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8121/kpea.2020.12.36.4.53

Analysis of the Status of Shipping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Ports using Vessel Arrival and Departure Data  

Lee, Sung-Woo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종합정책연구본부)
Shin, Sung-Ho (동아대학교 국제무역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v.36, no.4, 2020 , pp. 53-7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North Korean shipping industry to prepare for inter-Korean trade in the future era of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the status of vessels calling in North and South ports was analyzed by year, cargo type (vessel type), and North Korean port type using Port-MIS data.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three years (2006-2008) in which inter-Korean trade was the most active, the flow of maritime transport was analyzed by visualizing data on vessels' arrival and departure in the North and South ports. Findings revealed that sea transportation between Haeju-Incheon was the most frequent, while the Haeju-Mokpo and Nampo-Incheon routes in the west coast area, and the Najin-Busan route in the east coast area were active. With reference to general cargo vessels, ports located on the west coast of Korea tended to operate between those located on the North coast of North Korea and on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research and policies related to coastal shipping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uture.
Keywords
North Korea Port; Vessel Arrival and Departure Data; Visualization; Port-M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길수(1994b), 이슈진단: 남북 해운 협력을 위한 연안해운의 기능 강화 (하). 해양한국, 제1994(7)호, 45-51.
2 김상열.박호.장현미(2014), Fuzzy-AHP를 활용한 연안해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82집, 493-515.
3 김홍섭(2012), 변화시대 남북물류의 협력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집 제1호, 229-261.
4 박용안.최기영(2009), 컨테이너 연안 운송의 비용구조와 경제적 제약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3호, 321-338.
5 신성호.정현재.이동현(2018), 대중국 전자상거래 해상운송 기종점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4집 제3호, 93-112.
6 윤재호(2017), 연안해운 운임인상에 따른 물가파급효과 분석. 한국물류학회지, 제27집 제5호, 29-40.
7 이충효.선일석(2016), 연안해운 활성화 측면에서의 경인 아라뱃길 활용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2호, 39-57.
8 전준수(2001), 연안화물해상운송의 제약요인 분석 및 발전방안. 서강경영논총, 제12집 제2호, 261-287.
9 조계석.박용안.전형진(2000), 컨테이너 화물의 연안 운송 제약요인 분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0 하헌구.민정웅(2006), 연안 운송의 활성화를 위한 연계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항만경제학회지, 제22집 제2호. 19-33.
11 김상열.류동근(2007), 연안 운송 활성화를 위한 Modal Shift 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55집, 27-42.
12 Ducruet, C.(2008), Hub Dependence in Constrained Economies: The Case of North Korea. Maritime Policy & Management 35(4), 377-394.   DOI
13 Lee, S.-W.,(2009), Global Maritime Transport and Logistics: Recent Developments and Implications for Asian Container Ports, KMI International Journal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1(2), 79-87.
14 구민교(2019), 한반도 평화체제 이후 남북한 해양협력 방안: 수산업, 해운업, 해상유전 공동개 발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연구, 제11집, 1-16.
15 백탁선(2001), 우리나라 연안해운의 활성화 방안. 무역학회지, 제26집 제1호, 75-96.
16 변양수(2005), 우리나라 컨테이너화물의 연안 운송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17 김길수(1994a), 이슈진단: 남북 해운 협력을 위한 연안해운의 기능 강화 (상). 해양한국, 제1994(6)호, 39-43.
18 김동훈(2005), 컨테이너 연안해송의 편익분석 및 화주기업의 인식실태에 관한 실증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47집, 1-19.
19 김영윤(1998), 북한의 해운산업 현황과 해운분야 남북한 협력 방안. 민족통일연구원.
20 김영윤(2011), 북한의 해운산업 현황과 과제, 한국해양전략연구소, Strategy 21. 제14집 제1호 통권 제27호 (2011 여름), pp.96-125
21 김홍섭(2016), 한반도의 동북아 육상물류체계 위상과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2집 제2호, 1-24.
22 안기명.김현덕(2006), 연안해운의 문제점과 혁신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제19집 제4호, 1499-1512.
23 이성우(2018), 한반도 물류통합과 확장을 위한 북한 항만개발 방향, KDI 북한경제리뷰 2018년 9월, 23-41
24 임종관(1995), 南北 海運協力의 問題點 및 向後 推進方向. 월간 해양수산, 제131집, 18-36.
25 전형진(2002), 주요국의 연안해운정책 비교. 분석. 월간 해양수산, 제213집, 31-43.
26 이윤재.안기명.김현덕.김광희(2005), 동북아 물류거점화를 위한 연안해운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9집 제6호, 501-508.   DOI
27 정봉민(2008), 남북해운의 발전 방향. 월간 해양수산, 제 286집, 12-25.
28 조승범(2006), 한국 연안해운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Doctoral dissertation, 한국해양대학교).
29 채희정.안기명.김광희(2008), 부산항 컨화물의 연안환적 운송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집 제3호, 159-165.   DOI
30 하헌구(2004), 육상운송과 연안 운송의 연계체계 구축 방안. 대한토목학회 간행물, 27-40.
31 황진회.전우현(2018),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해운협력 기반 구축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32 국가통계포털[웹사이트] (2020.2.6.), http://kosis.kr
33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웹사이트] (2020.2.28.), https://new.portmis.go.kr
34 대북지원정보시스템[웹사이트] (2020.3.10.), https://hairo.unikorea.go.kr
35 안우철(2013), 한국과 일본의 연안해운 활성화 정책에 대한 비교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79집, 715-739.
36 임광수.강상곤.안승범(2004), 연안 운송 활성화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화주의 연안 운송기피 원인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0집 제2호, 253-273.
37 박동화.박홍균(2019), 북한 서해안권의 항만선택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35집 제3호, 407-428.   DOI
38 Ducruet, C., Stanislas R., and Jo, J.-C.(2009), Going West? Spatial Polarization of the North Korean Port System.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7(5), 357-368.   DOI
39 Lee, S.-W., Shin, S.-H., and Bae, H.-S.(2020), Short Sea Shipping on the West Coast of Korea: Keys to Activating Shipping Industry in Preparation for Korea Unification Era, Journal of International Logistics and Trade 18(2), 91-10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