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ion of Food Components in the Raw, Cooked Meat and Cooked Meat Extracts of Cookie Shell -2. Nitrogenous compounds and minerals-

새조개 생육과 자숙육 및 자숙액즙의 식품성분 비교 -2. 함질소엑스성분 및 무기성분의 비교-

  • KIM Kui-Shi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HA Bong-Seok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BAE Tae-J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JIN Joo-Hyeon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 KIM Hyeon-Ju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Yosu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 김귀식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하봉석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배태진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진주현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현주 (여수수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3.03.01

Abstract

The nitrogenous compounds and minerals in the raw and cooked meat of cockle shell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cooked meat extracts. In abundant free amino acids,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was $129mg\%$ in raw meet, $105mg\%$ in cooked meat, $28mg\%$ in cooked meet extracts, aspartic acid, glycine, arginine, lysine, leucine, and alanine in order. The major components were lysine, arginine and leucine, and the minor compon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proline, tyrosine, serine and cystine. Some of ATP, ADP, AMP, inosine and hypoxanthine were identified in raw and cooked meat, but IMP and inosine were not detected in cooked meat extracts. A slight drop in content of ATP was showed in cooked meat and those had a higher content in inosine and hypoxanthine compared with raw meat. TMA, TMAO and betaine were also checked in all meat products and TMA slightly increased during cooking. Minerals in cooked cockle shell products were phosphorous, potassium, calcium and zinc. The content of phosphorous showed the highest value($16mg\%$ in raw, $185mg\%$ in cooked meat, and $25mg\%$ in extracts).

최근 생산량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 연간생산량 중 거의 절반이 남해안의 전남해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새조개의 맛에 기여하는 맛성분을 구명하기 위하여 여수해역에서 생산되고 있는 새조개를 시료로 하여 생육과 자숙육, 그리고 자숙액즙의 함질소엑스화합물 및 무기성분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은 생육과 자숙육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arginine, lysine, leucine 및 alan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자숙액즙에는 glutamic acid의 용출율이 가장 높아 $21.7\%$였고 cystine의 용출율이 가장 낮아 $7.3\%$였다. 생육, 자숙육, 자숙액즙 모두 유리아미노산 조성중 필수아미노산은 lysine, arginine 및 leucine의 함유율이 높았고 methionine, histidine 및 tryptophane의 함유율이 낮았다 그리고 비필수 아미노산 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및 alanine의 함유율이 높았고 proline, tyrosine, serine 및 cysteine의 함유율이 낮았다. 핵산관련물질은 생육과 자숙육 모두 ATP, ADP, AMP, inosine 및 hypoxanthine을 함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자숙액즙에는 미량의 ATP, ADP, AMP 및 hypoxanthine이 검출되었다. 핵산관련 물질은 자숙함에 따라 ATP는 약간 감소하였으나 ADP, AMP, inosine 및 hypoxanthine은 약간 증가하였다. TMA 함량은 생육에 $0.3mg\%$이었던 것이 자숙시 $0.8mg\%$로서 다소 증가하였고 TMAO 함량은 생육에 $5.2mg\%$이었던 것이 자숙시 $4.5mg\%$로 다소 감소하였다. betaine함량은 매우 적었다. 무기성분중 P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K, Ca 및 Zn의 순이었고 Fe, Zn의 함량은 다른 패류에 비해 높았다. 자숙액즙에는 P, Zn 및 Na의 용출율이 높아 각각 $15\%,\;12.2\%$$11.9\%$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