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 영랑해안 해빈침식대책 인공구조물 건설에 기인하는 해안선 변화

Shoreline Changes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Coastal Erosion Control Structure at the Youngrang Coast in Sockcho, East Korea

  • 강윤구 (삼성물산(주) 건설부문 토목ENG팀) ;
  • 박효봉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 윤한삼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 Kang, Yoon-Koo (Civil Engineering Team, Engineering & Construction Group, Samsung C&T Corporation) ;
  • Park, Hyo-Bong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 ;
  • Yoon, Han-Sam (Research Center for Ocean Industrial Development, Pukyong National Univ.)
  • 투고 : 2010.08.31
  • 심사 : 2010.11.22
  • 발행 : 2010.11.25

초록

동해안 속초시 영랑해안의 해빈침식 방지를 위한 인공해안구조물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변 해안선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그 해안침식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공 해안구조물은 3기의 인공헤드랜드 및 2기의 잠제 복합배열로 계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년에 걸친 2기의 인공헤드랜드의 건설과정에서 나타난 해안선를 대상으로 다루었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영랑해안은 해양파랑의 계절적인 방향별 출현특성에 따라 연안표사가 북서-남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중앙헤드랜드의 헤드부가 완성되기 전까지는 영랑해안의 해빈의 계절적인 변화가 뚜렷이 나타났다. (2) 그러나 중앙헤드랜드의 헤드부가 완성될 즈음에는 연결부 주변에서는 퇴적이 진행되고, 남측 및 북측 포켓 중앙부에서는 침식이 진행되었다. 이는 중앙헤드랜드 헤드부의 배후가 정온역이 되어 연결부 주변에 퇴적이 나타나고, 해안선을 따라 이동하는 표사가 연결부에서 차단됨에 따른 표사의 불균형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장기간의 해안침식방지공 공사 과정 중에는 구조물에 의해 파랑변형과 표사수급의 불균형 등에 의해 본래의 목적과 다른 국부적인 침퇴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shoreline change caused by the construction of shore protection structures are discussed based on the example of Youngrang coast, Sokcho where the coastal erosion control system(CECS), three artificial headlands and two submerged breakwaters are being constructed. The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the shoreline changes of Youngrang coast using available satellite/aerial photographs and camera photographs taken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6 years since 2002 for the artificial headlands construction. The main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ing. (1)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middle artificial headland, longshore drifts along Youngrang coast are transported in the NW-S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asonally different wave characteristics. (2) During the CECS construction the shoreline is continuously changed by altering the local longshore drift budget. Especially, the middle artificial headland induces considerable change of shoreline by blocking the sediment supply from the southern pocket beach to the northern pocket beach and by accelerating the sediment accretion at the wave shadow zone behind its head. It induces the asymmetry on the net longshore drift causing the significant erosion at the center of the southern pocket beach. (3)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erious unintended erosion/accretion problem are possibly occurred due to local changes on the wave transformation and the sediment transport by the construction of coastal erosion control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상청, 1980-1999, 기상연보.
  2. 김찬수, 김성준, 강윤구, 김규한, 윤재옥, 이완규, 2004. 속초 영랑동 해안침식방지공 시공 사례. 대한토목학회, 2004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pp 1016-1021.
  3. 박원경, 윤재옥, 황준, 이진오, 2003, 우리나라의 연안침식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발표논문집, No.14, pp.227-232.
  4. 속초시, 2001, 영랑동 영안침식방지사업 타당성 조사 및 기본 .실시설계 용역보고서.
  5. 신승호, 홍기용, 2004, 외해 구조물 배후의 표사이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7권, 제4호, pp. 207-215.
  6. 우다 다카아키, 안희도 옮김, 2006, 해안 실태와 해결책, 과학기술.
  7. 윤성진, 김규한, 2007, 항내매몰을 고려한 방파제의 시공순서 검토,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9권, 제1호, pp.73-80.
  8. 이연규, 신현옥, 이종섭, 박일흠, 최정민, 2005, 태풍에 의한 해빈 퇴적물 조성 및 지형 변화(동해, 나아해빈),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제8권, 제3호, pp. 122-133.
  9. 해양수산부, 1997, 장기파랑산출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