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efficient of sedimentation and consolid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초

세립분 함유량에 따른 준설토의 침강 및 자중압밀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tion and Self-Weight Consolidation for Dredged Soil Depending on Fines Content)

  • 이범준;이무철;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8호
    • /
    • pp.129-135
    • /
    • 2007
  • 준설토의 침강 및 자중압밀 특성에 대한 세립분 함유량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기 위하여 세립분 함유량을 각각 달리한 실내 자중압밀 시험을 수행하였다. 준설토에 대한 실내시험 결과에서 실내자중압밀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침강압밀계수(Cs)는 함수비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침강압밀계수가 세립분 함유량에 의존적이라는 사실 역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행한 실내 자중압밀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세립분 함유량과 침강압밀계수와의 관계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차후에 세립분 함유량을 이용하여 침강압밀계수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국내 서해안 준설토의 침강압밀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ation and consolidation for dredged clay in the west coastal of Korea)

  • 전상현;유남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90-1197
    • /
    • 2009
  • Design parameters related to Yano's method(1984, 1985), one of experimental approaches having been used widely in Korea to estimate sedimentation and consolidation of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were analyzed and their propriety were reassessed in this paper. Data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settling test results using samples from the west coastal area of Korea. From analysis of results, for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se dredged and reclaimed marine soft clays, co-relations of initial water content - coefficient of sedimentation/ consolidation - initial setting velocity were evaluated. Relation between height of soil solid and surface height of slurry at the stages of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consolidation was also assessed. Finally ranges and average values of these design parameters were evaluated and typical empirical equations between these design parameters were also proposed.

  • PDF

세립분 함유량 및 투기고에 따른 준설토의 자중압밀 특성 (Characteristics of Sedimentation and Self-weight Consolidation of Dredged clay Focusing on Fines Content and Falling Height)

  • 김진영;김혜린;장정민;이성열;정운기;진영식;정효진;백원진;강권수;고남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6호
    • /
    • pp.39-45
    • /
    • 2016
  • In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elf-weight consolidation on the dredged clay according to the fines content and falling height. Research was performed with the dredged clay sampled by Sae-mangeum field site. Classification of fines content was performed by sieve analysis test. After adjusting the fine content, self-weight consolidation tests were carried out focussing on the variation of fines content and falling heights. From the test results of the self-weight consolidation test, samples with high fines content had reached sedimentation completion more later than ones with less fine content samples. In other words, the start of self-weight consolidation was slowing down with increasing of fines content. Also, from the test results of calculating the coefficient of sedimentation consolidation, the coefficient value were increased with the fines content increases. In addition, the change of sedimentation ratio and volume ratio showed more higher changed value as the fine content increases. Thu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fines content when estimate the settlement time of dredged soil in field dredge work.

서해안 준설토의 침강압밀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Research About Settling and Consolidation Characteristic of Dredged Soil in West Coast)

  • 이승호;이정학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29-3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침강압밀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준설투기가 예상되는 대표시료 중 점성토와 사질토를 대상으로 침강시험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침강압밀계수($C_s$), 함수비와 계면고의 관계에서 점성토와 사질토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준설매립 직후 초기 체적변화 예측결과 점성토에서는 시간에 따른 함수비변화가 급감하였으나 사질토층에서 함수비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본 실험에서 적용한 실험조건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위해 실질토량고에 따른 침강압밀계수와 초기침강 속도를 분석한 결과 실험조건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은 분석으로 재료 각각에 대하여 압밀침강특성치의 범위와 평균 및 대표적인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해역별 준설토의 침강압밀 및 매립지 표층강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tion-Consolidation and Surface Strength for Dredging and Landfill Areas in Each Coast)

  • 이상웅;구본효;최차석;이준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7호
    • /
    • pp.15-22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해역별 준설토의 침강압밀 특성 및 투기장 내 매립된 준설매립토의 표층강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준설토의 자중압밀특성 분석을 위하여 Column test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문헌자료 및 해역별 준설토 투기장 설계 자료와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휴대용 콘 관입시험기를 이용하여 서해 및 남해 연안 주요 매립지에서 현장시험을 수행하고 준설토의 매립 후 표층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침강압밀계수는 남해안 지역의 준설토가 서해안 준설토 보다 초기 함수비에 대해 좀 더 예민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설매립지의 표층강도는 서해안이 남해안보다 큰 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준설매립분야의 해석 및 설계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해성점토의 침강압밀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edimentation-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for Marine Clay in Korea)

  • 전상현;유남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89-98
    • /
    • 2009
  • 본 연구는 해성점토의 준설매립시 침강 및 자중압밀거동 분석을 위한 침강압밀특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국내 해성점토에 대한 침강실험을 실시하고, 기존 자료와 함께 고찰하였다. 침강압밀의 거동은 Yano가 제안한 방법이 국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특성치를 평가하였다. 침강실험은 남해안 해성점토 4개와 서해안 해성점토 4개에 대하여 초기함수비와 초기높이를 변화하는 조건으로 높이 1m의 Column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남해안 및 서해안 해성점토 각각에 대한 침강-압밀특성을 도출하였다. 초기함수비에 따른 압밀침강계수와 초기침강속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문헌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상관성을 갖는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실질토량고와 압밀침강과정 시작 및 종료시 계면고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 남해안 및 서해안 해성점토 각각에 대하여 침강압밀특성치의 범위와 평균 등을 제안하였으며, 대표적인 관계식을 산정하였다. 또한, 남해안 및 서해안의 해성점토가 갖는 침강-압밀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점토와 매립회 혼합토의 압밀특성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Clay and Pond Ash Soil Mixture)

  • 채덕호;윤찬영;김경오;조완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0호
    • /
    • pp.45-5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세립토인 카올리나이트와 매립석탄회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준설토와 매립석탄회를 혼합한 매립지반의 압밀특성을 살펴보았다. 인공 혼합토를 성형하기 위하여 퇴적 토조를 제작하여 카올리나이트 슬러리에 석탄회를 30% 혼합하여 동일한 응력이력을 가지는 시료를 성형하였다. 매립지반의 연직방향과 횡방향의 압밀 및 압축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압밀시험과 Rowe Cell 압밀시험을 수행하였다. 표준압밀시험 시험 결과, 점토 시료에 비하여 매립석탄회를 같이 혼합하는 것이 낮은 압축성과 높은 압밀계수틀 갖게 되어 매립지반의 조기 안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직배수재 설치시 횡방향 압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Rowe cell 시휘에서 연직배수재를 설치하여 암밀시험을 수행하였다. Rowe cell 시험결과, 혼합토의 횡방향 압밀계수 또한 순수 카올리나이트 시료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어 매립회의 혼합이 압밀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consolidation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 Lei, Huayang;Feng, Shuangxi;Jiang, Ya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6권2호
    • /
    • pp.125-140
    • /
    • 2018
  • Tianjin, which is located on the west shore of the Bohai Sea, is part of China's Circum-Bohai-Sea Region, where very weak clay is deposited. From the 1970s to the early $21^{st}$ century, Tianjin marine clay deposits have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geotechnical investigations. Because of these deposits' geological complexity, great depositional thickness, high water content, large void ratio, excessive settlement, and low shear strength,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need to be summarized and evaluated based on various in situ and laboratory tests so that Tianjin can safely and economically sustain more infrastructure in the coming decades.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especially its consolidation properties, are summarized, evaluated and discussed. The focus is on establishing correlations between the geotechnical property indexes and mechanical parameters of Tianjin marine clay. These correlations includ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water content and the void ratio, the depth and the undrained shear strength, the liquid limit and the compression index, the tip resistance and the constrained modulus, the plasticity index and the ratio of undrained shear strength and the preconsolidation pressure. In addition, the primary consolidation properties of Tianjin marine clay, such as the intrinsic compression line (ICL), sedimentation compression line (SCL), compression index, $C_c$, coefficient of consolidation, $C_v$, and hydraulic conductivity change index, $C_{kv}$, are evaluated and discussed. A secondary consolidation property, i.e., the secondary compression index, $C_a$, is also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ratio of $C_a/C_c$ for Tianjin marine clay can be used to calculate $C_a$ in secondary consolidation settlement predictions.

조립토가 혼합된 준설토의 퇴적 및 압밀특성 (Sedimentation and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Dredged Soils Mixed with Sand Materials)

  • 이송;전종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75-8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준설토 전체건조시료중의 모래함유율을 모래혼합비율, S-C라고 정의하고 단계별 투기방법에 의한 실내침강압밀시험을 통하여 S-C별 침강 및 압밀, 퇴적현상을 제시하였다. 또한 혼합토에서 서로 다른 거동을 보이는 점토분과 조립분을 분리시켜 S-C에 따른 점토분만의 간극비와 침하량을 계산하였다. 투기완료 후 S-C별 실내시험결과를 기존의 경험적인 해석방법과 쌍곡선법을 응용한 새로운 방법으로 산정한 투기완료 후의 계면고, 체적비 변화와 비교,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자중압밀완료 후 S-C가 증가할수록 액성한계가 혼합토의 컨시스턴시에 대한 영향을 많이 끼치며, 그 한계는 대략 65%로 판단된다. S-C에 따라 점토성분만의 간극비를 계산한 결과, 점토간극비는 S-C가 0%와 50%의 경우 투기완료 후 시간이 아무리 경과되더라도 각각 2와4이하가 될 수 없음을 보였다. 침하와 시간의 관계에서 재초기화 곡선의 시작점은 矢野弘一郞(1985)가 제시한 팀강곡선의 변곡점에 해당하였고 직선과 상관계수가 거의 1인 재초기화 곡선의 거동을 보였다. 재초기화 곡선의 기울기와 절편은 30cm이후 전체높이 별 지수함수의 형태로 파악하는게 타당하다고 판단되며, 시료높이별로 계면고변화를 고려하고 투기완료 후 기울기가 시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쌍곡선 법을 응용한 예측방법이 기존의 경험적인 방법보다 모래의 영향을 고려한 지역에서 준설 매립 할 경우 더 합리적이라고 판단된다.

인천지역 항로 준설토의 침강자중압밀시험에 의한 유보율 결정에 관한 연구 (Retention Ratio of Dredged Soil at Incheon Habour Route using Self-Weight Consolidation Test)

  • 신은철;박영진;강정구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57-66
    • /
    • 2017
  • 준설 매립 부지의 최종 계획고를 얻기 위한 초기 준설 매립량과 매립두께를 결정하고 자중압밀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인천지역 항로 준설 시료에 대한 자중압밀시험과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준설투기된 시료의 시간경과에 따른 함수비, 간극비 및 체적변화비에 관한 인자를 Yano의 경험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세립분 함유율이 낮은 경우 침강압밀계수의 변화폭이 작게 나타났으며, 세립분 함유율 50%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자중압밀에 따른 체적변화비를 이용하여 준설매립공사에 제시된 입도별 유보율의 포괄적인 측면을 보완할 수 있는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유보율을 산정하여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