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ching experienc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4초

정서중심심리코칭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Emotion Focused Psychology Coaching)

  • 김현진;정현섭;나은혜;신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03-212
    • /
    • 2022
  • 본 연구는 정서중심심리코칭 경험의 본질이 무엇이며, 그 경험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정서중심코칭을 5회 경험한 4인의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면담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정서중심심리코칭은 Greenberg의 정서중심치료를 기반으로 ICF의 코칭 핵심역량과 함께 융합하여 정서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코칭심리 모델이다. 분석결과, 정서중심코칭 경험 이전에는 자신의 정서를 회피하거나 억압한 면이 있었고, 이로 인해 행동에서도 효과적인 대인관계나 대안을 탐색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경험 이후에는 정서에 대한 인식, 정서 조율, 정서 표현, 상대에 대한 정서 이해(공감) 등이 적응적인 형태로 발전하였으며, 효율적인 대안을 마련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스포츠 코칭효능감의 원천(source)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ing Study for the Sources of Sports Coaching Efficacy)

  • 김인우;김지선;김한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40-8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스포츠 코치들이 어떠한 경험을 통해 코칭효능감을 느끼게 되었는지를 현상학적으로 탐구하고, 이를 통해 코칭효능감의 원천 요인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스포츠 지도자 15명을 유목적적 표집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전사와 코딩, 범주화와 의미화 등의 질적 자료 분석 절차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칭 성공 경험, 사회적지지, 코칭 관련 선수 경험, 코칭 전문지식, 선수 피드백 등 5개의 요인으로 스포츠 코칭효능감 원천 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원천 요인들은 코칭효능감 발달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eer Coaching

  • Bang, Young-Joo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2호
    • /
    • pp.1-2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eer coaching for EFL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study, 12 college teachers in Korea participated in a 10-week program. They were 7 males and 5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4 to 37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Reflective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interview data. From the findings, two significant categories of peer coaching were identified: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to peer coaching experience. However, the overriding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data were the benefits of peer coaching. The participants were almost unanimous in their acknowledgement of the advantages of peer coaching, such as reflective support through other's eyes, improved working environments, greater teaching strategies, higher professional self-esteem, and awar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Negative responses also appeared, mostly in regard to the working principles of implementation; the major issues of difficulties were time management, complexities of implementation procedure, stress and personal vulnerability, and relative lack of reflection and feedback skills. Demonstrat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towards the peer coaching program, this study provides EFL teachers with useful insights into peer coaching as an effective tool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 PDF

동료 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 Participating in Peer Coaching Meetings)

  • 정행남;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3-7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개선을 위해 동료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가 어떤 경험 과정을 거치는지 탐색하고, 각 경험 과정에 어떤 요인이 작용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동료장학 모임 과정 녹음과 수업 촬영,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자료를 전사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 교사는 동료장학 모임 초반, CoRe를 개발하면서 동료교사들과의 어색함을 깨고 동료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였으나, 자신의 수업에 대한 논의에서 동료교사들의 논의를 수용하기 보다는 자기방어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동료장학이 점차 진행되면서 자신의 이전 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 다른 참여교사의 수업에 대한 논의, 동료장학이 수업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개선하려는 것이라는 인식을 통해서 자신의 수업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고, 이를 통해 동료장학 모임에서 나온 논의를 인정하고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K 교사의 반성적 성찰은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였는데, 그는 동료교사들과 함께 수업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면서, 사소한 언어 습관이나 말의 속도, 발음에서부터 학생과의 상호작용, 수업의 구조화까지 교수 실행에 큰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교육과정이나 평가에 관한 지식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그가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로서 강한 성적향상 교수 지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동료장학은 K교사의 교수 방법이나 전략에는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견고한 성적향상 교수 지향이 PCK 하위 요소의 균형 있는 발달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외모 만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경험 매개 효과-고등학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on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Experience Mediation-Focusing on High School Students)

  • 조민경;이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4권2호
    • /
    • pp.57-69
    • /
    • 2020
  • 본 연구는 남녀 고등학생의 외모 만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경험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고등학생 118명과 여자 고등학생 121명, 총 239명을 대상으로 신체만족도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대인관계 경험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외모 만족, 대인관계 경험, 자아존중감은 각각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대인관계 경험은 자아존중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며 외모 만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보였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매개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낮은 외모 만족으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낮은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대인관계 경험이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이에 대한 청소년 코칭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PDF

4차산업시대에 상담코칭전문가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cognition of Counseling & Coaching Experts in the Fourth Industrial Age)

  • 최정헌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3호
    • /
    • pp.225-24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ounseling & Coaching(C&C) service and marketing by understanding C&C professionals' perception about the fourth industrial ag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phenomenology was utilized in this study. In-depth personal interviews of 5 C&C Specialist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C&C service setting were conducted using the records from May, 2018 to July, 2018. Content analysis was done using the Colaizzi'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based on the data analysis, 20 descriptive statements and 5 themes were confirmed. The 5 themes were as followed; 'A growing interest', 'Psychological burden of change' 'New hope through convergence', 'Do not move to action', and 'Think about new strategies'. This study helps to recognize counseling coaching professionals who are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age.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starting point for identifying the knowledge ecosystem and activating the counseling coaching service in the fourth industrial age.

치과위생사(치과종사자)의 코칭리더십이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직무만족,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that Coaching leadership of Dental Hygienist (Dental practitioners) affects in the Motivational self-concept,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t)

  • 윤성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61-267
    • /
    • 2018
  • 본 연구는 치과종사자들의 코칭리더십이 직무 만족도,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경북지역 205명의 치과위생사(간호조무사)를 조사하였다. 코칭리더십의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2.67, 개발코칭 2.61, 관계코칭 2.61로 나타났다. '나의 상사는 나의 발전을 위한 연수교육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해 준다'가 2.50으로 가장 낮았다. 일반적 특징에 따른 코칭리더십은 20-25세, 경력 1-5년, 미혼, 수입 2000만원 이하, 직속상관은 여성, 직속상관 나이 20-30세, 직속상사 직위는 팀장, 선임치과위생사가 높았다(p<.05). 코칭리더십에 대한 직무만족도, 동기부여적 자아개념, 삶의 질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5). 따라서 올바른 코칭리더십은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개인의 발전을 높이기 위한 동기부여적 자아개념을 향상시켜 삶의 질도 높인다.

강점코칭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첫 임상실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trength Coaching Program for First Clinical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s)

  • 홍주영;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2호
    • /
    • pp.139-143
    • /
    • 2020
  • 본 연구는 강점코칭이 첫 임상 실습에 임하는 간호대학생의 임상 수행능력, 자아존중감, 임상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연구이다. 실험군(n=22)과 대조군 각각 2주간의 첫 임상실습을 시행하였고, 기간 중 실험군에는 감정코칭을 시행하고, 대조군(n=21)은 2주간 임상실습 기간 종료 후 코칭을 수행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1월 7일부터 4주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동질성 검증은 t-test와 χ2-test로, 가설검증은 Independent t-test, 사후검정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감정코칭은 자아존중감과 임상 실습만족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 수행능력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감정코칭은 첫 임상 실습에 임하는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임상 실습만족도 향상에 도움이 될 간호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경영자의 코칭역량모델 개발 및 요구분석 (Executive coaching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and needs analysis)

  • 우수명;장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30-554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의 코칭역량모델을 개발하고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영자 코칭에 종사해온 전문가 집단과 실제 경영 현장에서 코칭을 경험하고 사용하고 있는 경영자 및 임원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수정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3차에 걸친 조사를 통해 총 5개 역량군과 34개 하위 역량이 도출되었다. 이어서 34개의 역량 항목을 측정하는 102개의 설문 문항을 설계하여 272명의 경영자 및 임원 등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26개의 역량항목에 대해서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이어서 경영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Borich 요구도를 활용해 경영자 코칭역량에 대한 우선순위를 실시한 결과 5개 역량군에 속한 26개 하위역량 중 사업적 통찰력이 가장 요구도가 높은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이어서 동기유발, 조직관리, 갈등 관리, 전략적 사고, 협상 등으로 나타났다.

코칭 슈퍼비전에 있어 슈퍼바이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mpacting on Supervisee's Satisfaction in Coaching Supervision)

  • 김용구;채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102-6113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코칭 슈퍼비전에 있어 슈퍼바이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독립변인 4가지(슈퍼바이저, 슈퍼바이지, 콘텐츠, 조직요인)와 조절 변인으로 관계 요인을 설정하였고, 종속 변수로 슈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한국에서 활동하는 전문 인증 코치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12개의 설문 응답 중 유효한 응답 105개를 위계적 회기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회귀 분석 결과 슈퍼바이저 요인과 조직 요인이 슈퍼비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한편 관계 요인은 슈퍼바이지 요인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국내 코칭 슈퍼비전의 유효성이 슈퍼바이저에 의해서 결정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는 국내 코칭 슈퍼비전의 불안정성, 인식과 경험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한 것이다. 향후로는 코칭 슈퍼비전 연구에 있어 슈퍼비전의 인식 정립 및 슈퍼비전의 방법론의 프레임워크 정립, 체계 마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