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astal Erosion Study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8초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률 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Estimation of Erosion Rate of Fine Cohesive Sediments)

  • 황규남;소상돈;김태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8
    • /
    • 2005
  •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식률 산정을 목적으로 국내 최초로 환형수조가 제작되었으며, 수조의 성능, 실험 방법 및 결과 등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목적으로 고령토를 이용한 침식실험이 수행되었다. 각기 다른 밀도를 갖는 균일저면 조건하에서 총 4회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이 결과로부터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한계 전단응력과 침식률 계수가 산정되었다. 기존의 타 연구결과와의 비교$\cdot$검토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특수 제작된 환형수조는 성능상에 문제가 없음이 간접적으로 확인되었으며, 균일저면의 제작과정을 포함하는 침식실험 방법 및 실험 결과의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해안침식 현장 적용을 위한 인공산호초 연성공법의 파고 감쇠 및 침식해빈사 포집성능 분석 (Study on Wave Reduction and Beach sand Capture Performance of Artificial Coral Reefs for In-situ Application)

  • 홍성훈;김태윤;최윤식;김정호;권용주;이시현;이광수;권순철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85-491
    • /
    • 2018
  • Because of the increase in coastal erosion problem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event coastline retreat by developing low-cost, highly effective countermeasures. We developed the artificial coral reefs (ACRs) method as part of this research trend. To verify its coastal protection performance, we carried out performance tests on its wave attenuation and beach sand capture ability, which are the key barometers for this newly developed technology.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types of methods, including natural beach, TTP, and ACR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astal protection efficiency under both ordinary and storm wave condi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Rs were found to have the best wave attenuation performance and captured more than 20% of the total erosion area. This means the ACR method can be applied as a reliable countermeasure to protect a coastal zone.

해수를 사용한 MICP 기술의 연안 지반 개량시 발생하는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of Coastal Soil Improvement by MICP Technology Using Sea Water)

  • 김소정;도진웅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3-21
    • /
    • 2023
  • 최근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하여 지구의 평균해수면이 상승하는 추세이다. 삼면이 바다인 국내의 경우 연안침식이 초래되어 국토 손실 및 연안의 위험성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미생물에 의한 탄산칼슘 형성(MICP) 기술은 미생물에 의한 탄산칼슘침강 기술이며, 지반의 강성과 강도를 증진시키는 친환경적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 침식 저감을 위하여 MICP 기술을 제안하였다. 연안 조건을 고려하여 용매로 해수를 사용하고 탈염수와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탈염수와 해수 조건하에서 미생물에 의한 요소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소일칼럼을 제작하여 MICP 처리된 모래의 강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MICP 처리는 표면살포법에 의해 처리되었는데,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혼합 방식과 달라 전통적인 강도 평가 방식은 적절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미세 구조 분석을 통해 다른 용매가 사용된 경우의 광물적 변화를 관측하였다. 실험 결과, 해수는 미생물에 의한 요소분해 반응을 느리게 만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 경화된 모래는 침관입시험을 통해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해수를 용매로 사용하여도 탈염수 수준으로 충분히 MICP 기술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n Approximate Solution for Diffraction-Induced Shoreline in a Double Headland and Comparison with Field Measurement

  • Shoaib, Muhammad;Kim, Dong Hee;Lee, Jung Lyul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3-193
    • /
    • 2016
  • In past decades beach erosion has been remarkably severe along coasts of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so that distinct types of coastal protective measures have been implemented; seawalls, wave-dissipating breakwaters, groins, artificial headlands or detached breakwaters have been constructed. In recent years, at Bongpeong beach, South Korea, an artificial headland was constructed to stop the beach erosion. The structure resulted in severe beach erosion of the adjoining places. In order to stop the consequences, another headland was constructed at some distance, but the construction of double headland did not prevent the erosion significantly. This paper focuses on the accurate design of the artificial double headland construction. The study presents the application of equilibrium shoreline empirical formula of parabolic type to estimate the equilibrium stages of the artificial double headland beaches and an analytic solution is present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search has solved the empirical formula of parabolic type to find the optimum result by considering the essential parameters that influence the eros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double headland.

  • PDF

하구점성토의 침식 및 퇴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Erosion and Deposition of Estuarial Cohesive Sediment)

  • 안수한;김재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4-49
    • /
    • 1989
  • 점성토의 퇴적현상에는 여러가지 물리화학적 인자가 작용하기 때문에 최근까지의 연구경향은 주로 현장관측이나 수리실험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하구에서 채취한 시료를 사용하여 정성토의 침식 및 퇴적에 관한 개수로 실험을 하였다. 침식에 대한 실험에서는 여러가지 수리조건에서의 시간에 따른 부유농도 변화를 측정하여 침식률 및 침식계수를 구하여 침식에 대한 한계소류력을 결정하였으며, 퇴적에 대한 실험에서는 수리조건을 변화시키면서 각 소류력에 대한 평형농도를 결정하여 평형농도와 초기농도와의 비와 소류력과의 관계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자료와 비교 검토하여 정상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학동 해빈의 침식에 관한 조사.연구 (An Investigation-Study on the Erosion at Hak-Dong Gravel Beach)

  • 함계운;김진홍;장대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5
    • /
    • 2002
  • 해안의 침식, 하구 및 항로, 항내매몰 등에 관한 저질이동에 기인한 해저지형 변동현상은 해안재해라는 측면에서 오래전부터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되어 그 문제점이 지적되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해안환경의 보전이라는 관점에서 환경영향평가의 중요 항목으로 인식되어 문제의 재현 및 예측과 대책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학동해빈은 1996년 기존 돌제형식의 선착장을 연장한 이후 해안선 부근에서 침식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학동 자갈해빈의 침식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현장관측을 통한 단면측량 결과 및 One-line 모델을 사용하여 침식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Sonu와 Beek(1971)가 제시한 해수면상 저류표사량 산정모델이 자연해빈뿐만이 아니라 해안 구조물이 설치된 학동 자갈해빈에도 유용한 모델임을 입증하였다.

VRS/RTK GPS 측량을 통한 태안해안국립공원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 학암포와 안면 해안을 사례로 -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of The Taeanhaean National Park using VRS/RTK GPS - a case of Hakampo and Anmyeon beach -)

  • 박정원;오선관;서승직;서종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72
    • /
    • 2012
  • 태안해안국립공원은 파랑의 에너지가 큰 해안과 조차가 큰 해안이 공존하고 있어, 갯벌, 모래해빈, 해안사구, 해식애 등의 해안지형이 잘 나타나고 해안생태계의 다양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무분별한 모래채취와 인공구조물의 설치 등으로 인해 해빈과 해안사구의 침식이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해안에서의 이러한 변화를 정확히 계측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VRS 방식의 RTK GPS를 이용해 학암포 해안과 안면(창정교) 해안을 대상으로 3차례의 주기적인 측량을 실시하였고 장기적인 해안지형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VRS 측량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수치모델링을 통한 안목해안에서 계절에 따른 지형변동 패턴 분석 (Analysis of Seasonal Morphodynamic Patterns using Delft3D in Anmok Coast)

  • 김무종;손동휘;유제선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83-192
    • /
    • 2018
  • In recent years, coastal areas have been suffering from coastal erosion, such as destruction of coastal roads and military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Delft3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sediment transport pattern due to seasonal characteristics of summer and winter waves in Anmok beach of the East coast. Typhoon and high waves are mainly are coming from ENE direction in the summer season and the flows occur in the northward. In winter, high waves are incident from NE and the flows occur in the southward. These seasonal patterns were simulated by using Delft3D model. As for model input, reanalysis wave data of the past 38 years were used, and the seasonal pattern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whole year into summer and winter season. The grid point of the 38 year reanalysis data is far from the Anmok beach, so the three model grid systems (wide grid -> intermediate grid -> detailed grid) are constructed. Most of the flows in the NW direction occurred in summer, but erosion and deposition was alternated along the coastline. In winter, sediment was deposited near Gangnung Port due to the southern flow and the southern port. Strong winter waves compared to summer tend to cause deposition around Gangnung Port throughout the year.

속초 영랑해안 해빈침식대책 인공구조물 건설에 기인하는 해안선 변화 (Shoreline Change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Coastal Erosion Control Structure at the Youngrang Coast in Sockcho, East Korea)

  • 강윤구;박효봉;윤한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96-304
    • /
    • 2010
  • 동해안 속초시 영랑해안의 해빈침식 방지를 위한 인공해안구조물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변 해안선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그 해안침식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공 해안구조물은 3기의 인공헤드랜드 및 2기의 잠제 복합배열로 계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년에 걸친 2기의 인공헤드랜드의 건설과정에서 나타난 해안선를 대상으로 다루었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랑해안은 해양파랑의 계절적인 방향별 출현특성에 따라 연안표사가 북서-남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중앙헤드랜드의 헤드부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영랑해안의 해빈의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났다. (2) 그러나 중앙헤드랜드의 헤드부가 완성될 즈음에는 연결부 주변에서는 퇴적이 진행되고, 남측 및 북측 포켓 중앙부에서는 침식이 진행되었다. 이는 중앙헤드랜드 헤드부의 배후가 정온역이 되어 연결부 주변에 퇴적이 나타나고,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가 연결부에서 차단됨에 따른 표사의 불균형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장기간의 해안침식방지공 공사 과정 중에는 구조물에 의해 파랑변형과 표사수급의 불균형 등에 의해 본래의 목적과 다른 국부적인 침퇴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안재해 저감을 위한 친수형 호안 블록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ophilic Protection Block Development for Reduction of coastal disaster)

  • 김종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11-219
    • /
    • 2017
  • 연안재해 저감을 위한 정부 사업 중 연안침식 및 퇴적을 저감시키기 위한 연안정비 사업 1단계(2000년~2009년)와 2단계(2010년~2019년)가 현재까지 진행중이다. 이와 같은 연안정비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연안 보호를 위한 인공 콘크리트 피복재의 설치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일본에서 개발된 제품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거나, 호안보호공 설치를 시행하는 건설사에서 자체 개발한 블록을 설치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수리특성 검증 및 안정성확보 여부, 설계기법과 같은 기술적인 검토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점들을 보완하여 사람들의 접근성이 좋으면서 연안재해 저감 및 보호 능력이 우수한 친수형 호안 블럭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호안블록의 수리특성 및 안정계수를 도출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