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kle shell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2. 함질소엑스성분 및 무기성분의 비교- (Comparision of Food Components in the Raw, Cooked Meat and Cooked Meat Extracts of Cookie Shell -2. Nitrogenous compounds and minerals-)

  • 김귀식;하봉석;배태진;진주현;김현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119
    • /
    • 1993
  • 최근 생산량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연간생산량 중 거의 절반이 남해안의 전남해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새조개의 맛에 기여하는 맛성분을 구명하기 위하여 여수해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새조개를 시료로 하여 생육과 자숙육, 그리고 자숙액즙의 함질소엑스화합물 및 무기성분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은 생육과 자숙육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rginine, lysine, leucine 및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자숙액즙에는 glutamic acid의 용출율이 가장 높아 $21.7\%$였고 cystine의 용출율이 가장 낮아 $7.3\%$였다. 생육, 자숙육, 자숙액즙 모두 유리아미노산 조성중 필수아미노산은 lysine, arginine 및 leucine의 함유율이 높았고 methionine, histidine 및 tryptophane의 함유율이 낮았다 그리고 비필수 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및 alanine의 함유율이 높았고 proline, tyrosine, serine 및 cysteine의 함유율이 낮았다. 핵산관련물질은 생육과 자숙육 모두 ATP, ADP, AMP, inosine 및 hypoxanthine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자숙액즙에는 미량의 ATP, ADP, AMP 및 hypoxanthine이 검출되었다. 핵산관련 물질은 자숙함에 따라 ATP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ADP, AMP, inosine 및 hypoxanthine은 약간 증가하였다. TMA 함량은 생육에 $0.3mg\%$이었던 것이 자숙시 $0.8mg\%$로서 다소 증가하였고 TMAO 함량은 생육에 $5.2mg\%$이었던 것이 자숙시 $4.5mg\%$로 다소 감소하였다. betaine함량은 매우 적었다. 무기성분중 P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K, Ca 및 Zn의 순이었고 Fe, Zn의 함량은 다른 패류에 비해 높았다. 자숙액즙에는 P, Zn 및 Na의 용출율이 높아 각각 $15\%,\;12.2\%$$11.9\%$였다.

  • PDF

cox1 분자마커를 이용한 한국산 패류 천공성 다모류 Polydora haswelli (Polychaeta, Spionidae) 유전자 다양성 발굴 (Genetic Diversity of Polydora haswelli (Polychaeta, Spionidae) in Korean Shellfish using cox1 Marker)

  • 이순정;김승민;권문경;이상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685-690
    • /
    • 2021
  • Harmful shell-boring species of the genus Polydora (Polychaeta: Spionidae) were frequently reported from commercially important mollusk species in Korea, Japan and China.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howed limitations for species discrimination among shell-boring species. Therefore, DNA barcoding was adopted to identify Polydora species using molecular markers. Two Polydora species (P. haswelli and P. hoplura) in abalone shells were reported from our previous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In this study, we additionally reported the presence of shell-boring Polydora haswelli in commercially sold shellfish. The taxon-specific cox1 marker used in this study successfully allowed the isolation of P. haswelli from cockle Scapharca subcrenata, mussel Mytilus galloprovincialis,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scallop Argopecten irradians. Polydora hoplura was not found in these shellfish species. The genetic variations were found on the intraspecific level of P. haswelli and the same genotype was also detected in different shellfish species. This result can provide information on a new host and accurate parasitic Polydora species. Moreover, this report can be used as the biodiversity data of Polydora species on the invasion and transition of harmful Polydora species in mollusk aquaculture farms.

꼬막, Tegillarca granosa의 생존과 대사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Survival and Metabolism of ark shell, Tegillarca granosa)

  • 문태석;신윤경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1-177
    • /
    • 2010
  • We examined physiological responses related to the survival, oxygen consumption and filtration rate of the blood cockle, Tegillaarca granosa as a result of salinity changes. The 44-day $LS_{50}$ (median lethal salinity) at $10^{\circ}C$ for adult and juvenile was 15.8 (confidence limits 13.5-18.2 psu) and 16.2 (confidence limits 14.1-18.4 psu) psu respectively, whereas the 11-day $LS_{50}$ at $25^{\circ}C$ for adult and juvenile was 16.8 psu (confidence limits 12.9-21.2 psu) and 22.4 (confidence limits 20.5-24.7 psu) psu respictively. In conditions of decreasing salinity, Oxygen consumption and filtration rates decreased or varied irregularly as salinity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e important in investigating causes of mass mortality and managing shellfish aquaculture farms.

우리나라 꼬막양식업의 발상과 발달과정 (Origin and Developing Process of Ark-shell Culture Industry in Korea)

  • 배수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2-82
    • /
    • 1986
  • 우리나라에는 옛부터 천해간석지에서 김, 굴과 함께 꼬막의 세가지 품종이 양식되어 왔다. 따라서 우리나라 꼬막양식업의 발상여건과 산업적인 추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전의 자료에서 부터 최근의 자료까지를 조사${\cdot}$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꼬막의 명칭(호칭)을 조사한 결과 중국에는 9종의 이름이 있으나 저이 대표적인 이름이고, 일본에는 하이가이. 첸미의 두가지 이름이 있으나 하이가이가 대표적인 이름이고, 영명에는 Ark shell. Cockle shell의 두가지 이름이 있으나 모두 유사종에 공통으로 쓰이는 이름이라 애매하고, 우리나라에는 고막, 소합, 안다미조개의 세가지 이름이 전해져 왔으나 개화기 이후에는 고막이라는 통일된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현재는 꼬막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때 강요주라는 이름으로 불려지기도 했으나 그것은 가리비에 붙은 이름이고, 두 종류가 모두 껍데기의 표면에 기와지붕과 같은 도랑무늬가 있는 점에서 일부 지식인들이 가리비와 혼동한 이름이다. 또 고막이라는 이름의 발상지는 전라남도의 남해안이고 이름의 발상년대는 1800년대에 들기 이전이다. 2. 우리나라산 꼬막의 산지는 남해안과 서해안의 전역이라 할 수 있으며, 풍파가 잔잔한 내해로서 담수의 영향을 다소 받는 깊은 펄의 고조대 간석지다. 3. 우리국민은 꼬막무리의 이용에 있어서 단순한 식품이라기 보다는 약식의 개념이 강하며 생식하는 경우가 많고, 동의보감에 의하면 살이나 껍데기가 모두 약리적인 효과를 갖는데, 살은 소화를 돕고 장기를 돋구며, 껍데기는 응어리진 핏덩이나 쌓인 담을 제거한다. 4. 우리나라 꼬막양식업의 발상은 19 세기 전반기로 상정되며, 발상지는 전라남도의 남해안이었다. 5. 우리나라 꼬막양식업은 농가나 어가의 부업으로 계승되어 왔는데 6.25동란 정전후부터 정부의 개발정책에 힘입어 생산량이 크게 증가 하였으며, 최근에는 $5,000\fra{M}{T}$이상의 안정된 생산량을 유지해 왔고, 모두 어촌계단위의 협업화 형태로 양식되고있다.

  • PDF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1. 일반성분 및 지질조성의 비교- (Comparision of Food Components in the Raw, Cooked Meat and Cooked Meat Extracts of Cockle Shell 1. Proximate compositions and lipid components)

  • 김귀식;하봉석;배태진;진주현;김현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2-110
    • /
    • 1993
  • 여수지방에서 많이 생산될 뿐아니라 새로운 양식품종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새조개의 식품학적인 품질을 구명하기 위하여 새조개의 생육과 자숙육, 그리고 자숙액즙의 일반성분, 지질조성 및 지방산조성 등의 차이를 분석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자숙육의 수분이 생육보다 다소 적었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수분과는 반대로 생육보다 약간 증가하였으며 조지방은 약간 감소하였고 glycogen은 차이가 없었다. 휘발성염기질소량은 생육의 경우 $1.8mg\%$로 양호하였으며 자숙시 $3.7mg\%$로 약간 증가하였다.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총지질조송은 각각 비극성지질이 $25.4\%,\;22.4\%$$48.7\%$, 극성지질이 $74.6\%,\;77.6\%$$51.3\%$로 대부분 극성지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비극성지질의 성분은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극성지질은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ethanolamine이 주성분이었다. 총지질과 비극성지질 및 극성지질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조성은 생육, 자숙육, 자숙액즙 모두가 20:5(n-3), 22:6(n-3), 16:0 및 18:0 등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고 20:5(n-3)와 22:6(n-3)을 주체로 하는 polyene산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자숙육은 생육에 비해 polyene산 경우 20:5(n-3)이 증가하는 반면 22:6(n-3)은 감소하는 경향이고 포화산의 경우 16:0는 증가하나 18:0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숙액즙에는 20:5(n-3)과 22:6(n-3)을 주체로 하는 polyene산의 비율이 생육이나 자숙육에 비해 낮았으나 16:0을 주체로 하는 포화산의 비율이 높았다.

  • PDF

천연 쪽의 순수 염료 개발 (Pure Dyestuff Extract from Polygonum tinctoria)

  • 정인모;김현복;성규병;김영대;홍인표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8-92
    • /
    • 2005
  • 쪽잎 300g를 2.5l물에 색소를 울어 내기 위하여 사용한 초산 및 황산은 제조량에는 차이는 없었으며, 공기 공급의 경우도 30분 이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쪽잎 300g에 초산(5 ml/2.5l과 암모니아수(10ml/2.5l)을 넣는 경우, 염료생산량은 1.631 g으로 가장 높았다. 전통염료와 개선 (순수) 쪽 색소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쪽이 성분과 분자량이 같은 수준 이었다. 순수 색소의 제조 쪽은 전통 염색 보다 소취성이 높았고, 정균감소율은 황색포상구균과 폐렴균이 26.3%와 19.1%이었다.

패각 잔골재가 시멘트 모르타르 재료 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vestigation of Waste Shell Fine Aggregates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ement Mortars)

  • 오서은;최승하;김규원;한수호;정상엽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4권1호
    • /
    • pp.33-3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해양 폐기물인 패각을 자원화하여 건설재료에 활용하고, 재료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꼬막, 굴 등 국내에서 많이 발생하는 패각을 세척 및 전처리하여 잔골재 대체재로서 활용하였으며, 패각의 대체율 및 세척 여부 등의 조건에 따라 시멘트 모르타르 시편을 제작하였다. 서로 다른 조건하에 타설된 모르타르 시편의 압축강도를 평가하고, XRD, SEM, micro-CT 등의 미세구조 분석 방법들을 활용하여 각 시편의 고체 및 공극 구조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통해, 굴과 꼬막 패각이 서로 다른 탄산칼슘의 동질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미세구조 특성에 의해 잔골재 대체재로 활용 시, 모르타르의 역학적 물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산식품 중 노인성 퇴행성 질환과 관련된 알루미늄 함량 및 그에 따른 수산식품의 이용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luminum Content in Fishes Caught from Several Areas of the West Coast in Korea)

  • 김애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512-518
    • /
    • 1997
  • 알루미늄 등 중금속 오염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서해안 일부지역에서 포획되고 있는 46종의 어패류 중 알루미늄 함량의 평균은 88.38$\pm$189.03ppm으로 그 범위는 0.97-827.70ppm이었는데 24종의 생선 중 알루미늄 함량은 그 범위가 0.97ppm에서 45.12ppm으로 건실치에 가장 많았고 도미에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15종의 연체류가 함유하고 있는 알루미늄 함량은 3.40ppm에서 827.70ppm으로 그 차이가 매우 컸는데 복족류인 소라에 3.40ppm으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고 이매패류인 대합에 826ppm, 해락에 812.55ppm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7종의 젓갈의 알루미늄 함량은 2.50-295.15ppm으로 그 차이가 컸는데 황새기젓과 한치젓에는 그 함유량이 낮았지만 조개젓과 곤쟁이젓에는 많은 양의 알루미늄이 함유되어 있었다 생선과 연체류 및 젓갈중에 함유되어 있는 알루미늄 함량간의 유의차를 검증한 결과 연체류의 알루미늄 함량이 생선과 젓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이는 일생동안 주거지를 크게 움직이지 않는 생육조건을 갖는 이매패류의 특성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Bioretention 내 꼬막 및 호두껍질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Cockle shell and walnut shell in a bioretention facility)

  • 전민수;;최혜선;김이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3-203
    • /
    • 2019
  •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물순환 왜곡, 비점오염원 발생 및 수생태계 건상성 훼손 등을 야기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LID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LID 내 적용 되는 여재들은 무기성여재로 중량이 크고 미세공극의 부재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저감기능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량성이 낮은 생물폐자원을 선정하여 LID 시설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생물폐자원은 발생량, 경량성 및 용이성을 고려하여 꼬막껍질(CS)과 호두껍질(WS)을 선정하였다. 생물폐자원의 산화부식을 고려하여 무기성 여재인 화산석과 혼합하여 Bioretention 시설에 적용하였으며, 여재 혼합비율에 따라 총 3가지의 Case 로 구성하였다. 식생은 구절초와 꽃댕강나무를 식재하였으며, 여재의 물리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적용 전과 후의 SEM(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은 도로퇴적물 100g과 물 110L를 제조하여 인공강우유출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0.0003{\sim}0.007m^3/sec$의 유속으로 주입하였다. 시설의 유입 및 유출부에서 유량 측정 및 수질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채취된 시료는 수질오염공정 시험법에 준하여 입자상 물질, 유기물, 영양물질 및 중금속 등을 분석하였다. Bioretention 시설의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물수지 및 TSS 저감 효율을 산정하였으며. 물수지 분석결과 시설의 저류율은 Case 1(soil) > Case 3(WS+RV) > Case 2(CS+RV)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 내 공극률이 가장 낮았던 Case 1에서 저류율이 약 55%로 가장 높게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e 3(WS+RV)은 Case 2(WS+RV)와 시설 내 공극률이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저류율이 약 10%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물질 저감효율 분석 결과, TSS와 TP의 제거효율은 모든 Case에서 약 7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COD의 경우 모래를 적용한 Case 1에 비해 생물폐자원인 꼬막껍질과 호두껍질을 적용한 Case에서 약 1.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호두껍질과 꼬막껍질의 SEM 분석 결과 표면에 다공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여과 및 저류기작으로 인한 물순환 효과증대와 다공성과 돌기사이로 인한 입자상의 물질 여과 및 흡착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증대 된 것으로 평가된다. LID시설 내 생물폐자원과 무기성여재를 적절히 배합하여 복합여재로 조성할 경우 침하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저류 및 침투기능 향상과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하기에 물순환 회복 및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 PDF

우리나라 국민의 비타민과 무기질 급원식품(I) -칼슘과 철분의 급원식품- (Food sources of vitamin and mineral for Korean people(I) -calcium and iron rich foods-)

  • 김영남;나현주;강희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7-6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calcium and iron rich foods in Korean people. The food sources presented in the current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investigated. And 40 kinds of calcium and iron rich foods were selected by the quantity in 100g edible portion. one serving size and according to 1997 food supply data. Also 3 major food groups of calcium and iron supply in Korean were identified, and 10 rich foods for each food groups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ood sources of calcium 1) The food sources of calcium presented in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are milk and dairy products. small fishes such as anchovy icefish and dried strip and green vegetables etc. 2) The calcium rich foods by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kim milk powder river snail sesame sea mustard. whole milk powder. snapping turtle loach sea tangle(dried) opossum shrimp and sea lettuce(dried). And the calcium rich foods by the calcium content in one serving were in order of river snail snapping turtle opossum shrimp loach spiny lobster skate skim milk powder small alaska pollack freshwater crab condensed milk whole milk powder skate ray and milk. 3) The 3 major calcium supply food groups in Korean were vegetables fish and shellfishes and milk and dairy products. 4) The calcium supply food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food supply in 1997 was in order of sea mustard, milk anchovy chinese cabbage soybean skin milk powder laver shrimp welsh onion and maize. The vegetables were the important sources of calcium in Korean. 2. The food sources of iron 1) The food sources of iron which are commonly presented in th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meat liver egg(egg yolk) and green vegetables etc 2) The iron rich foods on the basis of the iron content in 100g edible portion were in order of surf clam marsh clam laver(dried)( sea lettuce(dried), crayfish pelilla seed little neck clam orient hard clam, venus clam, and freshwater carab. And the iron rich foods by the iron content in one serving were in order of surf clam marsh clam crayfish little neck clam orient hard clam freshwater crab venus clam hen cockle green confertii(fresh) pen shell and spiny lobster. 3) The 3 major iron supply food groups in Korean were cereals an cereal products fishes and shellfishes and vegetables. 4) The iron supply food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food supply in 1997 was in order of soybean sea mustard maize rice meat edible viscera laver wheat flour, pook, red pepper, egg and bovine mea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