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dosporium sp.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9초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at Microbiological Community on Dry Aged Beef

  • Ryu, Sangdon;Park, Mi Ri;Maburutse, Brighton E.;Lee, Woong Ji;Park, Dong-Jun;Cho, Soohyun;Hwang, Inho;Oh, Sangnam;Kim, Young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105-108
    • /
    • 2018
  • Beef was dry aged for 40-60 days under controlle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refrigerated room with a relative humidity of 75%-80% and air-flow. To date,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microbial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dry aged beef.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effect of change in meat microorganisms on dry aged beef. Initially, the total bacteria and LA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or 50 days during all dry aging periods. There was an absence of representative foodborne pathogens as well as coliforms. Interestingly, fungi including yeast and mold that possess specific features were observed during the dry aging period. The 5.8S rRNA sequencing results showed that potentially harmful yeasts/molds (Candida sp., Cladosporium sp., Rhodotorula sp.) were present at the initial point of dry aging and they disappeared with increasing dry aging time. Interestingly, Penicillium camemberti and Debaryomyces hansenii used for cheese manufacturing were observed with an increase in the dry aging period.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in microorganisms exert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and safety of dry aged beef, and our study identified that fungi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latability and flavor development of dry aged beef.

동양배 과피얼룩병의 발생생태와 화학적 방제 (Etiology and Chemical Control of Skin Sooty Dapple Disease of Asian Pear)

  • 박영섭;김기청;이장훈;김인선;최용수;조송미;김영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5-381
    • /
    • 2008
  • 최근 전국에 걸쳐 동양배의 과실, 잎 및 신초에 과피얼룩병이 발생하여 과실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들 과피얼룩병 방제에 효과적인 방법이 아직까지 알려진 바 없다. 과피얼룩병의 년도별 발생정도와 강우량과의 관계를 보면 강우량이 많았던 해에 과피얼룩증상 발생이 많았다. 과피얼룩병의 발생은 봉지씌우기에 의해 예방되지 되지 않았고, 발병량도 씌우는 봉지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다. 봉지씌우기의 발병과에 있어서 과실적도면의 위쪽보다 하부쪽에 병반수가 많이 나타났다. 화학농약을 적게 살포한 과수원에서 과피얼룩병의 발생이 심하였다. 시판 살균제 중에 thiophan WP와 penconazole WP가 과피얼룩병균의 일종인 Cladosporium sp.의 생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실제 포장에서 penconazole과 flusilazole의 단독 혹은 교호로 살포하였을 때 모두 방제가가 낮았다. 반면에 석회유황합제 살포와 봉지씌우기를 병행하였을 때 과피얼룩병 방제에 효과적이었다. 최근들어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줄이고 있는 배 과원이나 유기농 과원에서 과피얼룩병의 발생이 심해지고 있어 앞으로 이들 병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 방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벼 이삭마름병에 관여하는 진균의 검출 (Detec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Rice Ear Blight from Rice Seeds in Korea)

  • 심홍식;홍성기;홍성준;김용기;예완해;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93-97
    • /
    • 2005
  • 벼 이삭마름병에 관여하는 진균의 종류로 일미벼에서는 Altemaria alternate($10.2\%$), A. padwickii($5.2\%$), Bipolaris oryzae($10.3\%$), Nigrospora oryzae($5.2\%$), Phoma sorghina ($6.3\%$) 등이 우점 하였으며,총 23종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대산벼에서는 A. alternate($9.6\%$), Cladosporium sp. ($7.5\%$), Curvularia lunate($2.2\%$), N. oryzae($15.1\%$) 등이 우점 하였으며, 총 13종의 진균이 검출되었다. 또한 이삭마름병으로 벼알이 심하게 오염된 경우에는 일미벼 현미에서도 B. oryzae($15.5\%$), A. alternate($5.5\%$), Fusarium graminearum($8.0\%$), N. oryzae($5.2\%$), P. sorghina($4.5\%$) 등이 높은 비율로 감염되어 있었다.

공장폐수중(工場廢水中) 유독성분(有毒成分)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처리방법(處理方法)에 관(關) 연구(硏究) - 수은함유량(永銀含有量)과 미생물(徵生物)의 생육(生育)과의 관계(關係)(제1보(第1報)) - (Studies on the Microbiological Treatment of Hazardous Compounds in Waste Waters from Chemical Plants - (I)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Mercury Compound and Microbial Growth -)

  • 이지열;장현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1-25
    • /
    • 1975
  • 울산지역(蔚山地域)의 화학공장(化學工場)들의 폐수(廢水)가 흐르고 있는 곳의 4개지점(個地點)(four stations)의 수중총수은함유량(水中總水銀含有量) 및 미생물(微生物) 분포(分布)를 각각 조사하였다. 이 조사(調査)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수은함유량(總水銀含有量)은 불검출(不檢出)로부터 0.075ppm이고, 평균 0.03ppm인데 A지점(地點)이 가장 많았다. 2) 미생물(微生物)의 분포(分布)로는 Bacteria, Mucor, Aspergillus Cladosporium, Trichothecium(T. roseum) 각(各)1종(種), Penicillium 4종(種), Sterile hyphae 3종등(種等) 12균주(菌株)을 분리(分離)하였다. 3).이들 미생물(微生物)의 생육정도(生育程度)의 수은함유량(水銀含有量)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무기수은(無機水銀)에 있어서는 10ppm까지에서 대부분 생육(生育)하였으며, 그중 Pe. sp. No.1은 50ppm에서도 생육(生育)하였다. 유기수은(有機水銀)에 있어서는 2ppm에서 어느정도 생육(生育)에 저해(阻害)를 받는것 같이 보였다.

  • PDF

Survey on the Occurrence of Apple Diseases in Korea from 1992 to 2000

  • Lee, Dong-Hyuk;Lee, Soon-Won;Choi, Kyung-Hee;Kim, Dong-A;Uhm, Jae-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75-380
    • /
    • 2006
  • In the survey from 1992 to 2000, twenty-eight parasitic diseases were observed in major apple producing areas in Korea. The predominant apple diseases were white rot(Botryosphaeria dothidea), Marssonina blotch(Marssonina mali), Valsa canker(Valsa ceratosperma), Alternaria leaf spot(Alternaria mali), and bitter rot(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Apple scab that reappeared in 1990 after disappearance for 15 years was disappeared again since 1997. A viroid disease(caused by apple scar skin viroid) was newly found in this survey. The five diseases, fire blight(Erwinia amylovora), black rot(Botryosphaeria obtusa), scab(Cladosporium carpophilum), Monochaetia twig blight(Monochaetia sp.), and brown leaf spot(Hendersonia mali), which had once described in 1928 but no further reports on their occurrence, were not found in this survey. However, blossom blight(Monilinia mali), brown rot(Monilinia fructigena), and pink rot(Trichothecium roseum), which did not occur on apple after mid 1970s, were found in this survey.

Isolation of Fungal Pathogens to an Edible Mushroom, Pleurotus eryngii, and Development of Specific ITS Primers

  • Kim, Sang-Woo;Kim, Sinil;Lee, Hyun-Jun;Park, Ju-Wan;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41권4호
    • /
    • pp.252-255
    • /
    • 2013
  • Fungal pathogens have caused severe damage to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Pleurotus eryngii, the king oyster mushroom, by reducing production yield, causing deterioration of commercial value, and shortening shelf-life. Four strains of pathogenic fungi, including Trichoderma koningiopsis DC3, Phomopsis sp. MP4, Mucor circinelloides MP5, and Cladosporium bruhnei MP6, were isolated from the bottle culture of diseased P. eryngii. A species-specific primer set was designed for each fungus from the ITS1-5.8S rDNA-ITS2 sequences. PCR using the ITS primer set yielded a unique DNA band for each fungus without any cross-reaction, proving the validity of our method in detection of mushroom fungal pathogens.

Broad-Spectrum Activit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Three Yeast-like Fungi of the Galactomyces Genus Against Diverse Plant Pathogens

  • Cai, Shu-Ting;Chiu, Ming-Chung;Chou, Jui-Yu
    • Mycobiology
    • /
    • 제49권1호
    • /
    • pp.69-77
    • /
    • 2021
  • The application of antagonistic fungi for plant protection has attracted considerable interest because they may potentially replace the use of chemical pesticides. Antipathogenic activities confirmed in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microorganisms have potential to serve as biocontrol agents against pre- and post-harvest diseas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Galactomyces fungi isolated from rotten leaves and the rhizosphere of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var. cerasiforme). VOCs produced by Galactomyces fungi negatively affected the growth of phytopathogenic fungi and the survival of nematodes. Mycelial growths of all nine examined phytopathogenic fungi were inhibited on agar plate, although the inhibition was more intense in Athelia rolfsii JYC2163 and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JYC2144 and relatively moderate in Fusarium sp. JYC2145. VOCs also efficiently suppressed the spore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A. rolfsii JYC2163 on tomatoes. The soil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exhibited higher mortality in 24 h in the presence of VOCs. These results suggest the broad-spectrum activity of Galactomyces fungi against various plant pathogens and the potential to use VOCs from Galactomyces as biocontrol agents.

능화지(菱花紙) 제작기법 및 그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eunghwaji fabrica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 김순관;홍순천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2호
    • /
    • pp.5-24
    • /
    • 2011
  • 우리나라의 능화지는 많은 전적류에서 표지로 사용되어 왔다. 이는 한국의 전적류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벽, 치자로 염색한 한지를 사용하여 능화판에 시문하는 공정을 통해 능화지 시료를 제작하였으며, 대조군은 황벽과 치자로 염색한 한지와 염색하지 않은 한지를 사용하여 능화지의 물리적 특성(내절도, 인장강도), 항균성, 방습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내절도 측정 결과 능화문 시문을 하지 않은 CB, HB는 열화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감소하였으며, 능화지인 CN, HN은 열화 초기에 강도가 증가하다가 열화 27일 이후부터 초기 값보다 강도가 낮아지며 점차 감소하였다. 인장강도는 모든 시료에서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Arthrinium sp. 균은 능화지에서 능화문을 시문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10%정도의 낮은 생장률을 보였으며, Cladosporium sp. 균은 약 20~30% 정도 낮은 생장률을 보였다. 또한 치자(C)보다는 황벽(H)에서 10~30% 정도 낮은 균 생장률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통해 능화지가 배접된 한지보다 항균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염색 재료의 경우 치자보다 황벽의 항균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접촉각 측정 결과 CN, CB, HN, HB는 평균 $85{\sim}92^{\circ}$의 접촉각을 나타냈으며, NON-N, NON-B는 $59{\sim}63^{\circ}$의 접촉각을 나타냈다. CN은 CB보다 $1{\sim}7^{\circ}$의 높은 접촉각을, HN은 HB보다 $1{\sim}6^{\circ}$의 높은 접촉각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능화지가 배접된 한지보다 높은 접촉각을 나타냄으로써, 능화지의 방습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능화지의 제작 기법을 제시하고, 능화지의 특성을 밝힌 결과, 능화지의 특성이 일반 한지의 특성에 비해 우수하였지만, 각 실험에서 도출된 결과에 대하여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강원도 고랭지 주요 원예작물의 병해 발생 상황 (Surveys on Disease Occurrence in Major Horticultural Crops in Kangwon Alpine Areas)

  • 함영일;권민;김점순;서효원;안재훈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68-675
    • /
    • 1998
  • 강원 고랭지의 대표적 지대인 평창의 대관령, 홍천의 내면 그리고 횡성의 둔내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원예작물에 대해 1994년$\sim$1997년까지 4년에 걸쳐 실시한 병해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배추와 무에서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TuMV)가 '92년부터 고랭지에 다발생하여 '94년과 '96년에 피해가 심하였으며, 이 바이러스병과 함께 무름병의 발생이 심한 편이었으며, 최근에는 무사마귀병의 피해고 '96년부터 점증 추세에 있으며 수년 전까지 피해가 심했던 뿌리 마름병은 최근 발생이 지극히 저조한 점이 특이하다. 거의 모든 채소작물에서 무름병, 잿빛곰팡이병, 노균병, 흰가루병, 잘록병, 검은무늬병 등의 발생이 심한 것이 특징인데 저지대와 달리 고랭지 기후환경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한편 조사기간 중 새로운 미기록종으로는 셀러리의 바이러스(BBWV)와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 메론의 점무늬병(Cercospora citullina), 딸기의 흰가루병(Erysiphe polygori), 양상추의 흰가루병(Erysiphe cichoraceaium) 등이 밝혀졌으며 기주 미기록으로는 파슬리의 무사마귀병(Plasmodiophora brassicae)이 밝혀진 것이 특이하다. 2)여러 가지 화훼작물에는 주로 바이러스병, 잿빛곰팡이병, 시들음병, 흰무늬병 등의 발생이 많았으며 특히 자생 나리류에 흰무늬병(Cercospora spp.) 발생이 심하였다. 미기록종으로는 꽃도라지의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f. sp. eustomae), 바이러스병(BBWV, CMV), 균핵병(Sclerotinia sclerotiorum), 잿빛곰팡이병(B. cinerea), 카네이션의 반점병(Cladosporium echinulatum), 용담의 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잎마름병(Alternavia dianthi) 등과 Phytoplasma에 의한 스타티스의 빗자루병, 리아트리스의 빗자루병, 자생나리류의 흰무늬병(Cercospora sp.), 스토크의 TuMV 등이 동정되었다.

  • PDF

유기농 옥수수종자 생산지의 병해충 발생 소장 (Occurrence of diseases and insects in organic sweet corn seed production area)

  • 김정순;고병대;김창영;곽재균;심창기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학회 2009년도 하반기 학술대회
    • /
    • pp.292-292
    • /
    • 2009
  • 본 연구는 유기종자 안전 생산기술 개발을 위한 효과적인 병해충 제어를 위해 대표적인 찰옥수수 품종인 미백2호와 흑미찰을 대상으로 병?해충 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2008년 유기농 찰옥수수 종자 생산지의 우점 비산포자의 종류 중Alternaria sp., Cladosporium sp., 및 Helminthosoprium sp.,은전 생육기간에 관찰되었다. 또한종자로부터 신초 출현 전후로 종자가 발아하지 않고 부패하거나 유묘의 시들음 증상, 심하면 고사하는 증상과 거세미나방에 의해 지재부가 절단된 전형적인 피해를 관찰할 수 있었고 발병주율은 14~6% 미만이었다. 특히, 포장내 조명나방 발생밀도는 2008년 트랩당 3.5~0.5 마리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9년 트랩당 0.5~6마리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피해주율은 2008년은 7.5(미백2호)~21(미흑찰)%였으며, 2009년은 1~46%로 매년 높은 피해주율을 보였으며 수확기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옥수수잎마름병 (Leaf blight)의 발생 양상은 2008년도에 7%(미흑찰)~34%(미백2호)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9년은 6월18일 이후 초발생하여 발병주율이 8월 21일 (59%, 미흑찰)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9월 25일이는 미흑찰 (69%)의 발병주율이 미백2호 (56%)보다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깜부기병(Common Smut)의 발생 양상은 2008년도에 20주 중 2%~15%의 발병주율을 보였으며, 2009년은 초발생 시기가 7월17일로 2008년에 비해 17일 정도 늦추어졌으며 발병주율도 8% 미만 (9월 25일)으로 2008년에 비해 아주 낮게 나타났다. 옥수수깨씨무늬병 (Southern Leaf Spot)의 발생 양상은 2008년 20주 중 초기에 평균 11%(미흑찰)에서 증가하여 9월 19일 조사시에는 두 품종 모두 62%로 높게 나타났다. 2009년은 6월8일 이후 초발생하였으며 9월 25일까지 지속적 발병하여 약 86%의 발병 주율을 보였고 2008년에 비해 24% 이상 발병주율이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