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aizzi 방법론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1초

간호대학생의 하브루타 수업 참여 경험: 현상학적 연구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Habruta Teaching Method: A Phenomenological Study)

  • 양정하;이윤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91-101
    • /
    • 2023
  • 본 연구는 전공교과목의 하브루타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을 확인하여 본질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22년 11월 22일부터 2022년 12월 6일까지 간호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개별적으로 시행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고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하브르타 수업 참여 경험은 '걱정과 기대의 공존', '이해와 습득의 과정', '지속적인 부담과 불편함', '압박감 속에서 나아감과 퇴보함', '인정받으며 찾아가는 안정감', '긍정으로의 생각전환'의 6가지 범주가 나타났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하브루타 수업 참여를 위해서는 적합한 수업설계, 교수-학생간 적극적인 의사소통 채널 마련 및 교수자의 역량 강화 등이 요구된다.

응급실 간호사들의 폭력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방법론의 융합적 접근 (Convergent approach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bout Emergency Nurses' experience of hospital violence)

  • 정영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63-75
    • /
    • 2015
  • 이 연구는 살아 있는 인간의 경험을 잘 기술할 수 있는 현상학적 방법을 융합하여 응급실 간호사들의 폭력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로서 응급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5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의 융합적 접근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심층 면담 후 면담 진술로부터 41개의 의미 있는 진술이 도출되었고 17개의 주제 묶음, 6개의 상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상위 범주로는 폭력의 배경, 정서적 반응, 신체적 반응, 사회적 반응, 소극적 대처, 적극적 대처로 나타나는 경험과 반응들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폭력이 간호사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났으며, 폭력 예방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병원 근무 간호사의 경험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Discovery of Meaning in Nurse's Experience in Clinics)

  • 정경화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99-613
    • /
    • 2003
  • Purpose: The ultimate aim of the inquiry was to discover the essence of nurse's experience and promote understanding. Method : Guided by Colaizzi's method - 1. Description of the phenomena of interest by the reader. 2. collection of subject's description of the phenomena, 3. Reading all the subject's descriptions of the phenomenon, 4. Returning the original transcripts and extracting significant statements, 5. Trying to spell out the meaning of each significant statements, 6. Organizing the aggregate formalized meanings into clusters of themes. 7. Writing an exhaustive description, 8. Returning to the subjects for validation of the description, 9. If new data fare revealed during the validations incorporating them into an exhaustive descrip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eight are nurses working for clinics. This strategies for data collecting were needed : deep face to face interview. Results : 6 cluster of themes are : 1. the heavy pressure, 2. the pride and the royal summons, 3. the powerlessness, 4. the hope, 5. the tiresome. 6. the distressed feeling.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ould help us to understand nurses in clinics, make direction for nursing education, and identify need for continuing inquiry.

  • PDF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Dying)

  • 강현주;방경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252-261
    • /
    • 201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을 이해하고 개인의 생생한 경험의 전체적인 의미 구조를 기술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S대학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면서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이 있는 간호사로서 눈덩이 표집 방법을 통해 모집되었으며 자료가 충분히 포화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까지로 정하여 총 8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2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참여자와의 개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근거로 분석되었다. 결과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의 구조는 '사투하는 환아의 생명존중과 안위존중의 갈림길', '환아의 죽음에 대한 정서적 고통', '환아의 죽음에 대처하며 적응하기', '임종 환아 돌봄에 대한 새로운 기대'의 4개의 주제모음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질적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을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보고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생아중환자실에 근무하면서 환아의 임종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이 느끼는 정서적인 갈등과 어려움을 다루고 지지해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지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임종 환아 돌봄에 대한 교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임종 환아의 부모와 의료인을 위한 시간과 공간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었으면 한다.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와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cial Worker's Ethical Dilemmas and Decision-Making at the Korean Child Protection Agency)

  • 이세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1호
    • /
    • pp.53-76
    • /
    • 2008
  • 본 연구는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들의 윤리적 딜레마와 의사결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그들의 윤리적 고충을 이해하는 동시에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제언을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론 중에서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14명의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와의 인터뷰 내용을 Colaizzi(1978)의 분석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총 8개의 주제묶음과 26개의 소주제들을 통해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는 '정책/제도의 미흡함과 업무의 과다 속에서 피학대 아동을 만나면서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윤리적 딜레마에 빠짐'을 대주제로 도출하고, 총 4개의 주제묶음과 9개의 소주제들을 통해 '책임과 부담을 떠안은 채로 최선이라 생각하며 의사결정을 수행함'을 대주제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이와 관련된 향후 논의점들을 제시하였다.

  • PDF

기혼 여성의 임신중절에 대한 가족세우기 경험 연구 (A Study on Married Women's Experiences in Family Constellation against Induced Abortion)

  • 최금옥;오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94-30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신 중절을 경험한 기혼 여성이 가족세우기를 통해 겪는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결과적으로 그 변화는 임신 중절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기혼 여성 본인과 가족 관계에서의 변화가 될 것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임신중절을 경험한 40~60 대 기혼 여성 9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통하여 가족세우기 경험 전, 직후, 한 달 후로 3회기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Colazzi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 15개의 주제 모음과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임신중절을 경험한 기혼여성들은 해당 경험을 의식적으로 떠올리지 않았음에도 그 경험이 삶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결과로 도출할 수 있었다. 기혼 여성이 경험하는 가족세우기는 무의식에 감춰진 긴장관계가 대리인을 통해 가시화되면서, 얽힘을 풀 기회를 제공한다. 그리고 그러한 기회를 통해 기혼 여성은 궁극적으로 임신중절 경험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가족관계의 변화를 겪게 되며, 자신과 가족관계에서 회복력을 키울 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보건소 작업치료사의 지역사회 재활 및 보건서비스 제공에 대한 업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The Lived Experi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Regarding Community Rehabilitation and Health Services: Phenomenological Study)

  • 박강현;전병진;정민예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1호
    • /
    • pp.63-7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재활 및 보건서비스 제공에 관한 업무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향후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보건소 작업치료사들의 역할 및 업무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내 근무하는 보건소 작업치료사 6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전 동의를 통해 대화 내용은 녹음되었고, 녹음된 자료는 패턴화된 반응이나 주제를 분석하고자 Colaizzi의 주제 분석법(Thematic analysis) 7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분석 결과, 4개의 범주와 16개의 주제, 24개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보건소 내 작업치료사가 주로 행하는 업무 영역 및 역할은 대상자 평가, 방문재활치료, 치매관리사업, 지역사회 연계사업으로 나타났다. 그 외 작업치료사가 느끼는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 향후 보건소에서 필요한 중재는 사례관리 및 프로그램 매니지먼트, 다양한 보상적 접근방법 적용, 건강한 생활습관을 위한 중재로 나타났다. 보건소 근무 시 작업치료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작업치료사의 인력 부족, 고용 불안정으로 인한 사기저하, 실적 위주의 행정 정책으로 인한 업무의 부담감, 전문인력 간 소통의 부족으로 나타나는 업무 효율성 저하가 나타났다. 반면에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들이 느끼는 보람으로는 치료의 자율성 보장을 가장 큰 장점으로 응답하였다. 보건소 작업치료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교육으로는 보건행정, 보건소 실습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현재 보건소 및 치매 안심 센터의 필수인력으로 자리 잡은 작업치료사들의 향후 업무 범위 및 역할과 관련된 가이드라인과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내 역량 있는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