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 of Busa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5초

고소성 해성점토지반의 압축지수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n Compression Index of Marine Clay with High-Plasticity)

  • 정길수;박병수;홍영길;유남재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A호
    • /
    • pp.57-65
    • /
    • 2005
  • In this paper, for the highly plastic marine soft clay distributed in west and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of Kwangyang and Busan New Port areas,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on index and other indices representing geotechnical engineering properties such as liquid limit, void ratio and natural water content were analyzed. Appropriate empirical equations of being able to estimate the compressibility of clays in the specific areas were proposed and compared with other existing empirical ones. For analyses of the data and test results, data for marine clays were used from areas of the South Container Port of the Busan New Port, East Breakwater, Passenger Quay, Jungma Reclamation and Reclamation Containment in the 3rd stage in Kwangyang. In order to find the best regression model by usi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software, MS EXCEL 2000, results obtained from the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values of liquid limit, initial void ratio and natural water content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empirical equati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also performed to find the best fit regression curves for compression index and other soil properties by combining those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other hands, another software of SPSS for non-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compression index and other soil properties.

  • PDF

부산지역의 해저용출수 전기비저항탐사 (Resistivity Explor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Busan Area)

  • 박준규;김성욱;이진혁;김인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711-716
    • /
    • 2010
  • This study selected the promising area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SGD) that flows into the sea following unconfined physical aquifer through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of the land and sea. The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SGD) mostly flows into the sea following fracture zones, and the detection of the fault zone becomes the important guideline of groundwater discharge. Electrical sounding of the land assessed the groundwater flow and integ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 fault that is a water path between underground reservoir and surface water as well as a rock fracture.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sea electrical resistivity to expand the area with high potential and selected the expected water potential groundwater area. The areas of the study were Busan and coastal areas, and for the terrain analysis, the candidates of the ground exploration were selected after analyzing lineaments that is expanded to coast direction.

  • PDF

강릉-부산 간 동해안 해안단구 검토 (Review on Marine Terraces of the East Sea Coast, South Korea : Gangreung - Busan)

  • 최성자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5호
    • /
    • pp.409-425
    • /
    • 2019
  • 계단형 평탄지형면인 해안단구는 고해수면을 지시하는 표식지형으로 가까운 지질시대동안 일어났던 지구조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지질학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지형이다. 한반도의 동해, 서해 그리고 남해안 모두 해안단구가 발달하고 있으며 그 중 동해안에 가장 잘 발달하고 있다. 동해안의 해안단구는 4-6조로 해발고도 수m 에서 수십m 상위에 발달하고 있다. 이들 중 최하위 단구를 제외한 모든 단구는 중기 플라이스토세 이후에 형성되었고, 특히 OSL 연령과 고지자기 층서의 블래이크 사건(Blake excursion event)에 따르면 2단구와 3단구는 공히 최종 간빙기에 대비된다. 플라이스토세 해수면변동 곡선과 단구의 구정선고도를 서로 대비하여 본다면 동해안에서 중기 플라이스토세 이후부터 중기 홀로세까지 광역적 지구조 운동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릉에서 부산까지 해안단구의 구정선 고도가 지역별로 상이하며 4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릉-용한리(I), 호미곶-나정(II), 나정-방어진(III), 왜성-부산만(IV). 구정선 고도가 지역 간 서로 다르게 발달하고 있는 것은 오천단층 혹은 그의 부수단층, 감포 선구조, 울산단층 등에 의한 지괴운동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구정선 고도와 단구 평탄면 형성시기를 상호 함수로 한 동해안의 융기율은 0.2-0.3m/ky 범위 내외이며, 구정선 고도에 따라 융기율은 지역적으로 다르다.

초여름 남해 동부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분포와 세포 특징 (Distributions and Cellular Characteristic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in the Eastern South Sea of Korea in Early Summer)

  • 임월애;이창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3호
    • /
    • pp.106-109
    • /
    • 2004
  • 2004년 6월 초순 부산연안역, 진해만, 남해도∼통영해역에 이르는 남해 동부연안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의 분포와 양을 조사하였다. 표층해수 11를 10$\mu\textrm{m}$의 망으로 농축하여 현장에서 바로 C. polykrikoides를 현미경 관찰한 후 촬영하였다. 그 결과 C. polykrikoides 세포는 진해만에서 60∼660 cells/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산연안역은 45∼330cells/1였으나, 남해도∼통영 해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발견된 C. polykrikoides는 세포내 빨간 원형물질을 함유하였고, 세포 분열이 되어 체인을 형성할수록 세포내 빨간 물질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부산 기장에서 채집된 말미잘의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동정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 Sea Anemone (Cnidaria: Anthozoa: Actiniaria) Obtained in Gijang, Busan)

  • 유상준;김도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7-452
    • /
    • 2017
  •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a sea anemone collected from the coast of Gijang, Busan. The anemone was morphologically similar to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Anthopleura, but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id not allow for confirmed identification to species level. Multiple genes from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II, 12S and 16S rRNA, and nuclear 18S and 28S rRNA, were amplified for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analysis using genomic DNA extracted from the sampled anemone and a different primer set. Based on the MLST analysis, the anemone obtained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as Anthopleura artemisia. Also, the sequence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2 was most closely related to A. artemisia, indicating that this single region might be useful for anemone identification. This study shows significance of molecular identification for sea anemones, and will be helpful in studies of sea anemone identification using genotyping-by-sequencing.

해일/범람에 따른 해안 매립지의 취약성 (The Vulnerability of the Reclaimed Seashore Land Attendant Upon Storm Surge/Coastal Inundation)

  • 강태순;문승록;남수용;심재설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8-75
    • /
    • 2010
  • Recently,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typhoons have been on the increase due to unusual weather phenomena and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on September 13, 2003, typhoon MAEMI (0314) caused heavy damage in the provinces of Busan and Gyongnam,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perform a variety of studies on storm surge. According to investigation reports on the damage resulting from typhoon MAEMI, the areas where coastal inundation occurred were located in reclaimed land under coastal development. In this study, through an image data analysis of historic and present day typhoons affecting Masan, we found that the inundation damage areas corresponded to reclaimed lands. Therefore, using the area around Busan, includi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where typhoons lead to an increased storm surge risk, we performed a storm surge/inundation simulation, and examined the inundation effect on reclaimed land due to the intensified typhoons predicted for the future by climate change scenarios.

선박입출항 데이터를 활용한 남북 항만 간 해상운송 현황 분석 (Analysis of the Status of Shipping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Ports using Vessel Arrival and Departure Data)

  • 이성우;신성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3-74
    • /
    • 2020
  • 북한의 항만 및 해운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은 향후 한반도 평화 시대에 남북 간 교역을 대비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남북 항만을 기항한 선박들의 운항 현황을 Port-MIS 선박입출항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도별/화물별(선박종류별)/(북한)항만별로 분석하였다. 특히, 남북 간 교역이 가장 활발했던 3개 연도(2006~2008년)의 남북 항만 간 선박입출항 자료를 시각화 작업을 통해 해상 운송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6년부터 2008년까지 해주↔인천간 해상화물이 가장 많았으며, 서해안권에서는 해주↔목포, 남포↔인천 루트가, 동해안권에서는 나진↔부산 루트가 활발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북한의 동해안권과 서해안권 모두 다양한 운송루트를 보이고 있는 선박은 일반화물선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일반 화물선의 경우, 한국의 서해안에 위치한 항만은 북한의 서해안에 위치한 항만끼리, 한국의 동해안에 위치한 항만들은 북한의 동해안을 각각 운항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남북 간 교역의 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향후 남북 항만 간 연안 운송 관련 연구와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피조개의 양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I.부유유생의 분포 (Biological Studies On Arkshell Culture I. Distribution Of Drifting Larvae Of Te Arkshell, Anadara broughtonii Schrenck)

  • 유성규;박경양;유명숙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5-81
    • /
    • 1977
  • 피조개는 우리나라의 내만이나 내해의 비교적 수심이 깊은 곳에 사는 대형종으로 조개류 중에서 가장 값비싼 중요양식종이다. 이 종의 양식을 위한 관심이 컸고, 많은 노력도 해 왔으나 양식의 기본이 되는 종묘생산이 제대로 되지않아 그 양식은 언제나 형식에 지나지 않았다.

  • PDF

대합에 기생하는 흡충유 유충의 연구 (STUDIES ON THE TREMATODE LERVAE INFECTED IN THE HARD CLAM, MERETRIX LUSORIA)

  • 전세규;이종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42
    • /
    • 1976
  • 1974년부터 1975년 말까지 부안만 대합에 기생하는 흡충류 유충의 발육, 기생율, 조직변화 및 사육실험을 통하여 대합의 폐사원인을 밝혔다. 1. 대합의 생식소, 중장선, 새엽에 기생하는 유모 cercaria인 Cercaria pectinata Huet와 그 sporocyst를 검출하였다. 2. 기생충의 수와 량이 급히 증가하므로 흡충류에 기생된 대합은 기능장해를 받아 폐사된다. 3. 부안산 대합 2,639개체에 대한 대합에 기생되는 흡충의 평균 기생율은 $13.2\%$였는데, 월별로 보면 7월이 가장 높았으며$(29.6\%)$, 3월이 가장 낮았다$(2.0\%)$. 한편 각장에 관계없이 기생율은 거의 같았다. 4. 흡충류에 기생된 대합의 생식소는 거세되고, 유충의 증식으로 중장선은 압박을 받으며 새판내에 기생되므로 혈액순환장해를 일으킨다. 5. 수조 내에서 사육한 기생패는 35일만에 전부 폐사했다.

  • PDF

부산항 퇴적물속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Spacial-Temporal Characteristics of Dinoflagellate Cyst Distribution in Sediments of Busan Harbor)

  • 김현정;문창호;조현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4호
    • /
    • pp.196-203
    • /
    • 2005
  • 부산항의 와편모조류 시스트를 연구하기 위하여 2003년에 11개 정점에서 표층 퇴적물을, 1개 정점에서 수직 퇴적물을 채집하였다. 표층 퇴적물에서 동정된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총 12속 22종으로 $210\~869\;cysts/g$의 농도로 분포하고 있었다. 외항의 정점보다 내항의 정점에서 타가영양종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인근 하천으로부터 항내로 유입되는 오염물질과 방파제 건설로 인한 해수 교환율 저하로 외항보다는 내항의 수질이 악화되어 있는 상태를 반영한다. 수직 퇴적물의 퇴적속도는 2.0 mm/yr로 대략 지난 260년간을 나타내고 있었다.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9속 18종으로 $79\~446\;cysts/g$의 농도 범위를 보이고 있었다. 수직 퇴적물 시료에서 $14\~15cm$($1928\~1933$년)층을 기준으로 하부보다 상부에서 시스트 농도가 낮고 타가영양종의 비율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1930년대부터 시작된 연구해역의 산업화, 도시화 현상을 반영하는1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