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dental hygienists

검색결과 262건 처리시간 0.024초

치위생학 임상실습교육 현황 분석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practice and training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원복연;장계원;황미영;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993-100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practice and training in dental hygiene in hospitals and clinics for th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80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from August 8 to September 12, 2016. Except incomplete answers, 211 copies were retrieved and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6 items), present condition of clinical education (7 items), support policy and facilities (8 items), teaching personnel (6 items), improvement direction (3 items), and general considerations (3 items). Results: The annual practice time for students was 8.4 weeks. The average number of students per each practice institution was 5.95. The evalua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period was rated as 'average' by 55.3% of the respondents, while 65.4% preferred the current duration of the practice. Meanwhile, 33.0% of the respondents wanted to increase the practice period. In clinical training education support, 62.3% of the hospitals had a person in charge, 79.2% of the hospitals and clinics had a operative procedure, appointed staff and a department for student practice. But 86.5% of the hospitals did not have standards for the budget for practice and instruction fee. In the personnel for clinical training, 52.6% said they were dental hygienists. In 87.1%, the practice instruction conducted by professors was don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hospital or clinic, while the man-to-man practice instruction was 8.6%.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ocess and operation method of dental hygiene clinical training. In order to make clinical training meet education goals, a standardized set of criteria is needed to support training education and guidelines for instructors and students.

치위생과정에 기반한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역량 개발을 위한 타당도 평가 (Validity assessment for competency development in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based on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 최진선;신선정;신보미;이효진;윤혜영;배수명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5-56
    • /
    • 2024
  • Objectives: Before implementing a competency-based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competency development as a foundational educational objectiv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clinical dental hygiene with secured validity using the Delphi survey method. Methods: Dental hygiene competencies were categorized within the dental hygiene process stages, and questions were formulated accordingly. A Delphi survey involving ten qualified experts was conducted to refine the final items based on their review opinions. Results: The expert Delphi survey confirmed that all items met stability criteria, with CVI values of 0.80 or higher, CVR values of 0.60 or higher, and a CV coefficient of variation of 0.5 or less. In total, 42 items were derived. Conclusions: Clinical dental hygiene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pecialized dental hygienists if the competencie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well applied to th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operations.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 의사소통 능력이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 한수연;임애정;임희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54-159
    • /
    • 2020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와 의사소통능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조직 내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임상현장에서 치과위생사의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직무만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의사소통능력 개발교육에 활용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치과 병. 의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00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18일부터 6월 12일까지 설문 조사하였다. 직무만족도와 의사소통, 조직 내 의사소통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s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직무만족도와 의사소통이 조직 내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만족도(r=0.193 p<0.05)와 의사소통능력(r=0.404, p<.001)은 조직 내 의사소통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며, 개인의 의사소통 능력(β=0.461, p<.001), 이 조직 내 의사소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과 위생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문 직업인으로 업무에 대한 자부심을 갖도록 직무만족을 높이고, 명확한 자기의사표현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치과 기관 내 교육과 관련 내용의 보수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Research Trend Analysis of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from 2011 to 2020

  • Lee, Sun-Mi;Seong, Mi-Gyung;Moon, Hee-Jung;Son, Jung-Hui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1-138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over the past decade. Methods: From 2011 to 2020, 653 studies were reviewed using a keyword analysis. Contents such as academic classification, research type, research method, research topic,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 and financial support were analyzed. Results: Analysis by school type showed 34.2% of clinical dental hygiene studies, 23.3% of educational dental hygiene studies, 22.8% of basic dental hygiene studies, 10.0% of other field studies, and 9.8% of social dental hygiene studies. By type of study, quantitative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at 69.5%. Regarding data collection methods, 45.8% of the studies that used surveys were the most comm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1% experimental studies, 15.6% general adults, and 15.0% dental hygienists. Regarding the data analysis method, 49.3% of the studies that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ere the most common. The total number of keywords was 2,390, with 107 (4.48%) being 'dental hygienists.' Next, oral health was the most common with 67 (2.80%) articles, followed by 31 for the elderly (1.30%), 25 for dental hygiene students (1.05%), and 24 for stress (1.00%). Conclusion: For academic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diversity of academic top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spread the research results so that the published research can be used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dental hygiene.

Preventive Cares for Orthodontic Dental Patients

  • Lee, Kyu-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 /
    • 제14권4호
    • /
    • pp.209-215
    • /
    • 2018
  • In recent years, the numbers of the orthodontic dental patient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in adolescent or young adult aged generation. It has been well known that it would be very hard to control the oral hygiene cares for orthodontic applied dental patient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the appliance. So the caries prevalence of the orthodontic dental patients would be higher than non-appliance persons, and it might be easy to cause the dental caries especially on the labial or buccal surface of the tooth through equipping the fixed type appliance with a long period, even though the alignment of the teeth would be arranged well. So, the massive preventive program for preventive dentistry should be needed for the dental patients for orthodontic treatment, in order to protect the dental caries and the periodontal disease for them. But, lots of the dentists or dental hygienists sometimes neglect of this point for preventive dental cares orthodontic dental patients, or do not know the importance and how to manage the skill for the preventive dental works in clinical. In this article, it will be introduced the basic theories and skills for preventive cares as tooth-brushing instruction, fluoride topical application and pit and fissure sealant, scaling and professional mechanical tooth cleansing and the diet control, for the dental patients with the fixed type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in case by case.

치위생학의 학문적 정의와 위상에 따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cademic Defini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Dental Hygiene Science in Korea)

  • 한양금;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3-249
    • /
    • 2007
  • 우리나라 치위생학이 도입되지 약 4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치위생학 전공자들의 학문적 정의와 위상에 대하여 치위생(학)과 학생과 보건의료분야의 임상치과위생사 및 교직관련 분야의 대상자에게 설문을 통해 전공분야에 대한 학문적 정의와 위상에 대한 조사롤 실시한 결과 치위생학의 학문적 범위는 학생과 보건/의료분야 임상치과위생사와 대학교수간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통일된 학문적 범위를 설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현재 치위생학의 위상은 다른 학문에 비해 뒤쳐져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매우 높게 조사되었으므로, 치과위생사의 발전을 위해 사회적 위상제고를 위한 민,관,학회 공동의 전문연구를 지원하고 또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져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Analysis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김혜진;정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22-330
    • /
    • 2013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직무만족도,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을 알아보고, 변인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치과위생사 교육 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자의 대부분은 평균연령 30.6세, 여성, 전문대학졸업, 7년 이상 경력,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성향에서 진실추구 3.36점, 성숙 3.00점으로 나타났다.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서는 가치와 목표에 대한 검토가 3.39점, 대안과 선택에 대한 조사가 3.10점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서 전문적 위치 3.20점, 보수 및 승지에서 2.84점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성향에서는 종교, 학력, 총 근무경력, 근무현장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에서는 종교와 학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직무만족에서는 종교, 학력, 총 근무경력, 근무현장에서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임상적 의사결정능력 및 직무만족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임상적 의사결정능력은 직무만족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직무만족도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므로, 학부 교육 과정에서부터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고, 임상현장에 있는 치과위생사를 위한 지속적인 추가 실무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울산지역 치과위생사의 실무능력 관련요인 분석 (The Study of Factors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Dental Hygienist)

  • 이가령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55-163
    • /
    • 2005
  •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실무능력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규명하기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이고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6월부터 7월까지 총 87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7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무능력은 장에 의해 개발된 실무능력에 관한 행동지표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13개 영역의 실무능력을 4개의 실무능력군으로 구분하였다. 조사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총 실무능력간의 관련성은 SPSS 11.5 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에 따른 실무능력은 과학적 실무능력군과 심미적 실무능력군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실무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2.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인경우가 기혼인경우보다 윤리적 실무능력군을 제외한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학력과 근무지에 따른 실무능력에서는 전문대졸이 대학 재학 이상보다 4개의 실무능력군에서 실무능력이 높게 나타났고 근무지에 따라서는 윤리적 실무능력군을 제외한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 치과의원이 높게 나타났으나 별다른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4. 월 급여에 따른 실무능력은 월급여가 높을수록 과학적 실무능력군과 심미적 실무능력군에서 실무능력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 경력에 따른 실무능력은 경력이 높을수록 과학적 실무능력이 높게 나타난 반면 다른 3개의 실무능력군에서는 별다른 유의성이 없었다. 6. 같이 근무하는 구성원에 따른 실무능력을 살펴보면 치과위생사만 근무하는 경우보다 간호조무사와 같이 근무하는 경우 과학적 실무능력군에서 높은 실무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 PDF

임상치과위생사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mpowerment of the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신선행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5-190
    • /
    • 2010
  • 치과위생사가 지각하고 있는 임파워먼트 정도와 병원조직 내에서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치과의료 발전에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10년 3월22일부터 4월 30일까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일부 치과의료기관을 임의추출하여 재직하고 있는 여자 치과위생사 25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임파워먼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3.63이었고, 근무경력, 연봉이 많을수록 임파워먼트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교육 상담업무(p<0.01), 정규직(p<0.05)에서 임파워먼트가 높았다. 3. 역량성과 연령, 근무경력, 연봉은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4. 자기결정성과 연령(p<0.05), 근무경력(p<0.01), 연봉(p<0.05)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5. 회귀분석 결과, 임파워먼트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근무경력(p<0.05)이었다. 결론적으로 직무관련 치과위생사의 임파워먼트는 근무경력, 연봉, 교육 상담업무, 정규직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치과조직은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통해 조직의 역량과 효과성을 높여야하며, 특히 치과위생사가 전문직으로서의 독자적인 의사결정이나 역할수행을 통해 스스로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킬 수 있는 리더십 훈련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보건계열학생이 인식하는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Image Perceived by Health Allied College Students)

  • 김미정;이혜경;김영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81-48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보건계열 3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향후 실무에서 함께 일할 보건 인력이 치과위생사를 어떤 이미지 지각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3월 14 부터 6월 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총 539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총점은 145점 만점에 86.57점이고, 평점은 5점 만점에 2.99점이었다. 2. 지역별 치과위생사 이미지 총 평점은 지역별로는 대도시 대학생이 89.07점으로 중소도시 학생들 85.03점 보다 치과위생사 이미지 총 점수가 조금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4). 학과별로는 물리치료과가 88.89점, 치기공과, 방사선과는 86.91점, 임상병리과가 83.28점 순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46). 3. 지역별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하위 4개 영역(자질, 역할, 사회참여, 대인관계) 차이는 자질(p=0.000), 역할(p=0.006), 대인관계(p=0.01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과별로는 물리치료과 학생이 4개 영역 모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또한 사회참여영역(p=0.021)과 대인관계영역(p=0.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학생의 치과위생사 이미지 형성을 준 복수 응답 문항은 응답자의 67.9%가 '치과(병)의원에서의 치과위생사 모습'에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