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hort Study

검색결과 1,606건 처리시간 0.025초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이용한 부산광역시 장래 인구 추계 (Population Projections for Busan Using a Biregional Cohort-Component Method)

  • 조대현;이상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12-232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지역 코호트 요인법에 의한 인구 추계 방법론을 정립하고, 그것을 부산광역시의 장래 인구 추계에 적용하는 것이다. 우선 시도와 같은 지역 인구의 추계에 있어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방법인 순이동 코호트-요인법이 갖는 한계를 예증하였다. 대안으로 지역간 코호트-요인법 중 전체 지역을 두 지역으로 구분한 후 지역 간의 전입과 전출을 분리하여 추계하는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을 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산광역시의 2005~2030년에 대한 인구 추계를 3가지 시나리오 하에서 실행하였다. 순이동 방식을 취한 인구 추계와 이지역 방식을 취한 인구 추계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전출 초과 지역인 부산의 경우 순이동 방식에서 더 빠른 인구 감소가 나타났다. 이지역 방식에 의한 부산 및 전국추계의 인구 변화 추세를 검토한 결과 추계가 상당히 합리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지역 코호트-요인법은 순이동 코호트-요인법에 비해 논리적으로 더 정연하면서도 실제 추계에 있어서도 높은 유용성을 보여 주었다.

인구 고령화와 임금구조: 1990년대 이후 한국 남성 근로자의 세대규모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Population Aging and Wage Structure: An Empirical Study of Cohort Size Effect on Korean Male Worker since 1990)

  • 엄동욱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75-97
    • /
    • 2008
  • 최근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전되면서 향후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인구구조, 특히 연령구조(age structure) 또한 급격한 변화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가 임금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별 세대규모(cohort size)에 초점을 맞추어 세대규모효과로 인해 연령-임금 프로파일이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Wright(1991)의 모형을 기초로 노동부의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원자료($1990년{\sim}2006$년)의 남성 근로자 데이터를 활용한 Weighted OLS 회귀분석으로 이루어졌다. 추정결과에서는 고졸 근로자 및 대졸이상 고학력 근로자에게서 세대규모효과가 발견되었는데, 고졸 근로자의 경우 기존 Welch(1979)나 Wright(1991)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지만, 대졸이상 근로자의 경우 반대로 정(+)의 신규진입효과와 부(-)의 지속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고졸 근로자는 임금수준에서 세대규모로 인한 불이익을 받는 반면, 고학력 취업자의 경우 최근 청년실업 및 취업난의 상황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세대규모로 인해 임금수준에서 이득을 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기존의 연구가 주로 노동수요 측면에 치우쳐 있다는 점에서 노동공급측면에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인구구조의 변화에 관심을 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연구DB를 위한 비주얼 쿼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개발 연구 (A visual query database system for the Sample Research DB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 조상훈;김희찬;강근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1호
    • /
    • pp.13-24
    • /
    • 2017
  •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표본코호트DB는 보건의료계뿐만 아니라 통계학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자료에서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관련 사례들을 추출하는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표본코호트DB를 이용하고자 할 때 사례 추출과정에 도움을 주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ohort DB Extract Tool(NICE Tool)을 소개한다. SAS의 DATA 명령문이나 SQL문에 익숙하지 않은 연구자들도 쉽게 마우스 클릭만으로 DB에서 필요한 변수들과 조건에 맞는 사례들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빠른 사례추출이 가능하여 표본코호트DB를 사용한 연구들이 더욱 활성화되리라 판단된다.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Hepatitis in Korean Populations

  • Hong, Youngbok;Oh, Sejong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2권4호
    • /
    • pp.203-207
    • /
    • 2014
  • Hepatitis is a common and serious disease for the Korean population. It is caused by a virus, the A and B types of which are plentiful in Korean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genetic factors for hepatitis through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We took 368 cases and 1,500 controls from Anseong and Ansan cohort data. About 300,000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and 20 epidemiological variables were analyzed. We did not find any meaningful significant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but we confirmed the influence of major epidemiological variables on hepatitis.

사상체질에 따른 대사증후군과 Adiponectin의 상관성 (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Adiponectin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유준상;고상백;박종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22-130
    • /
    • 2009
  • 1.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iponectin and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2. Methods: Six hundred sixty six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is cohort study. Sex, age, BMI(Body Mass Index), smoking, drinking, adiponectin level and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were considerd. Sasang constitutional diagnosis was carried out by a sasang constitutional specialist using photos, questionnaires and PSSC(Phonetic System for Sasang Classification). 3. Results: In binary logistic analysis after adjustment of age, sex, BMI, smoking, drinking, adiponectin level and sasang constitution were related with Metabolic syndrome. 4. Conclusions: We suggest that adiponectin and sasang constitution are the important biomarker in Metabolic syndorme.

  • PDF

강원지역 농촌코호트 여성의 체질량 지수에 따른 여성암 검진행위 (Women's Cancer Screening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a Cohort of Rural Korean Women)

  • 김보환;고상백;허혜경;박종구;박소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1-650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cancer screening with mammography and Papanicolaou smear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912 women ages 40 to 69 yr, selected from the Korean Genomic Regional Cohort in Kangwon province. Mammography and Papanicolaou smear were assessed by questionnaire and body weight (kg) and height (m) measured to calculate BMI. Results: The distribution of BMI was as follows: low weight (1.5%), normal weight (31.1%), over weight (24.6%), mildly obese (36.4%) and severely obese (6.3%). After adjusting for age,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compared with normal weight women, overweight women (odds ratio [OR]=1.283, 95% confidence interval [CI]=1.089-1.513) and mildly obese women (OR=1.214, 95% CI=1.048-1.406) were less likely to have had mammography. In contrast to mammography, cancer screening with Papanicolaou smea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BMI. Conclusion: Obese women in rural areas are less likely to screen for breast cancer by using mammography than non obese women. To ensure regular screening for breast cancer, health care providers need to give scrupulous care to obese women and remove barriers originated from obesity. Also, educational and clinical implications are considered to increase the Papanicolaou smear rate.

의학교육 소모에 대한 통계학적 조사 연구 (A Statistical Study of Medical Educational Wastage)

  • 양승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5권1호
    • /
    • pp.153-159
    • /
    • 1982
  • 의학교육에 있어서의 소모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1973{\sim}1982$학년도 동안 모 국립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의학교육 소모의 수량적 파악을 시도하였기에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조사시점에 있어서의 평균 정규 진급율은 83.4%였고 Cohort 전원이 졸업 (탈락 포함)한 Cohort $I{\sim}V$의 평균 진급율은 77.2%였다. 2. 10개 전 Cohort의 학년별 평균 유급율은 1학년 과정 15.5%, 2학년 5.4%로 1,2학년은 진급의 벽이 높으며 3학년 과정 1.4%, 4학년 0.6%로 3,4학년은 안정되어 있었다. 3. 재학생의 졸업시 예측 유급자 수는 1학년 31.6명이었고 2, 3, 4학년은 이미 출현한 유급자를 포함하여 28.9, 18.6, 22.7명이었다. 4. 10개 전 Cohort의 총 wastage는 244.8 SY로 56.2명 (년 5.62명)의 학생을 육성하여 정규 졸업시키는 교육자원량에 해당하였다. 5. 10개 전 Cohort의 평균 단위 경비는 4.26, 평균 입력 출력비는 1.06이었다.

  • PDF

한국의 혼인과 출산 생애과정: 출생코호트별 및 교육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Birth Cohort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Marital and Fertility Life Course in South Korea)

  • 우해봉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151-179
    • /
    • 2012
  • 본 연구는 Hernes 모형을 활용하여 출생코호트의 관점에서 최근까지 한국 사회가 경험한 혼인 및 출산 생애과정에서의 전반적인 변화 양상과 교육수준별 차이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첫째,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생애 혼인율이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상대적으로 가장 최근 출생코호트(1965~74) 남성의 경우 혼인율 감소폭이 다소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둘째, 출생코호트를 가로질러 관측된 생애 혼인율 감소는 추가적으로 교육수준별로 분화되는 모습을 보여 주었는데, 남성의 경우 저학력자 그리고 여성의 경우 고학력자의 생애 비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출생코호트를 가로지른 출산 경험과 관련하여 첫째 및 둘째 출산에서는 출생코호트별 격차가 작은 반면 셋째 출산에서의 격차가 크게 나타남으로써 출생코호트를 가로질러 나타난 출산력에서의 양적 변화는 대체로 셋째 이상의 고순위 출산과 밀접히 연관됨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출산에서의 교육수준별 격차와 관련하여 출산순위가 높아질수록 교육과 출산 사이에 보다 뚜렷한 역관계가 관측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혼인 및 출산이 교육수준과 연계되는 방식이 다소 상이함을 보여 주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최근의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수준별 생애 혼인율에서의 격차가 커지는 경향을 보여 주지만 고순위 출산에서 관측되는 교육수준별 패턴은 최근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수준별 격차가 오히려 감소하는 상반된 패턴을 보여 주었다.

  • PDF

노인인구에서 음주와 대장직장암 발생간의 연관성에 관한 코호트연구 (Cohort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in the Korean Elderly)

  • 임회정;박병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1호
    • /
    • pp.23-29
    • /
    • 2008
  • Objectives : We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in elderly Koreans. Methods : The cohort members (n=14,304) consisted of 4,834 males and 9,470 females derived from the Korea Elderly Pharmacoepidemiologic Cohort (KEPEC), a population-based dynamic cohort. They were aged 65 years old or older and lived in Busan between 1993-1998; they were beneficiaries of the Korean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KMIC). Baseline information was surveyed by a self-administered, mailed questionnaire. This study population was restricted to 14,304 participants who reported alcohol drinking habits on the questionnaire and had not been diagnosed with colorectal cancer at baseline. The adjusted hazard ratios (aHR) of status, type, frequency and daily averag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were computed with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ith the never-drinkers as a reference group and controlling for age and gender. Results : After 4.82 person-years of mean follow-up 112 cases of colorectal cancer occurred. The incidence densities of colorectal cancer were 161 (95% CI=123-200) for never-drinkers, 219 (95% CI=125-339) for ex-drinkers, and 137 (95% CI=84-189) for current-drinkers per 100,000 person-year. The status, type, frequency, and daily average amount of alcohol consumption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cidence of colorectal cancer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gender. Conclusions :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colorectal cancer among elderly people after controlling for age and gender.

Reliability of microarray analysis for studying periodontitis: low consistency in 2 periodontitis cohort data sets from different platforms and an integrative meta-analysis

  • Jeon, Yoon-Seon;Shivakumar, Manu;Kim, Dokyoon;Kim, Chang-Sung;Lee, Jung-Se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1호
    • /
    • pp.18-29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patterns of advanced periodontitis in 2 cohort data sets analyzed using different microarray platforms, and to identify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through a meta-analysis of both data sets. Methods: Twenty-two patients for cohort 1 and 40 patients for cohort 2 were recruited with the same inclusion criteria. The 2 cohort groups were analyzed using different platforms: Illumina and Agilent.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increase reliability by removing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latforms. An integrative meta-analysis based on an empirical Bayesian methodology (ComBat) was conducted. DEGs for the integrated data sets were identified using the limma package to adjust for age, sex, and platform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for cohorts 1 and 2. Clustering and pathway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is study detected 557 and 246 DEGs in cohorts 1 and 2, respectively, with 146 and 42 significantly enriched gene ontology (GO) terms. Overlapping between cohorts 1 and 2 was present in 59 DEGs and 18 GO terms. However, only 6 genes from the top 30 enriched DEGs overlapped, and there were no overlapping GO terms in the top 30 enriched pathways. The integrative meta-analysis detected 34 DEGs, of which 10 overlapped in all the integrated data sets of cohorts 1 and 2.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 expression pattern differed between periodontitis and the healthy periodontium, but the consistency between the data sets from different cohorts and metadata was too low to suggest specific biomarkers for identifying periodon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