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chlodinium Polykrikoides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초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와 공기 중에 노출하여 치사시킨 어류의 해수저장 중 선도변화

  • 김지희;이희정;김태진;유현덕;김풍호;박정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80-81
    • /
    • 2002
  • 근년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입히고 있으며, 이의 방제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황토살포와 살조세균 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이 적조 발생시 양식어 폐사 등 수산업의 피해는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C. polykrikodes 적조로 인하여 양식어가 폐사하였을 때에는 전량 폐기하고 있어 수산자원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큰 손실이라 아니할 수 없다. (중략)

  • PDF

Mortality of Fishes and Shellfishes to Harmful Algal Blooms

  • Lee Sam Geun;Kim Hak Gyoon;Cho Eun Seob;Lee Chang Kyu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60-163
    • /
    • 2003
  • Mortality of several species of fish and shellfish exposed to Harmful Algal Blooms (HABs) caused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Heterosigam akashiwo, Alexandrium tamarense, Eutreptiella gymnastica, Heterocapsa triquetra and Prorocentrum micans was studied. When fish were exposed to a cell density of 8,000 cells $mL^{-1}$ in C. polykrikoides, $35\%$ of flatfish and darkbanded rockfish died within 48 hrs. However, jacopever rockfish had mortality of higher than $85\%$. Rock bream, filefish and red sea bream showed $100\%$ mortality within 10 hrs with an exposure cell density of 8,000 cells $mL^{-1}$. The rest of HABs except for C. polykrikoides showed that there was no fish and shellfish death throughout the 48 hrs even in the maximum cell density of 100,000 cells $mL^{-1}$ These results imply that C. polykrikoides can have a serious impact on fish mortality and it is regarded as an ichthyotoxic dinoflagellate. The fish death may be attributed to anoxia caused by a combination of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polysaccharide from C. polykrikoides during blooms.

Cell-meditated studies on blooming and growth of potentially ichthyotoxic Cochlodinium polykrikoides(Dinophyceae)

  • Cho, Eun-Seob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87-188
    • /
    • 2007
  • The fluctuations of biochemical and molecular activities III the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depending on water temperatures, were studied. In genomic DNA concentration, a similar value of 0.6 was shown at $12^{\circ}C$ and $15^{\circ}C$, but significantly increasing DNA from $18^{\circ}C$ (p<0.05), with a maximum of 1.8 at $24^{\circ}C$. After$24^{\circ}C$, the DNA significantly decreased to 0.6. Likely, the concentrations of RNA and total protein were at their highest values of 1.7 and 0.07 g $mL^1$ at $24^{\circ}C$, respectively. In contrast to ONA, RNA and total protein began to increase at $15^{\circ}C$. Oxygen availability between lower and higher temperatur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nd increased from $18^{\circ}C$ according to light intensity, regardless of wavelengths (p<0.05). At $24^{\circ}C$, the highest value of the maximum electron transport rate (ETRmax), ranging from 537.9 (Ch 1) to 602.5 mol electrons $g^{-1}$ Ch1 a $s^{-1}$ (Ch 4), was also shown. Nitrate reductase (NR) and ATPase activities were at their highest values of 0.11 mol $NO_2^-g^{-1}$ Ch1 a $h^{-1}$ and 0.78 pmol 100 $mg^{-1}$ $at^2$ $4^{\circ}C$, respectively. When the cells cultured at $15^{\circ}C$, NR and ATPase activitie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12^{\circ}C$ (p<0.05). In an analysis of CHN, the concentration of C and N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However, at $27^{\circ}C$, most of the molecular and biochemical movements were much lower, compared to $24^{\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polykrikoides is very sensitive biochemical and molecular activities depending on water temperatures. Possibly, it is desirable to estimate at $18^{\circ}C$ the initiation of the massive blooming development of C. polykrikoides. In nature,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maintain the massive blooms after $24^{\circ}C$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significantly decreasing the molecular movement and activity of C. polykrikoides.

  • PDF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Countermeasure and Outbreak Mechanis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1.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outbreak and disappearanceof C. polykrikoides bloom)

  • 박영태;김영숙;김귀영;박종수;고우진;조영조;박승윤;이영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4호
    • /
    • pp.259-264
    • /
    • 2001
  •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 해명의 일환으로 태풍, 조금과 C. polykrikoides 적조의 발생, 수온과 C. polykrikoides 적조의 소멸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3년간 집중조사결과 태풍, 조석 또는 그 외 환경변화에 의해 수온약층이 반드시 소멸된 후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였으며, 적조의 발생은 수온약층의 소멸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C. polykrikoidesr 적조는 태풍의 영향을 받지 않은 1996${\sim}$1998년, 2000년의 경우8월 하순 이후의 첫 조금 또는 조금 하루 전에 처음 발견되었으며, 1994년과 1999년의 경우 태풍의 영향으로 수온 약층이 조기에 소멸되어 평년보다 12${\sim}$30일 정도 빠른 8월 초순에 처음 발견되었다. 따라서 금후 C. polykrikoides 적조의 최초 발견시기는 태풍으로 수온 약층이 조기에 사라지면 8월 중순 이전이며, 수온 약층이 조기에 소멸되지 않을 경우 8월 하순 이후의 첫 조금 경으로 예측된다. 1997${\sim}$2000년의 태풍이 지나간 후에 C. polykrikoides 적조가 완전 소멸된 것은 수온 외 다른 환경 변화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었으며, 20"C이상의 수온에서는 충분히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견될 수 있었다. 나로도 주변해역에서 C. polykrikoides 적조의 발생은 태풍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 휴면포자로부터 발아한 유영세포 또는 이미 저 농도로 표층에 존재한 유영세포에 의해, 그 다음으로 외부에서 또는 표, 저층수의 혼합에 의해 C. polykrikoides 유영세포의 대량 증식에만 관여하는 물질이 유입된 후 ,일사량 및 염분 등의 호적 조건으로 인해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의 출발과 일치한다. 남극반도서 대륙붕에서 얻은 이상의 연구 결과는 향후 남반구에서 흘로세 동안에 일어났던 천년단위의 고기후 변화와 그에 따른 고해양 변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이스토세 기반암으로부터 운반된 고해안퇴적층의 일부로 해석된다.않았다.선택적으로 분해되는 것으로 여겨진다.두냔 tsuchigae, S. nigripinni morii, M. jeoni, C. splendidus, P. koreanus, C. lutheri, I. koreensis, C. herzi, R. brunneus 등으로 본 종들의 서식 상태는 하천의 오염 정도 및 하천개수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어류서식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하천 수질관리의 대책과 방안이 수립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와 운동, H-R도상에서의 별의 특성과 진화 등이다. 탐구 과정에 대한 학생의 성취도는 비교적 높으므로 이해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에 대해 학생의 오답 유형을 참고하여 기본 개념 지도에 보다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Cr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SW에서는 실험 초기에 감소하다 24시간 이후에는 증가 후 일정한 양상을 보였다. Pb은 FW에서 전반적으로 감소했지만 SW에서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후 다시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Pb 또한 Cu, Cd, As와 마찬가지로 SW1&2에서 제거속도가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FW 상층수 중 Hg는 시간에 따라 급격히 감소했고, 제거속도는 Fw5&6에서 가장 느렸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할 때 벼가 자라고 있고 이분해성 유기물이 풍부한 FW1&2, FW3&4 토양과 상층수에서는 유기물의 분해 활동이 활발하였지만, 벼가 경작되지 않는 FW5&6과 SW 에서는 유기물이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유기물의 분해활동이 적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수조에 인위적으로 유기물을 첨가한 경우 박테리아 세포수는 SW1에서 164시간

  • PDF

2008년 한국 남해안에서 분리한 유해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elef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 그리고 광조건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elef isolated from South Sea of Korea in 2008)

  • 오석진;김창훈;권형규;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15-722
    • /
    • 2010
  •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red tid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elef isolated from the South Sea of Korea were examined in the laboratory. Growth was examined under the following combin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15, 20, 25 and $30^{\circ}C$, and 15, 20, 25, 30 and 35 psu at a constant irradiance of $180\;{\mu}mol/m^2/s$. No growth was observed with a temperature of $15^{\circ}C$ and a salinitiy of 15 psu. Moderate growth rates of more than 0.30 /day were obtained at $25^{\circ}C$ with salinities of 25.35 psu. These values are similar to in situ observations for this species. The maximum growth rate, 0.35 /day, was obtained at $25^{\circ}C$ and 30 psu. In light experiments, cell growth of C. polykrikoides was conducted with constant temperature ($20^{\circ}C$) and salinity (30 psu) under light photon flux densities (PFD) of 10, 25, 50, 70, 100, 150, 250 and $350\;{\mu}mol/m^2/s$. C. polykrikoides did not grow at $10\;{\mu}mol/m^2/s$. Cell growth was observed at irradiance values of $25\;{\mu}mol/m^2/s$ and above. The irradiance-growth curve was described as ${\mu}=0.30{\cdot}(I-15.27)/(I+27.22)$, (r=0.99). This suggests a compensation PFD of $15.27\;{\mu}mol/m^2/s$ and a maximum growth rate of 0.30 /day. In conclusion, C. polykrikoides prefers high salinity, temperature and irradiance in summer in Korea.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C. polykrikoides blooms and developing technology to predict blooms of this organism in the field.

Effect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on Oxidative Status and Immune Parameters in the Marine Medaka Oryzias javanicus

  • Seong Duk, Do;Yun Kyung, Shin;Jae-Sung, Rhee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4-101
    • /
    • 2022
  • In this study, the marine medaka Oryzias javanicus was exposed to two concentrations of non-toxin-producing red tide dinoflagellate C. polykrikoides (1,000 and 2,000 cells ml-1) for 96 h, and the time-course biochemical responses of antioxidant and immunity parameters were analyzed in the liver tissue. Significant ichthyotoxicity with increasing cell concentrations of C. polykrikoides and exposure period was observed for 96 h. Opercular respiratory rate was lowered in marine medaka exposed to 2,000 cells ml-1 of C. polykrikoides. Intracellular malondialdehyde (MDA) content significantly elevated in response to both cell concentrations. In the case of glutathione (GSH) content, the level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by 1,000 cells ml-1 of C. polykrikoides, but the contents significantly depleted upon exposure to 2,000 cells ml-1 of C. polykrikoides. Similarly, enzymatic activities of catalase (CAT)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were increased by 1,000 cells ml-1 of C. polykrikoides, whereas their activities were lowered by 2,000 cells ml-1 of C. polykrikoides. Analysis of the two immunity parameters,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and lysozyme, showed significantly lowered activities in 2,000 cells ml-1 of C. polykrikoides-exposed liver tissue. These biochemical effects of C. polykrikoides on marine medaka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its acute effects in marine fish.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 예측 연구 (Study on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Predic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 under Imbalanced Data)

  • 박수호;정민지;황도현;엥흐자리갈 운자야;김나경;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61-117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여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을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적조 발생 예측을 위해 8개의 은닉층을 가진 심층 신경망을 구축하였다. 위성 재분석 자료와 기상수치모델 자료를 이용하여 과거 적조 발생해역의 해양 및 기상인자 총 59개를 추출하여 신경망 모델 학습에 활용하였다. 전체 데이터셋 중 적조 발생 사례는 적조 미발생 사례에 비해 매우 적어 불균형 데이터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표집화(Over sampling) 기반 데이터 증식(Data augmenta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과거자료를 활용하여 모형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약 97%의 정확도를 보였다.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조체의 생리활성 성분 (Bioactive Components from Red Tide Plankton, Cochlodinium polykrikoides)

  • 이종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5-173
    • /
    • 1996
  • 무각류의 와편모조인 C. polykrikoides에 의한 적조는 맹독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한 어패류의 폐사로 매년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어, 어패류 폐사의 원인 독성분을 규명하고, 유용 조류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93년 10월 경남 통영군 욕지도 인근에서 발생한 적조시 채취한 천연 조체를 시료로 수종의 생리활성을 검색하였다. MeOH 추출물의 마우스 치사 독성은 없었으며 (지용성 획분 : 50mg, 수용성 획분 : 10mg), 미량 형광 HPLC 분석에서도 마비성이나 설사성 패류독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5mg/ml의 농도에서는 어독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항균성도 없었다 (10mg/disc). P-388 종양 세포에 대하여는 지용성 획분이 $180{\mu}g/m1$의 농도에서 $20\%$의 생육 저지활성을 나타내었고, 아미노산 분석에서 2개의 미확인 아미노산이 검출되었다. 용혈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은 지용성, 수용성 양 획분에 모두 존재하였으며, 지용성 획분중의 성분으로서는 EPA와 DHA가 동정되었고, 이들이 총지방산의 $40.6\%$를 차지하여 고도 불포화 지방산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NOAA 위성자료에 의한 해수표면 수온분포와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의 상관성 (Relationship between Sea Surface Temperature derived from NOAA Satellites a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occurrence in Korean Coastal Waters)

  • 서영상;김정희;김학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5-221
    • /
    • 2000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sea surface temperature(SST) and dinoflagellate(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 areas were studied. The SST data were derived from the infrared channels of AVHRR(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sensor on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2 and 14 satellites during 1995-1998. The initial water temperature at C. polykrikoides bloom was about 21${\circ}C$ at the coastal areas of the South Sea and along the shore of the East Sea of Korea during the summer season of 1995. The northern limit of red tides was coincident with that of 21${\circ}C$ isothermal line in the East Sea. The red tides that initially bloomed at the coast of Pohang on September 21, 1995 moved to the coast of Uljin on September 26, 1995. The skipped appearance of the red tides in the areas between Pohang and Uljin was due to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which was moving offshore from Pohang to approach to Uljin. The cold water which was formed by tidal front in the western coast of the South Sea and by upwelling water from deep layer in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played a role in blocking the spreading of red tides during summer season in 1997 and 1998. In conclusion, the distribution of red tides appeared to be dependent on the initial water temperature at red tides bloom. The SST at the red tides varied from 21${\circ}C$ to 25${\circ}C$; 21${\circ}C$, 23${\circ}C$, 24 and 24-25${\circ}C$ in 1995, 1996, 1997 and 1998, respectively.

  • PDF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이용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탐지 기법 연구 (Study on Detection Technique for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Decision Tree Model)

  • 박수호;김흥민;김범규;황도현;엥흐자리갈 운자야;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77-78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계학습 기법의 한 갈래인 로지스틱 회귀모형과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이용하여 인공위성 영상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픽셀을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학습자료로 적조, 청수, 탁수해역에서 추출된 수출광량 분광 프로파일(918개)을 활용하였다. 전체 데이터셋의 70%를 추출하여 모형 학습에 활용하였으며, 나머지 30%를 이용하여 모형의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 결과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약 97%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며, 의사결정나무 모형은 약 86%의 분류 정확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