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ulnerability of the Reclaimed Seashore Land Attendant Upon Storm Surge/Coastal Inundation

해일/범람에 따른 해안 매립지의 취약성

  • 강태순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구기획부) ;
  • 문승록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구기획부) ;
  • 남수용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연구기획부) ;
  • 심재설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Recently,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typhoons have been on the increase due to unusual weather phenomena and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on September 13, 2003, typhoon MAEMI (0314) caused heavy damage in the provinces of Busan and Gyongnam, bu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perform a variety of studies on storm surge. According to investigation reports on the damage resulting from typhoon MAEMI, the areas where coastal inundation occurred were located in reclaimed land under coastal development. In this study, through an image data analysis of historic and present day typhoons affecting Masan, we found that the inundation damage areas corresponded to reclaimed lands. Therefore, using the area around Busan, including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where typhoons lead to an increased storm surge risk, we performed a storm surge/inundation simulation, and examined the inundation effect on reclaimed land due to the intensified typhoons predicted for the future by climate change scenarios.

Keywords

References

  1. 강윤구 (2005). "태풍 매미 내습시 해일.고파랑에 의한 호안.안벽에서의 수위증가 패턴 고찰", 한국해양공학회지, 제19권, 제6호, pp 22-28.
  2. 강태순, 문승록, 남수용 (2008). "해일범람에 따른 해안매립지의 취약성", 한국항해항만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 강태순, 문승록, 남수용, 황준 (2007). "폭풍해일에 의한 해안침수예상도 작성 현황 및 향후계획", 한국방재학회지, 제7권, 제3호, pp 97-108.
  4. 기상청 (2003). 태풍 매미 기상백서.
  5. 김도삼, 김지민, 이광호, 이성대 (2007). "연안역에서 고파랑과 폭풍해일을 고려한 침수해석",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35-41.
  6. 마산만 특별관리민관산학협의회, 경남대학교 연안역폐자원 및 환경연구센터 (2006). 그 생명의 숨결 마산만.
  7. 마산시 (2004). 태풍 매미에 의한 해일피해 원인조사 및 재해방재대책 수립용역 보고서.
  8. 문승록, 강태순, 남수용, 황준 (2007). "폭풍해일에 의한 해안침수예상도 작성 시나리오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9권, 제5호, pp 492-501.
  9. 박종길, 김병수, 정우식, 김은별, 이대근 (2006).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태풍의 통계적 특성 변화",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제16권, 제1호, pp 1-17.
  10. 부산광역시 (2004). 녹산공단 해일피해 방재대책 수립용역 종합보고서.
  11. 부산광역시 (2005). 해일피해 영향분석 및 피해방지계획 수립용역 보고서.
  12. 오재호 (2007). "미래 태풍 강도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변화가 동아시아지역 태풍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전문가 워크숍(제5차 기후변화 학술대회 및 제4차 기후변화 정책포럼), pp 21-24.
  13. 이동영 (2004). "연안 해일재해 예측 시스템 구축 및 연안 재해 방지",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한반도 해역의 고파, 폭풍해일 특별 Workshop, pp 63-66.
  14. 이종섭, 한성대 (2004). "마산시의 해일방재대책 방향설정에 관한 고찰",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한반도 해역의 고파, 폭풍 해일 특별 Workshop, pp 45-48.
  15. 연안기술개발기술연구센터 (2004). 일본 폭풍해일 위험지도 매뉴얼.
  16. 천재영, 이광호, 김지민, 김도삼 (2008). "태풍 매미(0314호)에 의한 마산만 주변연안역에서의 범람해석",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2권, 제3호, pp 8-17.
  17. 최병호 (2005). "해일분야 비상대처계획에 대한 소고", 한국해안해양공학회, 한반도 해안의 해일 논문집, pp 183-185.
  18. 최병호, 고진석, 엄현민 (2004). "한반도 주변 해역의 최극해양 환경",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한반도 해역의 고파, 폭풍 해일 워크숍 논문집, pp 87-120.
  19. 한국토지공사 (2005). 태풍 해일에 대비한 단지조성방안 연구.
  2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5). 해양매립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의 효율적인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2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갯벌 매립사업 환경평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22.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a). "부산연안에서 폭풍해일고의 추정",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37-44.
  23. 허동수, 염경선, 김지민, 김도삼, 배기성 (2006b). "경남연안의 지역특성에 따른 폭풍해일고의 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45-53.
  24. 허동수, 이현우, 이우동, 배기성 (2008). "슈퍼태풍 내습시 부산.경남 연안역의 폭풍해일고",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20권, 제1호, pp 128-136.
  25.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2003). 2003 태풍 매미 피해 현장조사 보고서.
  26. Iwasa, Y., Inoue, K. and Mizutori, M. (1986). "Hydraulic Analysis of Overland Flood Flows by Means of Numerical Method",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Institute Kyoto University, Vol 23, B-2, pp 305-317.
  27. Myers, V.A. and Malkin, W. (1961). "Some Properties of Hurricane Wind Fields as Deduced from Trajectories", U.S. Wether Bureau, National Hurricane Research Project, Report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