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ock Synchronization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4초

주파수 도약 통신방식 FSK 송수신기의 고속동기회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High Speed Synchronization Circuit Applied in Frequency Hopping FSK Tranceiver)

  • 이준호;전동근;차균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8-46
    • /
    • 1992
  • 본 논문에서, 63_88MHz 밴드폭에서 25MHz 채널 스페이싱을 갖는 1023 채널과 100 hops/sec 호핑율을 가진 주파수 호핑 송수신기에 적용할 수 있는 고속 동기 회로를 수행했다. 동기과정(초기 동기와 트래킹)은 두 스텝으로 구성된다. Short hopping frequencies, synchronization prefix에 정합된 두개의 채널 수동 correlators를 사용한 변황된 정합 필터는 초기동기를 위해 제시되었다. 초기 동기의 확률을 증가 시키기 위해 prefix는 반복적으로 전송된다. correlator의 출력은 동기 결정회로로 보내지고 코드 시작 시간은 동기 결정회로에 대해서 알아낸다. 변형된 정합 필터 방법은 하드웨어의 복잡성을 줄이고 코드 획득을 빠르게 얻는 것은 가능하게 했다. 쿨럭 회복 회로는 tracking을 위해 PN코드를 발생했다.

  • PDF

스페이스와이어 링크의 시각 동기 성능 개선 (Improvement of Time Synchronization over Space Wire Link)

  • 류상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144-1149
    • /
    • 2009
  • This paper deals with the time synchronization problem over SpaceWire links. SpaceWire is a standard for high-speed links and networks between spacecraft components, which was invented for better, cheaper, faster on-board data handling in spacecraft. The standard defines Time-Code for time distribution over SpaceWire network. When a Time-Code is transmitted, transmission delay and jitter is unavoidable. In this paper, a mechanism to remove Time-Code transmission delay and jitter over SpaceWire links is proposed and implemented with FPGA for validation. The proposed mechanism achieves high resolution clock synchronization over SpaceWire links, complies with the standard and can be easily adopted over SpaceWire network.

위성시각 동시측정에 의한 웹기반 슬레이브클럭 시스템 (A web-based remote slave clock system by common-view measurement of satellite time)

  • 김영범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2B호
    • /
    • pp.1037-1041
    • /
    • 2004
  • 본 논문에서 위성신호를 매개로 원격지의 로컬클럭이 기준신호에 동기되는 새로운 개념의 슬레이브를럭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이 방식에 의한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새로이 제시하는 방식은 단계적인 물리계층에 의해 동기되던 기존의 방식에 비해 모든 슬레이브 국소들이 동일한 계위의 품질로 유지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구조적인 장점을 지니고 있다. 슬레이브클럭 시스템의 측정결과 10-12 수준의 주파수정확도를 유지하였으며 ITU-T의 권고(G.811)를 만족하는 MTIE 특성을 보여주었다. 현재 전체적으로 자동화기능을 갖는 초기모델이 구현되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상용화연구를 통해 통신망 동기용 노드클릭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단방향 지연 변이와 일주 지연을 이용한 양단간의 단방향 지연 추정 (One-Way Delay Estimation Using One-Way Delay Variation and Round-Trip Time)

  • 김동근;이재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75-183
    • /
    • 2008
  • 네트워크에서 QoS(quality of Service) 제공 기술은 양단간 네트워크 경로의 안정성과 성능의 정도를 나타내는 QoS 척도에 대한 실제 측정에 기반을 두고 있다. QoS 척도 중에서 특히 단방향 지연의 측정은 양단간 두 측정 지점간의 클럭(clock) 동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네트워크에서 모든 단말 또는 호스트(host) 사이에는 절대적 또는 상대적인 시간 차이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방향 지연 단방향 지연 변이와 일주 지연(round-trip time: RTT) 간의 관계식을 새롭게 유도하여 추정 오류가 일주지연의 사분의 일 이하가 됨을 수학적으로 보여주며, 이를 이용한 단방향 지연과 클럭 오프셋(offset)의 추정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본 제안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 PDF

NG-SDH 망에서 다양한 클럭상태 하에서의 동기클럭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analysis of synchronization clock with various clock states in NG-SDH networks)

  • 이창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3호
    • /
    • pp.303-310
    • /
    • 2006
  • 본 논문은 NG-SDH망에서 정상상태와 SPT상태 및 LPT상태 등 다양한 클럭상태에 따른 동기클럭 특성분석과 최대 망노드수 도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정상상태일 경우 NG-SDH 최대 망노드수는 42개에서 38개로 나타났다. SPT상태에서 최종단 NE망을 SPT상태로 적용할 때 최대 망노드수는 19개에서 4개까지로 정상상태에 비하여 많이 감소하였고, 모든 NE망에서 SPT상태가 발생하면 규격만족 노드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LPT상태에서 최종단 NE망을 LPT상태로 적용할 경우 최대 노드수는 모두 50개 이상까지로 나타났고, 모든 NE망을 LPT상태로 적용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모든 DOTS를 LPT상태로 적용하였을 경우 규격만족 전송망 노드수는 SPT상태나 정상상태에 비해 차이가 크지 않았다.

디지틀 랜덤 비트 동기 회로 설계 (Circuit Design for Digital Random Bit Synchronization)

  • 오현서;박상영;백창현;이홍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87-795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랜덤한 NRZ 신호에 동기된 클럭을 추출하는 비트 동기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회로 설계 및 성능을 분석하였다. 설계된 동기 회로는 데이터 천이 검출기, Mod 64 계수기, 위상비교 및 제어기, 64분주기로 구성되었으며, 데이터 처리 속도가 16Kbps로서 마스터 클럭은 4.096MHz, 그리고 위상 보정은 매 비트마다 데이터 신호 주기의 1/64만큼 이루어진다. 입력신호에 대한 위상 지터의 최대 허용치는 23.8%이고, 복원된 클럭의 편차가 1.6%임을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동기 회로는 완전 디지틀 회로로서 하나의 반도체 칩으로 실현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저속의 디지틀 이동통신에 효과적이다.

  • PDF

인터넷전화 이용자 체감품질 측정을 위한 측정데이터 간의 시간동기화 (Time Synchronization of the Monitoring Data for the VoIP User Assessment of Voice Quality Measurement)

  • 권태훈;황혜정;이석기;송한춘;원승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227-236
    • /
    • 2005
  • 인터넷전화 이용자 체감품질을 측정함에 있어 측정시스템 간의 시간동기화가 중요하다. 현재 시스템의 시간동기를 하는 방법에는 NTP 또는 GPS를 이용하여 시간동기화를 하고 있으나 NTP 서버와 시스템간의 거리에 따른 시간적 오차, GPS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의 지연시간, 시스템 클럭의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오차와 같은 문제로 인해 측정시스템 간의 시간동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측정데이터의 시간동기를 위해 측정시스템 간의 시간적 오차와 클럭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하여 신뢰성 있는 품질측정 결과를 생성하는 시간동기화 방식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 PDF

High-Performance Synchronization for Circuit Emulation in an Ethernet MAN

  • Hadzic Ilija;Szurkowski Edward S.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7권1호
    • /
    • pp.1-12
    • /
    • 2005
  • Ethernet is being deployed in metropolitan area networks (MANs) as a lower-cost alternative to SONET-based infrastructures. MANs are usually required to support common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and frame relay, based on legacy synchronous TDM technology in addition to asynchronous packet data transport. This paper addresses the clock synchronization problem that arises when transporting synchronous services over an asynchronous packet infrastructure, such as Ethernet. A novel algorithm for clock synchronization is presented combining time-stamp methods used in the network time protocol (NTP) with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applied to measured packet interarrival times. The algorithm achieves the frequency accuracy, stability, low drift, holdover performance, and rapid convergence required for viable emulation of TDM circuit services over Ethernet.

분산 제어 시스템을 위한 EtherCAT 시계 동기화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f EtherCAT Clock Synchronization in Distributed Control Systems)

  • 김웅기;성민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7호
    • /
    • pp.785-797
    • /
    • 2014
  • EtherCAT의 시계 동기화 기법인 DC(Distributed Clock)는 실시간 분산 제어 시스템에서 고도로 동기화된 기능의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실제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광범위한 실험을 통해 EtherCAT DC 기법의 성능을 평가한다. Xenomai와 IgH EtherCAT 스택을 이용하여 EtherCAT 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네트워크 내의 노드 간 시계 편차를 분석한다. 실험 결과, 동기 시계의 정확도는 슬레이브 장치의 개수, 드리프트 보정의 주기, 시스템 기준 시계의 종류 등 많은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스템 기준 시계의 종류에 따라 마스터 장치의 동작이 근본적으로 상이하며 매우 다른 성능 특성을 초래하므로, 기준 시계의 선택은 신중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ZigBee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정밀 시각 동기 기법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recision Tim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Networks Using ZigBee)

  • 조현태;손상현;백윤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5A호
    • /
    • pp.561-570
    • /
    • 2008
  • 시각 동기 기술은 초고속 통신, 병렬/분산 처리 시스템 등의 근간이 되는 기술이다. 최근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요구하는 응용이 다양해짐에 따라 무선 환경에서 높은 정밀도를 유지하는 시각 동기 기술을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ZigBee를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정밀 시각 동기 기법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시각 동기 과정 중 프로토콜 계층에서 발생되는 지연을 최소화하고, 메시지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 요인을 분석 및 제거함으로서 정밀 시각 동기를 유지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시각 동기 시스템을 검증하고,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능평가 결과, 네트워크 내의 노드는 참조 시각원으로부터 50나노초 이하의 시각 동기를 이루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