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hort model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25초

화자인증 시스템에서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ackground Speaker Selection Method in Speaker Verification System)

  • 최홍섭
    • 음성과학
    • /
    • 제9권2호
    • /
    • pp.135-146
    • /
    • 2002
  • Generally a speaker verification system improves its system recognition ratio by regularizing log likelihood ratio, using a speaker model and its background speaker model that are required to be verified. The speaker-based cohort method is one of the methods that are widely used for selecting background speaker model. Recently, Gaussian-based cohort model has been suggested as a virtually synthesized cohort model, and unlike a speaker-based model, this is the method that chooses only the probability distributions close to basic speaker's probability distribution among the several neighboring speakers' probability distributions and thereby synthesizes a new virtual speaker model. It shows more excellent results than the existing speaker-based method. This study compared the existing speaker-based background speaker models and virtual speaker models and then constructed new virtual background speaker model groups which combined them in a certain ratio. For this, this study constructed a speaker verification system that uses GMM (Gaussin Mixture Model), and found that the suggested method of selecting virtual background speaker model shows more improved performance.

  • PDF

집단생잔모델에 변화할당효과를 고려한 농촌지역 인구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Rural Population Model Considering Shift-Share Effects in Cohort-Survival Method)

  • 정남수;이행우
    • 농촌계획
    • /
    • 제12권3호
    • /
    • pp.39-4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ural population model adapting cohort survival method with sift-share effects.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is study is below Myun: about 2,000 population. Population data of rural area in 1990, 1995, and 2000 by age cohort were selected for applying developed model. Damping coefficient from population data was calculated as 7% and results applying this coefficient in rural population data below the error from 12% to 1.06%. In detail, most of cohorts fitted with developed model except from 15 to 29 age groups. Application result of small population area; DaesulMyun revealed that main factor of population change is not natural change but migration.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에 대한 출생코호트 접근과 해석 : 진주시를 사례로 (A Birth Cohort Approach to the Household Life-Cycle Model of Residential Mobility: The Case of Jinju City)

  • 이정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95
    • /
    • 2011
  • 이 연구는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의 횡단면적 접근과 분석이 가지는 한계의 대안으로서 출생코호트 접근을 하였다. 1970년부터 2005년까지 진주시를 사례로 5세 연령 간격으로 출생코호트를 구분하고 각각의 주거이동을 탐색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거수요로서 인구변천과 출산력, 주거공급으로서 주택재고와 주거지역 입지 등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형이 강조하고 있는 연령효과 이외에도 코호트효과와 기간효과가 확인되며, 이로 인해 각 출생코호트의 주거이동 궤적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모형이 제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가구주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연령효과가 감소하였고 이동은 감소, 안정되었다. 이에 대한 해석은 출생코호트 간의 주거승계가 미약하거나 단절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연령집단이 주거를 서로 달리하는 가족지위보다 출생코호트를 주거분화 요인 중 하나로 제시할 수 있다.

  • PDF

서울, 춘천지역 중·고령자의 부양책임감 변화: 세대효과와 연령효과를 중심으로 (Changes in fili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among Middle and Old Aged People in Seoul & Chuncheon Area: Focusing on Cohort Effect and Aging Effect)

  • 김영범
    • 한국노년학
    • /
    • 제29권4호
    • /
    • pp.1413-1425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 및 춘천지역 거주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부양책임감이 나이와 세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4차에 걸쳐 진행된 한림고령자패널 자료를 대상으로 램덤상수모델을 통해 세대 효과와 연령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바흐(Sealbach)가 개발한 부양책임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출생연도 1940년을 기준으로 이전 세대는 식민지·전쟁경험세대로, 이후세대는 산업화 민주화 세대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전쟁경험세대는 산업화·민주화 세대에 비해 부양책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령효과를 살펴보면 일반적인 예상과는 달리 나이와 부양책임감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서구의 연구는 노인부양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이나 타인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무감의 종료 등으로 인해 나아가 많은 노인일수록 부양책임감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측면이 우리나라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와 둘째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노인층이 장년층에 비해 부양책임감이 높은 것은 연령효과라기 보다는 세대효과일 가능성이 크다. 셋째, 남성이 여성에 비해, 서울이 춘천에 비해, 면지역 거주자가 동지역 거주자에 비해 부양책임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학력 및 소득이 높을수록 부양책임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집단 생잔 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모델 개발 (Development a Estimate Model of Migration Using Cohort-Survival Model)

  • 한이철;이정재;정남수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56-46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estimation model of migration with only population data using the cohort-survival model which has been used for forecasting future population. The fluctuation of population can be bisected to the natural change which can be occurred by birth and death and the social change which means migration. The factors of the social change are usually very important for establishing rural policies. However, researches using migration data has limitations because the usage of them are restricted. For verifying a estimation model of migration, comparing estimated population in 2000 year and migration quantity between 1996 and 2000 of 25 gu with real values, using population data and death ratio from 1995 to 2000 of the 25 gu in Seoul. Result shows a reliable data that R-square of forecating population model is 0.9755 and migration is 0.9180. So these model are worth to estimate a population and migration quantity to restricted migration data.

  • PDF

위계적 APC모델을 활용한 가계부채결정원인 분석: 베이비부머세대 포함 중·장년·노년층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 using a Hierarchical Aging-Period-Cohort Model: Baby-boomers with Middle-Aged & Older Adults)

  • 김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96-4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위계적 APC(Hierarchical Age-Period-Cohort)모형과 2006~2016년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한 중장년 노년층(32~76세)의 가계부채규모 결정요인을 연령(Age), 기간(Period), 코호트(Cohort)로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분석에 사용된 대상자는 총 86,056명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계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하는 특정시기 출생연도별 코호트(Cohort)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이 한 단위 증가하면 가계부채도 353만원 증가하였지만 가계부채 증가폭은 연령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연령이외의 개인단위변수로 경제활동여부, 건강상태 등이 가계부채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취업자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시간, 코호트효과를 고려한 소득 불평등: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 (Income Inequality Decomposed by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A Comparison of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6-181
    • /
    • 2020
  • 본 논문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1998~2018년 한국노동패널(KLIPS) 조사자료의 APC(Age-Period-Cohort) 모형 분석을 통해 지역별 소득 불평등의 강도와 추세 및 소득 불평등의 지역 간 격차 추세를 비교·분석한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호트와 연령효과 양자의 경우 수도권에 거주하는 소위 베이비붐 및 '386세대'를 포함하는 50~60대는 비수도권의 다른 연령대 및 코호트와 비교해 상대적인 소득 불평등 완화 효과가 있다. 둘째, 소득 불평등의 지역 간 격차를 설명하는 데에 미시적인 개인 특성도 무시할 수 없지만, 그보다는 누락변수의 구조적·제도적 요인과 특성변수의 사회적인 차별 효과가 더 의미가 있다. 전반적으로 코호트 내 및 코호트 간 소득 불평등이 중첩되어 나타나고 있다.

코호트 사망률을 이용한 장수채권 가격산출 (Longevity Bond Pricing by a Cohort-based Stochastic Mortality)

  • 조재훈;이강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4호
    • /
    • pp.703-719
    • /
    • 2015
  • 본 논문은 평균회귀 2요인 사망률 모형에 코호트 효과를 반영한 개선된 확률론적 사망률 모형을 제시한다. 한국 남자의 사망률 자료를 바탕으로 가중평균최소제곱법과 메트로폴리스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사망률 모형을 추정한 결과 코호트 효과를 반영하는 것이 모형 적합도를 향상시킴을 발견하였다. 국민연금공단과 같은 연금사업자가 자신의 장수위험을 금융시장에 순차적으로 전가하는 수단으로서 옵션방식 이자지급 장수채권의 활용을 제안하고 발행채권의 가격 산출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이 기여하는 점이다. 특히 생존지수에 의해 이자지급 현금흐름이 결정되는 장수채권 가격산출을 위하여 코호트 효과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하였다.

건강검진이 개인 의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Examination and Personal Medical Cost through Panel Survey)

  • 이환형;박재용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6
    • /
    • 2014
  • Background: This paper describes the relationship and effect of health examination on personal medical cost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 of the cost for medical care in physician visit between the population without and with health examination. Methods: After classifying into three cohorts in which,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Andersen's behavioral model, the association of personal medical cost for medical care and prescription drugs which is dependent variable was analyzed by t-test and Mann-Whitney test for description and gamma regression model for inference. Results: In personal average medical cost, the population with health examination paid significantly more than without health examination, 11.6% more in cohort 2008, 26.6% more in cohort 2009, and 48.0% more in combined cohort. The odds ratio on medical expenditure of outpatients with health examination was 1.067, 1.126, 1.398 significantly in cohort 2008, 2009, and combined cohort respectively, comparing to the group without health examination. In independent variables, that is female, the elderly, never married, non-working, non-metropolitan, the higher family income, the smaller family size, people with disability, the people with chronic disease, and people with health examination have significantly being paid more tendency showing positive association with medical cost. Conclusion: This result showed that medical expenditure in physician visit has been increased after taking a health examination. Therefore reasonable limitation of getting preventive medical service is suggested to avoid medical shopping around and reduce being repeated health examination by unifying control to find out easily the clinical results from various medical facilities.

Estimation of Seroconversion Dates of HIV by Imputation Based on Regression Models

  • Lee, Seungyeo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3호
    • /
    • pp.815-822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seroconversion date of the human immunodeficiency virus(HIV) infection for the HIV infected patients in Korea. Data are collected from two cohorts. The first cohort is a group of "seroprevalent" patients who were seropositive and AIDS-free at entry. The other is a group of "seroincident" patients who were initially seronegative but later converted to HIV antibody-positive. The seroconversion dates of the seroincident cohort are available while those of the seroprevalent cohort are not. Estimation of seroconversion date is important because it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incubation period of AIDS which is defined as the elapsed time between the HIV infection and the development of AIDS. In this paper, a Weibull regression model Is fitted for the seroincident cohort using information about the elapsed time since seroconversion and the CD4$^{+}$ cell count.The seroconversion dates for the seroprevalent cohort are imputed on the basis of the marker of maturity of HIV infection percent of CD4$^{+}$cell count.u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