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Play

검색결과 283건 처리시간 0.021초

도시 대표경관의 인지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Research on Cognitive Factors of Urban Representative Landscape - Focused on Seoul -)

  • 이창연;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3-84
    • /
    • 2010
  • 도시이미지 안에서 대표경관들은 그 도시를 상징하며 사람들에게 그 도시의 도시다움을 느끼게 해주는 도시정체성의 중요한 기간자원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대표경관들이 어떠한 지각-인지의 조건들로 인해 대표성을 획득하게 되는지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먼저 서울시를 중심으로 도시 대표경관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종합하여 대표경관들을 도출하고, 그들 각각의 인지요인들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여 유형별 요인별로 다각적 비교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를 향후 대표경관 계획 및 관리방안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기본방향은 특히 가시적 요인, 심미적 요인, 활동적 요인,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주목할 만한 사실은 다면적 요인의 분석에 의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의 대표경관의 인지 순위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고, 이에는 시민들의 문화적 요인에 대한 인식의 비중이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직 기초적 연구결과이기는 하지만 후속 연구의 보완을 통해 향후 대표경관 계획과 관리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경제학에서 책임과 공감의 실종 및 그 복원 가능성 (Disappearance of Accountability and Sympathy in Economics, and the Possibility of Their Restoration)

  • 최정규
    • 인지과학
    • /
    • 제26권1호
    • /
    • pp.69-96
    • /
    • 2015
  • 본 연구는 도덕철학의 한 분과학문으로 출발한 경제학이 그 발전과정에서 어떻게 탈윤리적 학문으로 자리 잡게 되었는지를 학설사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경제이론에서, 혹은 더 큰 틀에서는 자유주의 내에서 도덕성의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을 살펴볼 것이고, 그러한 시도들에도 불구하고 도덕적 고려가 설 자리가 점점 사라져가는 과정을 추적해보면서, 그것이 왈라스적 패러다임, 즉 완전한 계약 패러다임의 성립과정과 병행되었음을 이야기할 것이다. 완전한 계약이라는 가정이 폐기되는 순간 경제주체의 비도덕성이 문제의 전면에 등장하며, 이는 다시금 경제학에서 도덕적 논의를 복원해낼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시해주는 것임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경제학에서 도덕감정의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하는 최근의 시도들을 간략히 검토할 것이다.

전문서비스의 만족과 몰입, 로열티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 Service Satisfaction, Commitment and Loyalty)

  • 천명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318-325
    • /
    • 2010
  • 본 연구는 전문서비스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강력한 충성도 구축을 위해 전문서비스만의 차별화된 특성을 반영한 충성도 구축 모형을 검증하고자 한다. 전문서비스는 서비스의 일반적인 특성 외에도 소비자가 서비스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없고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간의 지식불균형이 커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난 이후에도 서비스 만족과 품질을 평가하기 어렵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전문서비스는 이용과정에서 고객이 지각하는 만족과 감정이 충성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모형에서는 전문서비스 이용과정의 만족차원으로 반응적 만족, 상호작용 만족, 기술적 만족차원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감정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과의 관계, 몰입의 차원과 충성도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전문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지각하는 만족의 차원은 감정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을 모두 높이며, 이러한 몰입은 충성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마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감정이입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ole of Empathy for Facilitating Smart Work)

  • 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01-211
    • /
    • 2017
  • 기존 연구는 컴퓨터가 사람의 감성을 파악하고 반응하는 점에 관심을 두어 왔다. 하지만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갖는 감정이입에 대한 역할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진 못한다. 스마트워크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가 중간관리자의 정보통신기술 사용에 대한 두려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동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고, 지속적인 사용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감정이입의 역할에 대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 분석을 한 결과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감정이입이 애플리케이션 사용 대한 불안감을 줄이며, 동시에 애플리케이션 감정이입이 매개변수인 정서적 인지적 태도를 거쳐 해당 애플리케이션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강화한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감정 분류를 위한 한국어 감정 자질 추출 기법과 감정 자질의 유용성 평가 (A Korean Emotion Features Extraction Method and Their Availability Evaluation for Sentiment Classification)

  • 황재원;고영중
    • 인지과학
    • /
    • 제19권4호
    • /
    • pp.499-51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감정 분류에 기반이 되는 감정 자질 추출의 효과적인 추출 방법을 제안하고 평가하여, 그 유용성을 보인다. 한국어 감정 자질 추출은 감정을 지닌 대표적인 어휘로부터 시작하여 확장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추출된 감정 자질들은 문서의 감정을 분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서 감정 분류에 핵심이 되는 감정 자질의 추출을 위해서는 영어 단어 시소러스 유의어 정보를 이용하여 자질들을 확장하고, 영한사전을 이용하여 확장된 자질들을 번역하여 감정 자질들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한국어 감정 자질들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진 분류 기법인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를 사용해서 한국어 감정 자질로 표현된 입력문서의 감정을 분류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된 감정 자질을 사용한 경우가 일반적인 정보 검색에서 사용하는 내용어(Content Word) 기반의 자질을 사용한 경우보다 약 14.1%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대사를 생명력 있게 만드는 멘탈 이미지의 하위양식 (Sub-modality of Mental Images to Make lines Alive)

  • 최정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19-129
    • /
    • 2019
  • 연기교육에서 기존의 화술교육은 장단음 찾기, 자음과 모음의 조음연습, 딕션연습 등 대사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교육으로 대사가 말처럼 살아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사가 살아나는 순간은 배우가 대사를 말하는 사이 단어 이면의 멘탈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보는 순간이다. 필자는 뇌과학 분야에서 인지뇌과학과 NLP (Neural Linguistic Programing)의 지식을 빌려와 멘탈 이미지가 무엇인지, 왜 멘탈 이미지가 생각과 감정의 기본 요소인지를 추적한다. 또한, 멘탈 이미지를 섬세하게 떠올리는 과정(하위양식)에서 신체의 근육들이 어떻게 반응하게 되고, 그 반응하는 근육들을 이용해 어떻게 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의 말하기 재료들(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이 살아나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화술교육에서 왜 멘탈 이미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는지를 증명한다. 결론에서는 멘탈 이미지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배우가 만나게 되는 장애물에 대해 열거하고, 장애물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로 '호흡의 활성화'를 후속논문으로 계획한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읽기, 쓰기와 인지처리능력 연구 (A study on reading and writing and congnitive processing from multicultural in elementary)

  • 박순길;조증열;김은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57-165
    • /
    • 2015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을 알아보고 문식성에 영향을 주는 인지-언어적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초등 저학년 46명, 초등 고학년 39명, 전체 85명이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 거주기간은 4~16년이고, 국적은 필리핀, 일본,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우즈베키스탄, 스리랑카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쓰기, 인지-언어적 변인들은 학년이 높을수록 수행능력이 높았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예언변인이 시지각 하위변인인 시각형태항상성으로 나타난 것은 읽기의 선행조건에서 세부특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는 친숙한 단어보다는 세부특징에 대한 단서를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글을 처음 배우는 단계에서 통글자 위주의 지도보다는 자음과 모음의 특징을 인식시키는 훈련이 먼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Effect of Emotional Certainty on Attitudes in Advertising

  • Bok, Sang Yong;Min, Dongw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57-75
    • /
    • 2013
  • It is a well-established theory that emotion is influential in cognitive processing. Extensive prior research on emotion has shown that emotional factors, such as affect, mood, and feeling, play a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he or she has enough knowledge. Most of their findings focused on the effect of emotional valence (i.g., one's subjective positivity or negativity related with the emotion). Recently, several studies on emotion suggest that there is another dimension of emotion, which affects the type of cognitive processing. The studies argue that emotional certainty facilitates heuristic processing, whereas emotional uncertainty promotes systematic processing. Based on the findings, current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certainty on attitudes and recall. Specifically, the authors investigate the effect of certainty on how much effort individuals use to process advertising information and how certainty affects attitude formation toward the advertised product. The authors also focus on recall to clarify the working mechanism of certainty on attitudes, because recall performance reflects the depth of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previous findings, the authors hypothesize that uncertainty (vs. certainty) leads to more favorable attitudes as well as better recall, and conduct an experiment using a fictitious advertisement with 218 participants. The results confirm the predicted effects of certainty only on attitudes not recall. A possible explanation of this discrepancy between attitudes and recall lies in the measurement method, unaided recall. To rule out this possibility, the authors perform an additional analysis with the participants who recall any correct information of the target advertisement. The results show certainty has a negative effect on both attitudes and recall. A bootstrapping test reveals that recall mediates the effect of certainty on attitudes. This result confirms that certainty decreases elaboration, which in turn leads to less favorable attitudes relative to uncertainty. Additionally, our data shows the association among certainty, recall, and attitudes by showing the indirect effect of certainty on attitudes via recall. This research encourages practitioners in the field to emphasize that they should focus on target audiences' emotional certainty before they provide the persuasive message, by showing that uncertainty promotes effortful processing, which in turn leads to better memory and more favorable attitudes.

  • PDF

Time Perception and Memory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A Preliminary Study

  • Sung-Ho Woo;Jarang Hahm;Jeong-Sug Kyong;Hang-Rai Kim;Kwang Ki Kim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8-157
    • /
    • 2023
  • Background and Purpose: Episodic memory is a system that receives and stores information about temporally dated episodes and their interrelations.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episodic memory to time perception, with a specific focus on simultaneity/order judgment. Methods: Experiment 1 employed the simultaneity judgment task to discern differences in time perception betwee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and age-matched normals. A mathematical analysis capable of estimating subjects' time processing was utilized to identify the sensory and decisional components of temporal order and simultaneity judgment. Experiment 2 examined how differences in temporal perception relate to performance in temporal order memory, in which time delays play a critical role. Results: The temporal decision windows for both temporal order and simultaneity judgments exhibited marginal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with episodic memory impairment, and their healthy counterparts (p = 0.15, t(22) = 1.34). These temporal decision windows may be linked to the temporal separation of events in episodic memory (Pearson's ρ = -0.53, p = 0.05). Conclusions: Based on our findings, the frequency of visual events accumulated and encoded in the working memory system in the patients' and normal group appears to be approximately (5.7 and 11.2) Hz,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ternal clock model, a lower frequency of event pulses tends to result in underestimation of event duration, which phenomenon might be linked to the observed time distor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국내놀이터 공간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ygrounds Supporting Children's Creativity)

  • 윤여란;문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90-97
    • /
    • 2016
  • As the paradigm which emphasizes nurturing creative elites is introduced,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children playing and their creativity. This change means that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s emphasized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furthermore, playgrounds which focus on creativity and imagination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ygrounds for children and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them. There are fiv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creative playground: aesthetics, being eco-friendly, exploration, challenging and variable. Through the five characteristics, playgrounds were analysed based on ten expressive element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Creative playgrounds for children should have an attractive design with sculptural elements which stimulate children to be excited through associable shapes and abstract colors. Second, shelter type structures and a flexible flow design are needed so that children can feel free and be encouraged to explore in diverse ways. Third, as playgrounds for children provide spaces for rest in addition to play, organic facilities and eco-friendly materials for the rest space should to be used. Fourth, as childhood is a period when emotional, cognitive and physical development are achieved, organic geographical features and atypical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so that children can acquire extensive skills and join in physical activities. Finally, creative playgrounds for children should have mobile or variable facilities whi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want to do diverse activities and play different games. This study analysed playgrounds for children and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them. For successful design and use of creative playgrounds, it is suggested that intensive research on them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