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Organization Performance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8초

내부마케팅이 직무만족과 인지적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수자원공사를 중심으로 (Internal Marketing Approach to Internal Satisfaction and Cognitive Organization Performance : The Case of Korean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석영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74-38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수자원공사의 종업원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마케팅 요인 중 교육훈련, 보상제도, 의사소통, 권한위임의 선행변수가 직무만족과 인지적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내부 마케팅, 직무만족, 인지적 기업성과 등에 대한 문헌적 고찰과 한국수자원공사 내부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한국수자원공사 고객만족도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수자원공사의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4개의 요인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교육훈련, 보상제도, 의사소통요인이 유의한 것으로, 권한위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기업성과의 경우, 교육훈련과 의사소통요인이 유의한 것으로 보상제도와 권한위임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마케팅요인이 한국수자원공사의 성공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Special Guard Organization)

  • 김효준
    • 시큐리티연구
    • /
    • 제29호
    • /
    • pp.59-86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와 조직신뢰 및 조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1년 3월 서울소재 4개소 민간경비회사의 특수경비원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판단표집법을 이용하여 최종분석에 이용된 사례 수는 총 161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4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SPSS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이 .60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는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친다. 즉, 개발적, 합리적, 합의적, 위계적 문화가 활성화 되면 인지 감정적, 행동적 신뢰를 증가시킨다. 둘째,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합리적, 합의적 문화가 활성화 되면, 직무만족은 높다. 반면, 개발적, 합의적, 위계적 문화가 활성화 되면, 조직몰입은 높다. 셋째, 특수경비조직의 조직신뢰는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즉, 인지 감정적, 행동적 신뢰가 높게 작용하면, 직무만족, 조직몰입은 증대된다. 넷째, 특수경비조직의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즉, 조직문화는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조직신뢰의 하위 요인인 행동적 신뢰를 통하여 조직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PDF

테일러(R. S. Taylor)계 연구자 관점에서의 정보요구 및 탐색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the information service in the taylorian researcher's cognitive viewpoint)

  • 이승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245-276
    • /
    • 1995
  •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information service and its factors in the cognitive viewpoint. And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to help in developing future information systems and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aradigm of information user study is changing from the system-centered to the user-centered one. 2) The researchers describe the user's internal cognitive proces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information service. 3) The user's personal cognitive process influence the process of the information service over. And the focus is a microscopic one including the factors of the perception and recognition of the stimulus, remembering and searching information, reasoning the rules, recognition of the patterns, formalization of the concepts, etc. 4) The information librarian performs the role as a knowledge/ information system interface, and his knowledge structure reflects the organization of that knowledge/information system. 5) The information librarians can perform their role as information specialists actively and offensively. And the performance of the librarians can be measured on the scales of the su n.0, pplying capability of relevant information and the client satisfaction.

  • PDF

Intra-organizational Conflict and Innovative Performance in Media Industry: An Exploratory Simulation Study

  • Cheon, Youngjoon;Jeong, Seong Bin;Kwak, Kyu Tae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89-98
    • /
    • 2018
  • Media industry is attempting various types of strategic innovation in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as they enter transition period.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casually treat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from the management and realized that cognitive/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fic departments yield conflicts. This means the researchers explored les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with the conflict between sub-groups and constituent in the organization. Our study reviewed the most positive method to achieve the innovation outcome through the conflict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 and applied computer simulation model for analysis to construct the quantitative scenario and infer the result. Conflict always found while media organization experiences innovation within the groups. However, in the long term, securing the independence through the certain state of 'anarchy' which possibly lead consensus implies significance rather to comprise collegiate system for unilateral control. In specific, this study explored the issues in 'conflict management' that has been evaded in media organization research through NK simulation model.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도구로서 Trajectory Mapping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ajectory Mapping Method as a User Interface Design Tool for Mobile Devices)

  • 이석원;명노해
    • 산업공학
    • /
    • 제22권1호
    • /
    • pp.17-25
    • /
    • 2009
  • In mobile device's user interface, menu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as well as menu structure because small display of mobile device. Menu items should be organized based on user knowledge structure to design user-centered interface. Traditionally, MDS (Multidimensional Scaling) have been most often used to expose users' perceived organization of menu items. But, information that MDS reveals is just relative spatial location of concepts and not relevant to concepts connection. Unlike MDS, Trajectory Mapping explicitly finds users' cognitive links between perceived concepts. This study proposes a Trajectory Mapping technique for eliciting knowledge structure, especially a set of cognitive pathways linking menu items, from end user. With twelve participants, MDS and Trajectory Mapping were conducted using cellular phone's menu items. And user knowledge structure was analyzed through Visual Concept Map that combination of results of MDS and Trajectory Mapping. After then, menu item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users' perceived organization. Empirical usability test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showed that usability, in terms of task performance time, number of errors, and satisfaction, for newly organized interfa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 to original interfac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to design a user-centered interface. In other words, Trajectory Mapping technique can be used as a design tool of user interface for imposing user knowledge structure on the interface.

조직문화유형별 종업원의 직무인지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about the Employee's Cognitive Jop Within the Organization Culture)

  • 강정애
    • 인지과학
    • /
    • 제7권1호
    • /
    • pp.85-103
    • /
    • 1996
  • 본논문은 조직문화 유형에 따라 종업원의 직무인지도에 차이가 존재하는가에 관한 연구이다.이미 많은 선행 연구를 통해 조직문화 유형과 조직성과간의 관계규명이 이루어져 왔지만 본 논문에서는 Rousseau가 제시한 조직문화 모형을 적용시켜 조직내 종업원들의 직무인지도 차이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Rousseau의 조직문화모형은 건설형문화,수동적 방어형 문화, 적극적 방어형 문화의 3가지로 구분되는데 각 문화와 종업원의 직무인지도간에 어던 특성이 존재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았다.건설형 문화형태의 조직구성원은 결과변수로 채택한 태도변수간에 매우 긍적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방어형 문화형태의 하나인 수동적 방어형 문화형태의 조직구성원은 태도변수값이 모두 마이너스를 나타냈으므로 역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적극적 방어형 문화형태의 결과는 건설형 문화형태와는 비교할 수 없지만 수동적 방어형 문화 형태의 결과에 비해서는 약간 긍정적인 관계로 나타났다.그러므로,조직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문화의 형태가 건설형 문화형태를 갖도록 하고 방어적인 문화형ㅇ태를 최적화하도록 조직문화를 개발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 할수 있었다.

  • PDF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리더십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Job Performance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ship)

  • 이일주;이상철;김양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544-555
    • /
    • 2019
  • 최근 급변하는 기업경영환경 속에서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커지고 있으며, 조직 내 업무효율성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종업원은 조직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치 있는 인적자원이라 할 수 있으며, 조직에서 목표 및 목적을 달성하는 데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만족을 인지적 만족도와 정서적 만족도로 구분하여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간의 어떠한 관련성이 존재하는지 확인하다. 또한 리더십 유형이 만족도와 직무성과간에 어떤 조절효과가 있는지도 분석하였다. 인지적 만족도와 정서적 만족도가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결과, 모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무만족 중에서 정서적 만족도의 영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리더십 유형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리더십이 직접적으로 조직성과에는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만족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래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정서적 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HRTF를 이용한 2채널 스테레오 음원을 수정 및 편집 할 수 있는 입체음향 저작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tereo Sound Authoring Tool to Modify and Edit 2Channel Stereo Sound Source Using HRTF)

  • 김영식;김용일;배명수;전수민;이대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09-912
    • /
    • 2017
  •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훈련체계를 구현하는데 있어, 청각적인 요소는 시각적인 요소 다음으로 인간의 중요한 인지 능력을 담당한다. 특히 청각 능력의 향상은 훈련 시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훈련 효과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높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가상훈련체계를 구축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음향시스템을 기존에 단순한 재생이 아닌 사용자 혹은 개발자가 필요로 하는 음원을 직접 저작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었으며, 머리전달함수(HRTF: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를 이용한 음원을 수정 및 편집하고 사용할 수 있는 시험체계를 개발하였다. 체계 성능 평가를 위하여 기능 및 청감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관계적에너지와 회복탄력성이 직무재창조를 통하여 개인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Relational Energy and Resilience on Individual Job Performance through Job Crafting)

  • 남은우;선은정;서영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29-544
    • /
    • 2022
  • 4차산업혁명시대에 글로벌팬데믹을 맞이함에 따라 기업의 경영환경은 급격한 변동성과 불확실성에 휩싸였다. 특히, 유연근무제의 확산으로 조직이 높은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조직구성원과의 관계관리와 자기주도적 직무재창조가 중요한 핵심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 조직내 관계적 에너지와 회복탄력성이 직무재창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직무재창조가 개인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연구를 위해 일반기업 직원을 대상으로 400개의 유효한 응답에 대하여 SPSS 26.0과 Smart PLS 3.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관계적 에너지가 과업재창조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관계적에너지는 관계재창조와 인지재창조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직무재창조를 구성하는 과업재창조와 관계재창조, 인지재창조 모두에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재창조는 개인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후속연구자들과 이해관계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가상협업을 위한 프로세스 모형 (A Process Model for Virtual Collaboration: Theoretical Synthesis and Empirical Exploration)

  • 서아영;신경식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8권2호
    • /
    • pp.73-94
    • /
    • 2008
  • When individuals collaborated in virtual settings, communication is medicated through a variety of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is associated not only with communication effectiveness but also with socio-emotional interactions among group members. In this regards, scholars have examined how technology-mediated communication systems can be designed and used to facilitated communication interaction. However, the empirical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inconsistencies i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media on users' behavioral or attitudinal responses, and on their viable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Some studies claim that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 is task-oriented but not suitable for emotional expression since it hinders close interpersonal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some studies argue that individuals are able to develop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ore effectively in a CMC environment than in an FtF-environment. Due to the different perspectives, a theoretical gap exists, and it leads to the inconsistent research find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bine the two different perspectives into single unified model, thereby providing a more realist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bout virtual collaboration. The present study here sought to answers the following questions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erspective: What are the major components of virtual collaboration? What factors affect the performance of virtual collaboration? And what kind of managerial efforts should organization make in order to facilitate CMC media effectiveness in virtual collaboration? Although there is a certain belief that new media, namely technology-mediated communication support would create new opportunities, the problem of "how" or "why" has been an important question that is still not fully addressed. In this regards, we collectively reexamined previous literatures with major issues which are still controversial and integrated various theoretical activity with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domain: task-oriented approach, socio-emotional approach, and evolutionary psychological approach. Our first contribution is to develop a framework for virtual collaboration by combining two different perspectives into a single unified model, providing a more realist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e second main contribution is the joint modeling of both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effort, and the effects on two distinct but important communication outcomes(i.e., take performance and relational development). We tested the research hypotheses which were developed based on the various CMC theories using data gather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mail survey of 127 individuals of 69 virtual workgroups. The proposed model was supported, providing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tension between two opposite view should be integr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processes(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effort) in a virtual environment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 of CMC inputs (media richness, user adaptation, and shared contest) on the CMC outputs (task performance and relational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shows that the lack of perceived media richness of CMC media can be complemented by user adaptation and shared context.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how communication system should be designed and implemented so as to promote virtual interaction as well as how a virtual workgroup should be composed to complement the lack of media richness. A virtual collaboration using CMC media may create new value by overcoming the logistical constraints. On the other hand, it may also generate various managerial risks such as communicational depersonalization, process dissatisfaction, and low cohes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organization managers should carefully choose the CMC mediums and monitor individual member's cognitive and affective psychological processes during virtual collaboration to reduce potential risks in virtual collab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