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Sedimentation-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for Marine Clay in Korea

국내 해성점토의 침강압밀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Received : 2009.06.22
  • Accepted : 2009.07.22
  • Published : 2009.10.01

Abstract

In this research, settling tests with marine clays in Korea and extensive literature review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tion and consolidation so that their behaviors during dredging and reclamating could be evaluated. Design parameters related to Yano's method (1985), one of experimental approaches having been used widely in Korea to estimate sedimentation and consolidation, were analyzed and their proprieties were reassessed. For samples from four different sites of south and west coasts in Korea respectively, settling tests with 1m height of columns were carried out, changing initial water content and height of sample in order to evaluate settling and consolidation characteristics of them from analyzing test results. More reliable regression curves than values from literature review were obtained as analyzing test results of estimating coefficient of sedimentation/ consolidation and initial setting velocity with changing initial water content. Relation between height of soil solid and surface height of slurry at the stages of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consolidation was also assessed. Finally, for marine clays of south and west coasts of Korea, ranges and average values of these design parameters were evaluated and typical empirical equations between these design parameters were also proposed. On the other hand,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of sedimentation and consolidation between marine clays from south coast and them from west coast were also performed.

본 연구는 해성점토의 준설매립시 침강 및 자중압밀거동 분석을 위한 침강압밀특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국내 해성점토에 대한 침강실험을 실시하고, 기존 자료와 함께 고찰하였다. 침강압밀의 거동은 Yano가 제안한 방법이 국내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특성치를 평가하였다. 침강실험은 남해안 해성점토 4개와 서해안 해성점토 4개에 대하여 초기함수비와 초기높이를 변화하는 조건으로 높이 1m의 Column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남해안 및 서해안 해성점토 각각에 대한 침강-압밀특성을 도출하였다. 초기함수비에 따른 압밀침강계수와 초기침강속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존문헌과 비교하여 보다 높은 상관성을 갖는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실질토량고와 압밀침강과정 시작 및 종료시 계면고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으로 남해안 및 서해안 해성점토 각각에 대하여 침강압밀특성치의 범위와 평균 등을 제안하였으며, 대표적인 관계식을 산정하였다. 또한, 남해안 및 서해안의 해성점토가 갖는 침강-압밀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

References

  1. 고영석 (2001), 준설매립점토의 침강 및 자중압밀에 대한 실 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pp. 36-102.
  2. 김영수 (2000), 준설토의 침강․ 자중압밀 해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pp. 43-56.
  3. 김형주, 오근엽 (1999), 연약한 준설 매립 점성토지반의 자중압밀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15권, 제2호, pp. 129-138.
  4. 박진호 (2003), 동남임해지역 준설매립토의 침강․ 자중압밀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pp. 34-563
  5. 삼성물산(주), (주)한아엔지니어링 (2002), 광양항 3단계 준설토 투기장 가호안 축조공사 지반조사보고서(2) 침강 및 자중압밀시험, pp. 36-41.
  6. 유남재, 안중선, 이종호, 유병상 (1998), 준설매립토 지반의 체적변화량 예측, 199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대한토목학회, pp. 307-310
  7. 이송, 이규환, 심민보 (1999), 준설점토의 체적비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19권, 제III-5호, pp. 985-994.
  8. 전제성 (2000), 연약지반의 압밀거동 예측을 위한 비선형 압밀해석,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pp. 57-97.
  9. 정규향 (2005), 고함수비를 갖는 준설점토의 압밀특성,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pp. 77-87.
  10. (주)대영엔지니어링, 한라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9), 99-5951-2 시설공사 준설토의 침강 및 자중압밀특성연구, pp. 67-73.
  11. (주)대영엔지니어링, 한라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5), 부산신항 남컨 준설토 투기장 준설토 침강 및 자중압밀 분석 연구, pp. 40-44.
  12. (주)포스코건설, (주)대영엔지니어링 (2003), 광양항 중마 일반부두 축조공사 지반조사(개별) 보고서 제3권 연구성과, pp. 95-105
  13. 최성운 (2003), 준설토의 2차원 퇴적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산업대학원, pp. 24-39.
  14. 하영조 (2001), 준설토의 자중압밀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pp. 31-69.
  15. 한국지반공학회 (2004), 지반공학 시리즈 10 준설매립, 구미서관, pp. 12-28.
  16. 矢野弘一郞, 鶴谷和夫, 山內豊聰 (1984), 浚渫泥土の分離堆積, 土と基礎, Vol. 32, No. 5, pp. 23-28.
  17. 矢野弘一郞 (1985), 浚渫粘土による軟弱埋立地盤の性狀とその豫測, 日本土木學會論文集, Vol. 364, No. III-4, pp. 1-15.
  18. Gibson, R. E., England, G. L., Hussey, M. J. L. (1967), The Theory of One-Dimensional Consolidation of Saturated Clay I : Finite Non-Linear Consolidation of Thin Homogeneous Layers, Geotechnique, Vol. 17, pp. 261-273. https://doi.org/10.1680/geot.1967.17.3.261
  19. Imai, G. (1981), Experimental Studies on Sedimentation Mechanism and Sediment Formation of Clay Materials, Soil and Foundations, Vol. 21, No. 1, pp. 7-20. https://doi.org/10.3208/sandf1972.21.7
  20. Mikasa, M. (1963), The Consolidation of Soft Clay-A New Consolidation Theory and its Application, Kajima Institution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pp. 126-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