원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안한다. 특히, 개방형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뇌파 정보의 데이터 분석 모델링을 통해 생체정보 정규화 패턴 모델을 제안한다.

교량관리시스템과 연계된 실시간 교량 현장조사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eal-time Bridge Inspection Application connected with Bridge Management System)

  • 박경훈;선종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893-7901
    • /
    • 2015
  • 공용중인 교량의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시간에 따른 교량 유지관리 정보의 수집과 분석이 중요하다. 교량관리시스템을 통한 안전하고 경제적인 관리를 위한 전략 수립의 기본이 되는 현장조사 정보의 신뢰도 및 획득의 편의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교량 현장조사용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 적용성을 확보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량의 생애주기관리를 위한 교량관리시스템과 연계되어 유지관리 관련 정보의 조회, 수정, 전송 등이 실시간으로 가능하며, 현장조사 보고서의 자동 작성을 통해 업무를 크게 경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프로그램을 이용한 점검은 편의성, 정확성 등의 향상, 정보의 지속가능성, 향후 활용성 등 직간접적으로 기대되는 가치향상 효과가 기존의 점검방법에 비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시점 영상을 이용한 실시간 3D 모델 생성 시스템 (Real-time 3D model generation system using multi-view images)

  • 박정선;손형재;박정철;오일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83-392
    • /
    • 2017
  • 본 논문은 다시점 영상 획득에서 영상 기반 3D 모델 생성까지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한 실시간 3D 모델 생성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 시스템은 18대의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HD급 영상을 수집, 전송,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하며, 전경과 배경의 분리와 부드러운 3D 볼륨 모델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이 논문은 18대의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HD급 영상을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분산 데이터 송수신 및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부드러운 3D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시각 차이를 이용한 코드북 기반 전경과 배경 분리 알고리즘, 원근 보정 보간법을 이용한 수정된 마칭 큐브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이 시스템은 현재 초당 30프레임 처리 속도로 구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