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Participation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28초

메타버스에서의 참여형 PBL 수업 설계 (A Design of Participative Problem Based Learning (PBL) Class in Metaverse)

  • 이승호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91-97
    • /
    • 2022
  • 핵심적인 미래역량(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협업, 창의성) 개발을 위한 대표적인 교육방법으로 문제중심 학습법(PBL, problem based learning)이 주목받으며 대학에서의 적용이 확산되고 있다. PBL 수업의 중요한 특징 두 가지는 '팀원들과의 협업'과 '상호작용에 기반한 참여형, 자기주도적 학습'이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 됨에 따라 비대면 원격수업이 대학교육에서 임시방편이 아닌 필수요소가 되었고, 시공간 제약에 의해 앞서 언급한 두 가지 특징을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한계점에 부딪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H대학에서 비대면으로 운영했던 PBL 강좌 사례에 대한 한계점을 분석하고, 메타버스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개선된 PBL 수업 방식을 상세하게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메타버스 활용 PBL 수업에서는 팀에서 진행한 연구 내용들을 담은 자료(이미지, pdf, 동영상 파일 등)를 3차원 가상공간에 갤러리 형태로 자유롭게 꾸미고 전시할 수 있어서 팀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갤러리를 팀원들의 프로젝트 협업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고, 최종 프리젠테이션 장소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 수업 방식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동일 PBL 수업에 적용하여 효과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할 것이다.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대학교 교양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과 운동몰입 및 참여지속의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the Expertise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 Instructor, the Exercise Flow and Persistent Participation Intention Perceived by Non-Sports Major University Students)

  • 이영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735-749
    • /
    • 2021
  • COVID-19사태로 인하여 현재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비대면 형식의 교양 수영 수업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학교의 교양수영 수업의 질은 지도자가 갖추고 있는 전문성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학생들은 실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재 상황에서 운동몰입을 경험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쉽게 확답을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수영 종목뿐만 아니라 모든 교양 체육 및 생활 체육 종목에 있어서 앞으로 상당한 위협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교양 수영 수업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281명의 비체육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교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이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과 참여지속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연구의 필요성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교양 수영 수업 지도자의 전문성(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실습능력, 기초지식)이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강의기술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인성, 강의기술, 학생관리, 기초지식에서 통계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체육 전공 대학생이 인지한 운동몰입(인지몰입, 행동몰입)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행동몰입 요인이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라인댄스 수업몰입에 따른 행복감 및 지속적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w in Line Dance Class on Happiness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 in Elementary Student.)

  • 우정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31-339
    • /
    • 2018
  • 본 연구는 라인댄스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의 지속적 참여의사에 대한 수업몰입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B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는 초등학교 4곳을 방문하여 27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통계 Package 22.0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몰입의 하위요인인 자기목적경험, 주의집중, 통제감, 성취감 모두 행복감 중 자신감에 대한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몰입의 하위요인인 자기목적경험, 통제감, 성취감이 행복감 중 자아실현감에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의집중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몰입의 하위요인인 자기목적경험, 주의집중, 성취감이 행복감 중 즐거움에 대한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감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의 하위요인인 자기목적경험, 주의집중, 성취감은 지속적 참여의사에 대한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감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복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즐거움은 지속적 참여의사에 대한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 실현감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교육생의 약선 음식 이용 특성 및 교육 참여 의사 -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e of Usage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among Culinary Students - Focu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 송연미;조미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3-51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usage and education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Th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300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culinary education program at Seou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Education from September 5, 2014 to September 20, 2014, and 264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Awareness regarding Yaksun food was low, but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Yaksun food class was high. The information searching route for Yaksun food was mainly television, radio or internet. Memil-jeonbyeong ssam was the most eaten menu item and Nokdu-Samgye tang was the most popular menu item.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Yaksun food, vegetable dishes, steamed dishes, rice dishes and roasted dishes were preferred in this order.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aksun food was the cultural center, and the most preferred educational period for Yaksun food was less than three month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the Yaksun food class was practical application in real life. Also, the current state of usage for Yaksun food and the intent to participate in an education program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the current state of usage for Yaksun food, the information searching route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occupation, cooking career and lives and Yaksun cuisine type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occupation, income and households. Also, with respect to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intention for Yaksun food, educational institution preference for Yaksun foo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occupation, cooking career, income and live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for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Yaksun food,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target custom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ir needs. Furthermore, it show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menus for Yaksun food.

신정보소외계층의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한 지역별 정보화 교육과정 (Regional Information Education To Vitaliz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y of New Information Alienated Class)

  • 안미리;황윤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7-5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로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사회참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신정보 소외계층인 이주민 여성의 지역별 정보화 실태를 분석하고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이주민 여성의 정보화 과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민 여성이 제일 많이 하는 활동은 취미 및 여가 활동이었고 지역별로는 정보화 교육을 활발히 하고 있는 지역과 도시지역이 전체적으로 사회 활동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경상북도와 광주 등과 같은 지역의 사회참여활동을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인 정보화 교육과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서울과 대전, 제주도와 같이 활발한 사회참여활동이 이미 이루어지는 곳에서는 정보화 트랙을 연계한 더 높은 수준과 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PDF

초등학교 6학년 때 바느질실습 수업 경험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요구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the Experience of Sewing Practice Class in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 김상미;권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1-77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경험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요구를 알아보고, 중학교 바느질실습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습내용이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값(3.00)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수업 평가의 하위 영역 중 참여도가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중요도, 활용도 순이었으며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바느질실습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교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하거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의 원인이나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 평가에 성별, 실습내용, 교수 학습 방법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가정교사는 성별이나 학년에 상관없이 실습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실습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습내용으로 실습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 활동이나 모둠 중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생활용품과 장식품을 만들거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만들기를 희망하였다. 구상한 것을 자유롭게 만들거나 모둠 활동을 통해 모둠 작품을 만드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요구나 도출한 시사점을 가정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반영한다면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Wikispaces: A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 to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ontexts

  • Ha, Myung-Je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2권4호
    • /
    • pp.62-68
    • /
    • 2016
  • This paper describes an attempt to integrate flip teaching into a language classroom by adopting wikispaces as an online learning platfor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tudent perceptions of the effectiveness of using video lectures and wikispaces to foster a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Flipped learning was implemented in an English writing class over one semester. Participants were 27 low intermediate level Korean university students. Data collection methods included background questionnair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learning experience questionnaires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6 focal participants. Because of the significance of video lectures in flip teaching, oCam was used for making weekly online lectures as a way of pre-class activities. Every week, online lectures were posted on the school LMS system (moodle). Every week, participants met in a computer room to perform in-class activities. Both in-class activities and post-class activities were managed by wikispa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lipped classroom facilitated student learning in the writing class. More than 53% of the respondents felt that it was useful to develop writing skills in a flipped classroom. Particularly, students felt that the video lectures prior to the class helped them improve their grammar skills. However, with respect to their satisfaction with collaborative works, about 44%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Similarly, 44% of the participants felt that in-class group work helped them interact with the other group members. Considering these results, this paper concludes with pedagogical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Effects of Presentation Classes in English Language Curriculum: Focusing on Phonetics/Phonology and Syntax

  • Mi Sook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20-25
    • /
    • 2024
  • The qualitative effect of class is influenced by the instructor's class design and operation method, but it comes from motivating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 and utilizing potential qualities that lead to student-centered learning. Students' activities and the quality development of class participation can be utilized in presentation-based classes. This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presentation classes in English language curriculum applied to English major students in Korea. In other words, with presentations conducted in language-theoretic classes such as phonetics/phonology, and syntax, it turned out that immersion in learning, concentration on clas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can be improved, developing systematic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ve mutual communication ability. Instructors need to lead the direction and design of the classes, but the actual educational effect depends on how students accept the academic tasks, how well they understand the learning contents, and how well they can systematically transmit them to other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at learner-centered presentation classes contribute to making learners develop their competencies in class design, data utilization, imparting knowledge, and communication, which would bring about the improvement of learning quality and educational effects.

Conceptual Clothing Design Process Using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Senior Clothing Design Class

  • Sohn, MyungHee;Kim, Dong-Eun
    •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 /
    • 제14권1호
    • /
    • pp.59-68
    • /
    • 2016
  • This paper identified the source of inspiration to cooperatively design a fashion collection from US undergraduate clothing design students and addressed how to implement team-based learning strategy to conceptual clothing design in clas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total of 51 students in a senior clothing design course at a large 4-year university in the US. The assigned project for this class was to develop a group collection under a same theme. Each student worked with his/her team member(s) to create an outfit and the entire class worked as a group to create a cohesive collection. The study showed that the sources of inspiration for the themes/concepts came from 11categories: historic era/old Hollywood glamour, shape/line/structure/architectural, fairy tales movies, nature/abstract, circus/mysterious, occasion/place, object, designer/artist, futuristic, culture, and various movies. To implement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in the clothing design class, a total of five class presentation/discussion sessions were held for theme/concept decision, fabric decision, design decision, test garment evaluation and design modification, and final products.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team-based learning strategy promoted students'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and inspired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for making decisions within a team.

Investigating Good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in the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OH, Suna;LYU, Jeonghee;YUN, Heoncheol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1권2호
    • /
    • pp.193-216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perspectives on good class and instructional practice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he subjects were 321 students in the third and fourth academic years in a Korean university. The subjects completed four open-ended questions, asking about experience of good class, good instructors' teaching practice, and their feelings and attitudes when participating in good class. As social network analysis, KrKwic (Korea Key Words in Context) was used to compute word frequencies and analyze semantic network structures and Ucinet Netdraw to assess centrality in the social network, consisting of 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 centra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5 keywords to depict what good class is, including 'understanding', 'example', 'video', 'interest', and 'communica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methods by professors who practice good class indicate 'assignments', 'questions', 'understanding', 'example', and 'feedback'. Third, the top 5 keywords of students' attitudes as participating in good class are 'active', 'participation', 'focus', 'listening', and 'asking'. Last, keywords depicting desirable class that students most wanted to take next time are 'assignments', 'rewards', 'understanding', 'difficulty', and 'interes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clude the meanings of the semantic network structures of words in the text making up messages. Also this study can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educators and educational practitioners in higher education to create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