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authoring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A Study on the Collaborative Authoring Tool based on Rights Information

  • Yi, Yeong-Hun;Choi, Chang-Ha;Cho, Seo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7-23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of the collaborative authoring tool and its implementation results. In the 'collaborative authoring and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users can create eBooks by using partial works (primary and edited sources) on the basis of copyright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primary author. The Collaborative Authoring Tool is a part of "the collaborative authoring and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developed through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key technologies of social work protection and content mashup tools" as an R&D project granted by the Korea Copyright Commission from 2013. In the collaborative authoring and automatic distribution system, authors of primary sources such as images, audio clips and video clips for eBooks can register them together with the copyright information; users can edit the primary sources to produce secondary sources and in turn register the secondary sources on the system; and users can create and distribute eBooks by using the sources registered in the system.

Collaborative Authoring based on Physics Simulation

  • ;권용무;고희동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612-615
    • /
    • 2007
  • This research studies the Virtual Reality simulation of Newton's physics law on rigid body type of objects for physics learning. With network support, collaborative interaction is enabled so that people from different places can interact with the same set of objects in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 The taxonomy of the interaction in different levels of collaboration is described as: distinct objects and same object, in which there are same object - sequentially, same object - concurrently - same attribute, and same object - concurrently - distinct attributes. The case studies are the interaction of users in two cases: destroying and creating a set of arranged rigid bodies. We identify a specific type of application for contents authoring with modeling systems integrated with real-time physics and implemented in VR system. In our application called Virtual Dollhouse, users can observe physics law while constructing a dollhouse using existing building blocks, under gravity effects.

  • PDF

DOM에 기반한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pn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Document Authoring system based on DOM)

  • 유성주;김차종;신현섭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601-2608
    • /
    • 2010
  • 텍스트 문서를 대상으로 하는 대부분의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에서는 문서의 병합과 재사용이 어려우며 문서를 저장, 관리할 수 있는 저장소를 제공하지 않는다. 또한 웹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높은 접근성을 제공하지만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XML 문서를 대상으로 한 공동 문서 저작 시스템을 설계 구현함으로써 이들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이를 위해 XML 문서를 객체 모델화하고 조작하기 위한 API인 DOM(Document Object Model)에 기반을 두었으며 Java 객체를 송수신하고, 구현 시 소켓통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도록 RMI를 활용하였다. 또한 인증과정을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켰으며 템플릿(Template) 제공, 주석달기, 문서구조 가시화가 가능한 편집기를 제공함으로써 XML 문서 공동저작의 수월성을 향상시켰다.

코스웨어 공동 저작을 위한 협력적 충돌 해결 모델 (Collaborative Conflict Handling Model for Courseware Co-Authoring)

  • 안치돈;윤경섭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599-606
    • /
    • 2003
  • 협력적 컴퓨팅 기술이 발전되어감에 따라. 동시 사용자들의 상호 작용이 매우 중요시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CSCW 시스템은 충돌 해결 방식들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존하는 공동 저작 도구들이나 CSCW시스템들은 충돌 해결 기법에 제한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 저작 도구는 특정 사용자의 관점을 기준으로 충돌을 해결하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충돌 해결에 가장 빠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으나, 다른 저작자의 관점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협력적 충돌 해결 방식을 이용한 공동 저작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저작자들이 자신의 관점을 충분히 반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을 통하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제안하는 모델은 XML 등의 구조적 문서의 형태로 표현되는 코스웨어 저작이나 EDI 시스템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 PDF

CoSpace: 효과적인 협업 작업을 지원하는 윈도우즈 웹데브 클라이언트 (CoSace: A Windows WebDAV Client Supporting Effective Collaborative Works)

  • 이홍창;박진호;이명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9-89
    • /
    • 2009
  • 웹데브는 비동기적인 협업 저작을 지원하는 IETF의 표준 프로토콜로서 다양한 콘텐츠의 저작과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웹 기반의 하부구조를 제공한다. CoSlide는 웹데브 프로토콜을 통하여 다양한 작업공간과 협업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Jakarta Slide를 확장하여 개발되었다. CoSlide 서버는 다양한 사용자의 정보 저장 및 공유를 위한 작업공간을 지원하며 자원의 효과적인 공동저작을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실제적인 협업 활동은 CoSlide 서버에서 제공하는 협업서비스들을 활용하여 협업 수행기능을 제공하는 협업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CoSlide서버와 함께 동작하여 효과적인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CoSpace협업시스템 클라이언트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CoSpace는 CoSlide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작업공간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작업공간의 자원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별히 자원의 공동저작을 위한 저작도구 자동연결 자동 잠금 처리 드래그앤드랍을 이용한 자원 이동 등의 향상된 자원 제어기능을 제공한다.

효과적인 분산저작을 지원하는 리눅스 WebDAV 클라이언트의 개발 (Development of A Linux WebDAV Client Supporting Effective Distributed Authoring)

  • 신원준;안건태;정혜영;이명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4호
    • /
    • pp.511-520
    • /
    • 2006
  • 웹데브(WebDAV)는 HTTP/1.1을 확장한 웹 통신 프로토콜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콘텐츠의 비동기적인 협업저작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하부구조를 제공한다. 현재 웹데브 명세를 지원하는 저작 응용프로그램으로 Microsoft office 제품군, Photoshop, Dreamweaver 등이 있으며, 웹데브 기능이 응용프로그램에 통합되어 동작된다. 이 방법은 웹데브 자원에 대한 분산저작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지만 각각의 응용프로그램이 웹데브 기능을 독자적으로 지원해 주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데브 명세를 지원하지 않는 저작도구들이 원거리 분산저작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리녹스 KDE 기반의 웹데브 클라이언트인 DAView를 개발하였다. DAView는 웹데브 서버 자원에 대한 GUI 환경을 제공하며 DAVExplorer와 같은 웹데브 파일탐색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본 클라이언트는 기존의 웹데브 파일탐색기와는 달리 서버자원에 관련된 저작도구의 자동구동과 함께 자동화된 잠금관리를 지원한다.

삼차원 시.공간을 이용하는 프레젠테이션 공동저작 시스템 (Collaborative Authoring System using 3D Spatio-Temporal Space)

  • 이도형;성미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9권6호
    • /
    • pp.623-63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시간 편집 환경과 공간 편집 환경을 하나의 삼차원 저작 환경으로 통합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공동 저작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저작 시스템은 하나의 삼차원 좌표계에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의 공간 속성과 시간 속성을 동시에 표현한다. 한 개의 축은 일반적인 시간 정보(T-zone)를 표현하고 나머지 두개의 축은 공간 정보(XY-zone)를 나타내며 시간적인 미디어 객체들은 삼차원 육면체로 표현하고 오디오 객체는 원통 모양으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자유자제로 삼차원공간을 이동하며 시간 편집과 공간 편집을 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공동 저작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공유 객체들에 대한 효율적인 동시성 제어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동시성 제어 기법은 다중버전 기법(multiple versions)을 가시화하여 공동 저작에서의 사용자 인지(user awareness)를 높였으며 공유 객체에 대한 접근허가권(access permissions)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에서의 지연이나 장애로 발생할 수 있는 충돌(collision)을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이 동시성 제어 기법은 잠금 단위를 세밀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집 자유도를 최대한 보장하였으며, 공유 객체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낙관적 동시성 제어(optimistic concurrency control)를 지원하므로 사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동시 편집할 때 빠른 응답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DMB용 MPEG-4 컨텐츠 저작 (MPEG-4 Contents Authoring with Mobile Device for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이송록;김상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6호
    • /
    • pp.631-636
    • /
    • 2005
  • DMB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나날이 증가되면서 PC에서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DMB 방송을 위한 대화형 멀티미디어 컨텐츠 저작이 필요하다. 제안하는 저작시스템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이동성을 감안하여 단독저작뿐만 아니라 여러 클라이언트들과의 공동 저작이 가능하다. 따라서 DMB 방송 중에서 BIFS 정보에 대한 디코딩 시간으로 인한 지연을 극복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동적인 BIFS 정보 생성 기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개발 결과를 보인다.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동저작 프로토타입 시스템 (a Prototype System for collaborative Authoring Over a Network)

  • 김차종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009-102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공동저작을 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의 설계원칙과 구조를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주석 달기와 주석 확인을 위해서 광범위한 문서공간에서의 네비게이션 기능, 문서 locking 과 작업기록을 포함한 작업그룹 모니터 링 및 관리를 위한 도구를 포함하고 있다. 설계된 프로토타입은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그룹 사호작용, 그룹지원, 문서구조화의 구현 시험을 위한 testbed로 제공 될 수 있으며, 프로토타입의 개발배경과 문제점도 지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