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science

검색결과 3,791건 처리시간 0.029초

명제 태도의 퍼즐들:Zalta 의 타협안 (Puzzles of Propositional Attitudes:Zalta's Eclectic Solution)

  • 박우석
    • 인지과학
    • /
    • 제6권1호
    • /
    • pp.31-46
    • /
    • 1995
  • 뜻(Sense)과 지시체의 구별을 근간으로 하는 프레게류 의미론에 의하면,같은 지시체를 갖는 이름들의 인지적 의미는 서로 다를수 있다.그 반면,프레게의 뜻을 어떤 이름의 지사체를 결정함애 있어 매개적인 역할을 하는 존재자라 보고 단호히 거부하는 소위 직접 지칭론자들은 문맥에 관계없이 같은 지시체를 갖는 이름들은 동일한 인지적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한다.그러나 일단 뜻을 배척하고나면,명제태도 문맥에서 왜 같은 지시체를 갖는 이름들이 대치될 수 없는지를 설명하기 어렵고,따라서 명체 태도의 퍼즐들은 직접 지칭론의 아킬레스건이 되어 왔다.최근Zlata는 다소의 수정을 통해 프레게와 직접 지칭론자 양자의 중요한 통찰들을 희생하지 않으면서 양자의 관점을 종합하는 것이 가능하며,실제로 자신의 해결책은 명제태도의 퍼즐들을 훌륭하게 해결해 준다고 주장한다.본 논문은 Zalta의 절충안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선결되어야 할 쟁점들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 PDF

다중인지갈등 상황에서 전구의 밝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사전개념 변화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through Multiple cognitive conflicts Strategy-Regarding Preconceptions about the Brightness of an Electric Bulb)

  • 정미영;차영;권재술;경재복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1호
    • /
    • pp.70-8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multipl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at remedying student's misconceptions. Elementary students have many misconceptions about the brightness of the electric bulb in simple dual circuits. Most of the misconceptions can be summed up as 'the more batteries or the fewer bulbs, the brighter is the output.' The students have learned about the brightness of the electric bulb while connected to a battery in Grade 4 and the brightness of multiple electric bulbs in Grade 5. However, about $50%$ of the students remain with the firm misconception that the brightness of the bulb is related to the number of source batteries. This strong misconception may not lead to a conceptual change in the case of only one cognitive conflict. This study used a multiple conflict strategy while tackling the cognitive conflicts in the students as they solved the problems many times. It involved 160 grade 5 students. The result was they often changed their misconceptions and used more scientific thinking than the same grade students of other schools. It remains to be seen if this success will transfer to other schools and students and we intend on studying further the differences in students regarding this learning process.

  • PDF

Asymmetrical Volume Loss in Hippocampal Subfield During the Early Stages of Alzheimer Disease: A Cross Sectional Study

  • Kannappan, Balaji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39-147
    • /
    • 2018
  • Hippocampal atrophy is a well-established imaging biomarker of Alzheimer disease (AD). However, hippocampus is a non-homogenous structure with cytoarchitecturally and functionally distinct sub-regions or subfield, with each region performing distinct functions. Certain regions of the subfield have shown selective vulnerability to AD. Here, we are interested in studying the effects of normal aging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on these sub-regional volumes. With a reliable automated segmentation technique, we segmented these subregions of the hippocampus in 101 cognitively normal (CN), 135 early mild cognitive impairment (EMCI), 67 late mild cognitive impairment (LMCI) and 48 AD subjects. Thereby, dividing the hippocampus into hippocampal tail (tail), subiculum (SUB), cornu ammonis 1 (CA1), hippocampal fissure (fissure), presubiculum (PSUB), parasubiculum (ParaSUB), molecular layer (ML), granule cells/molecular layer/dentate gyrus (GCMLDG), cornu ammonis 3(CA3), cornu ammonis 4(CA4), fimbria and hippocampal-amygdala transition area (HATA). In this cross sectional study of 351 ADNI subjects, no differences in terms of age, gender, and years of education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Though, the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after the multiple comparison correction) in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scores. There was asymmetrical volume loss in the early stages of AD with the left hemisphere showing volume loss in regions that were unaffected in the right hemisphere. Bilateral parasubiculum, right cornu ammonis 1, 3 and 4, right fimbria and right HATA regions did not show any volume loss till the late MCI stag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hippocampal subfield regions are selectively vulnerable to AD and also that these vulnerabilities are asymmetrical especially during the early stages of AD.

달의 운동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Primary Students Concept on the Movement of the Moon)

  • 최숙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9권1호
    • /
    • pp.41-5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 on the movement of the moon, after teaching a lesson about the lunar phase which focused on concrete activities. The 396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intact groups of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Pre-test and post-test instrument concerning on the conception in the movement of the moon were developed after reviewing the related literature and curriculum. Prevailing conceptions were identified by frequency of each conception. Then, the pattern of change and consistency of each conception were analyzed in comparison pre-test with post-test. To figure out the effect of teaching, the GEFT and the GALT instrument were administered to analyze it by gender, cognition mode and level. SPSS/WIN programs were used to process the data. The result showed that teaching 'movement of the moon' was the most effective in fourth grade. The effect of teaching 'changes in shape of the moon' was effective regardless of their sexes. Teaching 'changes in shapes of the moon' was mo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whose cognitive modes were field-independent, than those filed-dependent. But the improvement by the teach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re-score by cognitive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order of the formal operational, transitional stage and the concrete operational stage. But the improvement of conception after teaching was high in the order of the concrete operational, transitional stage and the formal operational stage. That is to say, teaching was more effective as the cognitive level lowered.

  • PDF

구조적 정렬: 개념적 시사점과 한계 (Structural Alignment: Conceptu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 이태연
    • 인지과학
    • /
    • 제17권1호
    • /
    • pp.53-74
    • /
    • 2006
  • 유사성은 인지구조와 그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사성 비교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대표적인 초기모형으로는 다차원 척도모형(Shepard, 1964; Nosofsky, 1991)과 대비모형(Tversky, 1977)이 있다. 그러나 초기 모형에 의해 설명되기 어려운 경험적 연구결과들이 발표되면서 유사성의 개념적 타당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Goldstone(1994)은 유사성이 속성차원간의 정렬과정에서 정의된다고 가정하고, 구조적 정렬 개념을 유사성을 둘러싼 개념적 논쟁들을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초기 유사성모형들의 기본 가정과 알고리즘을 개관한 후 속성차원에 대한 선택적 주의의 임의성이나 속성차원들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적 구조와 같이 초기 유사성 모형들에 의해 설명되기 어려운 개념적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SIAM(Goldston,, 1994)의 개념적 특징과 알고리즘을 알아본 후 구조적 정렬 개념이 범주화, 명사결합, 유추 추리 등의 인지심리학 분야들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개관하였다. 끝으로 자료 주도적 처리와 대안적 처리과정의 가능성과 관련된 SIAM의 한계점을 검토하고 가능한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남북한 향토음식에 관한 기호도 및 인지도 분석을 통한 향토음식 상품화 전략 - 서울·경기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 (Commercialization Strategy Based on Analysis of Domestic Consumers' Preference and Awareness on South and North Korean Regional Cuisine - Research on Consum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

  • 백은진;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34-74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 and awareness of consumers residing in the capital area with respect to South and North Korean regional cuisine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among adults over the age of 19 years who were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18.0. Results: Analysis of the survey participants' preference for South and North Korean regional cuisine showed that Hwanghae province had the highest preference by $4.35{\pm}1.72$ points, whereas Gangwon province had the lowest preference by $3.75{\pm}0.66$ points. Factorial analysis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gional cuisine resulted in 2 factors - 'locality' and 'health'.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participants could be sorted into two clusters by their awareness of Korean regional cuisine - 'the lower cognitive group' and 'the higher cognitive group'. Cluster analysis on the tourism commerci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regional cuisines showed that 'the higher cognitiv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regarding the following 3 items: 'merchandising strategy', 'popularization strategy' and 'marketing strategy' (p<0.001). Cluster analysis of the world commercialization strategy showed that 'the higher cognitiv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regarding all items of the 'R&D support strategy' and 'Food culture promotion strategy' categories than the 'the lower cognitive group' (p<0.01). Conclusion: Popularization strategies such as value perception based on the well-being concept, and standardization of recipes; merchandising strategies based on storytelling; and food and culture promotional strategies such as Korean cooking classes and food tasting events, were rated as effective commercialization strategies to increase the popularity of Korean regional cuisine.

치매예방을 위한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Activity Program for Preventing Dementia Against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 박금숙;정헌영;소선녀;박영희;양희정;정경란;문순주;김혜경;조정희;양경희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53-362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activity program for preventing dementia against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on 50 elderly who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25 for each group). Results: Cognitive fun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Z=4.217, p<.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Z=-2.324, p=.020) for the quality of life on the EQ-5D index. Conclusions: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activity program for preventing dementia was effective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refore, it is further encouraged to perform the activity programs for preventing dementia within other community health posts and community center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motional supports from community health posts in the future.

개념 학습에서 변칙 사례의 역할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Concept Learning)

  • 노태희;정은희;강석진;한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86-594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끓는점 학습에서 인지 갈등, 상태 흥미, 개념 변화 사이의 관계를 조사했다. 또한, 이들 관계에서 성에 따른 차이도 조사했다. 중학교 1학년 학생 370명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먼저, 학습된 오개념을 지닌 학생을 선별하기 위해 선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변칙 사례를 제시한 후,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와 상태 흥미 검사를 실시했다. CAI 프로그램으로 수업 처치를 한 후, 직후 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4주 후에 동일한 검사지로 개념 파지 검사를 실시했다. 인지 갈등과 상태 흥미 검사 점수는 모두 직후 개념 검사 및 개념 파지 검사 점수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상태 흥미가 인지 갈등 보다 개념 변화 및 개념 파지 정도를 예측하는데 있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에는 상태 흥미만이 개념 변화 및 개념 파지에 대해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인지 갈등만이 유의미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밀도 학습에서 변칙 사례의 제시 방식과 권위 수준이 인지 갈등과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sentation Type and Authority Level of Anomalous Data on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in Learning Density)

  • 노태희;김순주;강석진;김재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95-603
    • /
    • 2002
  • 밀도 학습에서 변칙 사례의 특성이 인지 갈등과 개념 변화에 미치는 여향을 조사했다. 남자 중학교 1학년 416명을 대상으로 논리적 사고력 검사와 선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그 후, 변칙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변칙 사례는 제시 방식(동영상/읽기 자료)과 권위 수준(상/하)에 따라 네 종류를 무작위로 제시했다. 밀도에 대한 컴퓨터 보조 수업 후, 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동영상으로 제사한 변칙 사례가 읽기 자료로 제사한 변칙 사례보다 인지 갈등을 더 많이 유발했다. 높은 권위 수준의 변칙 사례를 제시받은 학생들의 개념 점수가 낮은 권위 수준의 변칙 사례를 제시받은 학생들보다 높았다. 인지 갈등 점수와 개념 점수에서 변칙 사례의 특성과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사이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교육 목표 분석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on Elementary School Biology)

  • 심규철;이현욱;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9-544
    • /
    • 1998
  • 교육 목표 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이 실제 각 단원, 소단원 그리고 수업 차시 목표에 균형있게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제 6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등학교 자연과 생물 영역의 수업 목표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목표설정 영역은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창의성 영역, 정의적 영역과 STS 영역 등 6개이다. 인지적 영역의 교육목표가 가장 많았으나, 창의성 영역에 해당하는 것은 하나도 없었다. 단원 목표와 소단원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 탐구과정 영역, 정의 영역, 수공적 기능 영역, STS 영역 순으로 비중이 높았으나, 차시 수업 목표에서는 인지적 영역과 탐구 과정 영역이 대부분이었다. 목표 영역 중에서 인지적 영역과 탐구과정 영역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단원, 소단원과 차시의 수업 목표의 연계성이 부족하였으며, 특히 정의적 영역에서는 대단원, 소단원, 차시 수준으로 갈수록 그 비중이 급속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목표 설정 영역의 형식적인 구분보다는 교과서의 개발시 목표 영역의 일관성 있고, 균형 있는 반영을 고려해야 하며, 또한 목표 설정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안배가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