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hort Studies

검색결과 645건 처리시간 0.027초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생활·환경적 요인 및 성장과의 관련성 분석 (Risk Factors for Allergic Diseases in School-Aged Children)

  • 민선애;조미진;박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87-1394
    • /
    • 2013
  •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알레르기 유병과 관련이 있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알레르기 유병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성장 수준 및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의 어머니 교육수준이 더 높았으며,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출생 순위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출생 당시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이유식 섭취 후 부작용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 셋째, 현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최근 병원 진료 경험 빈도와 감기 및 소화질환 경험 빈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에게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위험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력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성과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적용 및 내용 분석 (Analysis and Application of Nursing Management Practicum Case Simulation for Developing Performance-Centered Education)

  • 임지영;고국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35-254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관리과정의 5요소에 기반을 둔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구성틀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간호 대학생의 간호관리실습에 적용한 후 내용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간호관리실습 교육에서의 성과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일 대학의 간호학과 4학년 105명 학생이 간호관리실습 과제로 제출한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보고서이다. 연구도구는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구성틀로 본 연구자가 간호관리과정의 기획, 조직, 인적자원관리, 지휘, 통제의 5요소에 기반하여 기존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활용된 브레인스토밍과 디브리핑 과정을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32개의 임상 간호 사례에 대해 간호 대학생은 간호관리과정 5요소별 간호관리 문제해결에 있어 1차 브레인스토밍과 디브리핑 과정에서는 79.6%의 적절률과 11.6%의 개념 오류율, 5.6%의 분류 오류율을 보인 반면, 재추론 과정인 2차 브레인스토밍과 디브리핑 과정에서는 94.6%의 적절률 상승과 0.0 % 의 개념 오류율, 4.4%의 분류 오류율 감소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간호관리실습 사례시뮬레이션 구성틀이 간호 대학생의 간호관리과정 적용에 필요한 사고력과 논리적 추론 역량을 증진하는 효과적임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간호관리실습과 간호관리 이론 교과목에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임상간호사의 간호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 직무교육 또는 보수교육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향후 다양한 간호관리 임상 현장에서의 후속 연구와 간호 대학생의 졸업 후 간호관리 직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적 코호트 연구도 필요함을 제안한다.

An association between diet quality index for Koreans (DQI-K) and total mortality in Health Examinees Gem (HEXA-G) study

  • Lim, Jiyeon;Lee, Yunhee;Shin, Sangah;Lee, Hwi-Won;Kim, Claire E;Lee, Jong-koo;Lee, Sang-Ah;Kang, Dae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258-264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Diet quality scores or indices, based on dietary guidelines, are used to summarize dietary intake into a single numeric variab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odified diet quality index for Koreans (DQI-K) and mortality among Health Examinees-Gem (HEXA-G) study participants. SUBJECTS/METHODS: The DQI-K was modified from the original diet quality index. A total of 134,547 participants (45,207 men and 89,340 women) from the HEXA-G study (2004 and 2013) were included. The DQI-K is based on eight components: 1) daily protein intake, 2) percent of energy from fat, 3) percent of energy from saturated fat, 4) daily cholesterol intake, 5) daily whole-grain intake, 6) daily fruit intake, 7) daily vegetable intake, and 8) daily sodium intake. The association between all-cause mortality and the DQI-K was examin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s. Hazard ratios and confidence intervals were estimated after adjusting for age, gender, income, smoking status, alcohol drinking, body mass index, and total energy intake. RESULTS: The total DQI-K score was calculated by summing the scores of the eight components (range 0-9). In the multivariable adjusted models, with good diet quality (score 0-4) as a reference, poor diet quality (score 5-9)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all-cause mortality (hazard ratios = 1.23, 95% confidence intervals = 1.06-1.43). Moreover, a one-unit increase in DQI-K score resulted in a 6% higher mortality risk. CONCLUSIONS: A poor diet quality DQI-K score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mortality. The DQI-K in the present study may be used to assess the diet quality of Korean adults.

Associations of serum levels of vitamins A, C, and E with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mong elderly Koreans

  • Kim, Sung Hee;Park, Yeong Mi;Choi, Bo Youl;Kim, Mi Kyung;Roh, Sungwon;Kim, Kyunga;Yang, Yoon J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2호
    • /
    • pp.160-165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Korea is quickly becoming an aged society. Dementia is also becoming a vital public health problem in Korea. Cognitive impairment as a pre-stage of dementia shares most risk factors for dementi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associations of serum levels of vitamins A, C, and E with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mong elderly Koreans. SUBJECTS/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a total of 230 participants aged 60-79 years from Yangpyeong cohort were included. Cognitive function was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The logistic multivariable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rum vitamins A, C, and E on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and serum levels of vitamin A and vitamin C. There was a significant odd ratio when the second tertile group of beta-gamma tocopherol level was compared to the first tertile group [odds ratio (OR) = 0.3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4-0.98, P for trend = 0.051]. In subgroup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s between beta-gamma tocopherol level and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in men (OR = 0.17, 95% CI = 0.03-0.87, P for trend = 0.028), non-drinkers or former drinkers (OR = 0.13, 95% CI = 0.02-0.66, P for trend = 0.025), and non-smokers or former smokers (OR = 0.27, 95% CI = 0.09-0.82, P for trend = 0.017). CONCLUSION: Serum beta-gamma tocopherol levels tended to be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Further prospective large-scaled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is association.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결혼 연기 혹은 독신? (The Impact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First Marriage Formation: Marriage Delayed or Marriage Forgone?)

  • 우해봉
    • 한국인구학
    • /
    • 제32권1호
    • /
    • pp.25-50
    • /
    • 2009
  •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이 수집하고 있는 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고등교육의 획득이 단순한 결혼의 연기로 이어지는지 아니면 결혼의 연기뿐만 아니라 생애 동안 결혼을 하지 않을 개연성 또한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남녀 모두 최근의 출생 코호트로 올수록 결혼을 연기할뿐만 아니라 결혼을 하지 않는 개인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러한 출생 코호트별 격차는 모든 교육수준에서 공통적으로 관측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또한 교육의 효과가 출생 코호트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는데, 1970년 이전에 출생한 코호트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은 초기에는 결혼을 하는 비율이 낮지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결혼을 함으로써 교육으로 인해 연기된 결혼을 사후적으로 따라잡기 하는 현상이 남녀 모두에서 관측되었다. 그러나 1970년 이후에 출생한 코호트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의 따라잡기 현상은 남성의 경우에 뚜렷하게 관측되는 현상으로 나타나지만, 여성의 경우 고학력 여성들이 결혼을 하지 않고 미혼으로 남아 있는 비중은 저학력 여성들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상이한 패턴을 보였다. 기존 연구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최근으로 올수록 남성들의 경우 저학력 남성들이 배우자를 찾을 기회가 상대적으로 취약해지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으며, 여성들의 경우 고학력 여성들을 중심으로 결혼을 연기할 뿐만 아니라 생애 동안 결혼을 하지 않을 개연성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성분리 규범이 강하게 작용하는 사회의 경우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효과가 성별로 상이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여성의 출산율 변화와 출산간격 영향요인 (The change in the fertility rates and the determinants of birth interval of Korean women)

  • 류기철;박영화
    • 한국인구학
    • /
    • 제32권1호
    • /
    • pp.1-2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940년대 이후 출생한 우리나라 여성들의 연령별 출산율, 연령별 누적출산율, 결혼연령을 5개의 출생코호트별로 살펴보고 위험도 모형을 이용하여 결혼연령 및 결혼 이후 초산까지의 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분석하였다. 먼저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출생시기가 늦은 코호트일수록 출산율이 최고수준에 이르는 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별 누적출산율은 50년대 코호트와 60년대 코호트의 경우 각각 직전 코호트에 비해 누적출산율이 크게 하락하였으나 70년대 코호트나 80년대 코호트는 60년대 코호트에 비해 누적출산율에 있어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혼연령을 보면 최근의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결혼연령이 높아졌다. 한편, 결혼 위험도 모형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출생시기가 늦을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출생시기의 영향은 그간 진행된 여성의 취업기회의 확대와 여성의 상대적 지위의 향상 등 경제적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결혼 이후 첫 자녀의 출산 위험도의 경우에는 출생시기나 결혼시기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결혼 이후에도 상당기간 취업상태를 유지한 여성의 경우 출산 위험도가 크게 낮았으며 또한 중졸 이하 학력을 가진 여성은 여타 수준의 학력을 가진 여성에 비해 출산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취업이나 낮은 가구소득이 출산율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발톱 크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요인과 크롬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연관성 분석 (Independent correlates of the toenail chromium level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hromium level and dyslipidemia)

  • 강예지;이유진;손자경;박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1호
    • /
    • pp.40-49
    • /
    • 2018
  • 본 연구는 SELEN 코호트 연구의 기반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인 남녀의 발톱 크롬 수준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크롬 수준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면류, 채소류, 과일류가 발톱 크롬 수준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었으며, 교란인자를 보정한 후 크롬 수준과 주요 이상지질혈증간의 유의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발톱 크롬 농도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어 제시하게 된 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크롬 관련 영양 역학연구의 결과로서 그 의의가 크다. 또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크롬의 한국인 영양 섭취 기준 개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크롬 섭취 및 체내 크롬 농도와 이상지질혈증과의 명확한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인 크롬 식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대규모 코호트 연구와 임상시험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간 상대위험도 변동을 고려한 미세먼지 기인 질병부담 및 사회경제적 비용 추정 연구 (Health and Economic Burden Attributable to Particulate Matter in South Korea: Considering Spatial Variation in Relative Risk)

  • 변가람;최용수;길준수;차준일;이미혜;이종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486-495
    • /
    • 2021
  • Background: Particulate matter (PM)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premature death worldwide. Previous studies in South Korea have applied a relative risk calculated from Western populations when estimating the disease burden attributable to PM. However, the relative risk of PM on health outcomes may not be the same across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premature deaths and socioeconomic costs attributable to long-term exposure to PM in South Korea. We considered not only the difference in PM concentration between regions, but also the difference in relative risk. Methods: National monitoring data of PM concentrations was obtained, and missing values were imputed using the AERMOD model and linear regression model. As a surrogate for relative risk, hazard ratios (HRs) of PM for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mortality were estima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The nation was divided into five areas (metropolitan, central, southern, south-eastern, and Gangwon-do Province regions). The number of PM attributable deaths in 2018 was calculated at the district level. The socioeconomic cost was derived by multiplying the number of deaths and the statistical value of life. Results: The average PM10 concentration for 2014~2018 was 45.2 ㎍/m3. The association between long-term exposure to PM10 and mortality was heterogeneous between areas. When applying area-specific HRs, 23,811 premature deaths from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 in 2018 were attributable to PM10 (reference level 20 ㎍/m3). The corresponding socioeconomic cost was about 31 trillion won. These estimated values were higher than that when applying nationwide HRs. Conclusions: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estimate the premature mortality caused by long-term exposure to PM using relative risks derived from the national population. This study will help precisely identify the national and regional health burden attributed to PM and establish the priorities of air quality policy.

Changes in the Prosthesis Types Used for Aortic Valve Replacement after the Introduction of Sutureless and Rapid Deployment Valves in Kore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 Woo, Hyeok Sang;Hwang, Ho Young;Kim, Ho Jin;Kim, Joon Bum;Lee, Sak;Lim, Cheong;Chang, Byung-Cheul;Lee, Na Rae;Suh, Youshin;Choi, Jae Wo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5호
    • /
    • pp.369-376
    • /
    • 2021
  • Background: Sutureless and rapid deployment valves for aortic valve replacement (AVR) were introduced in Korea in December 2016. This study evaluated changing trends in the prosthetic valves used for AVR in Korea after the introduction of sutureless and rapid deployment valves. Methods: From December 2016 to December 2018, 4,899 patients underwent AVR in Korea. After applying the exclusion criteria, 4,872 patie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changes in the type of prosthetic valve used for AVR. The study period was divided into 5 groups corresponding to 5-month intervals. Results: The total number of AVR cases was 194.88±28.78 per month during the study period. Mechanical valves were used in approximately 27% to 33% of cases, and the proportion of mechanical valve us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marginal significance overall (p=0.078)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patients less than 60 years of age and in men (p=0.013 and p=0.023, respectively). The use of sutureless valves increased from 13.4% to 25.8% of cases (p<0.001), especially in elderly patients (>70 years) and those requiring concomitant surgery. In a comparison between sutureless and rapid deployment valves, the use of Perceval S valves (a type of sutureless valve), gradually increased (p<0.001). Conclus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sutureless and rapid deployment valves in Korea, the rate of use of these new valves remarkably increased, especially in elderly patients and those requiring concomitant surgery. Further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clinical outcomes of these new prostheses.

한국 성인에서 흡연 및 음주와 비타민 D 수준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among Korean Adults :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 이윤경;박종;류소연;최성우;신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31-2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의 흡연, 음주와 비타민 D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만 19세 이상 성인 대상 15,568명 중 만 19세 미만인 자, 비타민 D 측정누락자, 비타민 D 급원식품 섭취빈도 누락자를 제외한 3,565명을 이용하였다. 대상자는 비흡연음주군(비흡연과 비음주), 흡연군, 음주군, 흡연음주군(흡연과 음주)의 4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혈중 비타민 D 평균 농도는 $16.5{\pm}0.20ng/mL$, 비타민 D 수준이 불충분이거나 결핍인 경우가 73.5%였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흡연과 음주에 따른 비타민 D 불충분 위험요인으로는 비흡연음주군에 비해 오즈비가 흡연군 2.281(95% CI 1.080-4.817)배, 흡연음주군 1.356(95% CI 1.010-1.922)배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 흡연, 음주와 비타민 D 수준은 한국성인에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추적 조사를 통한 코호트 연구를 시행할 수 있다면 흡연 및 음주와 비타민 D 수준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정확한 결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