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y of Information

검색결과 4,483건 처리시간 0.037초

U-City계획 고도화를 위한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 방안 : CCTV 사례를 중심으로 (Application Plan of Goods Information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Enhancing U-City Plans)

  • 박준호;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34
    • /
    • 2015
  • 본 연구는 U-City 공간의 고도화된 설계 및 계획 활동 지원을 위해 필수정보인 지능화시설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계획가나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레퍼런스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레퍼런스 모델의 핵심은 유비쿼터스 서비스 계획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화시설에 대한 정보의 포괄성 (Comprehensiveness)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련정보의 최신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방대한 지능화 시설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 조달청 물품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을 위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용사례로서 CCTV의 적정 배치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진단하였다. 현재로서 U-City계획 패러다임은 IT 기술중심에서 스마트 공간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U-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화시설의 설치 및 배치 등에 관한 기준이나 정보의 부족과 같은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법제도 및 지침의 부재로 인해 지능화시설의 적정 배치 선정과 같은 계획활동은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볼 때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U-City 계획 및 설계자에게 제공 가능한 IT기술 및 지능화 시설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서비스 수준과 예산 등을 고려한 최적 계획 수립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를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달청은 약 26만 건의 산업관련 DB를 기 구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지고 있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U-City 산업의 핵심인 지능화시설과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수집처로서 매우 유익한 정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제공하고 있는 정보가 활용측면에서 내용적으로 다소 부족하고 정보 공개 측면의 제한성으로 인해 활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U-City계획의 고도화 및 조달청 물품정보의 다부처 공동 활용을 위한 기초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유비쿼터스 시대를 대비한 u-City 계획체계 정립방안 (Strategies for the Establishment of u-City Planning System in the Ubiquitous Computing Age)

  • 김정훈;조춘만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1호
    • /
    • pp.129-144
    • /
    • 2008
  • 2008년 2월 $\ulcorner$유비쿼터스도시의건설등에관한법률$\lrcorner$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 법에는 유비쿼터스도시 계획, 건설, 관리에 관한 사항들이 정해져 있다. 범국가 차원의 법 추진체계가 마련됨에 따라 향후 도시들이 u-City로 계획되고 건설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가지게 된다. 앞으로 이 법률에 근거하여 국가차원의 u-City 종합계획 등 계획적 수요가 크게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u-City를 실제 구현하고 현실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계획적 접근방법을 찾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저마다 다른 내용과 범위를 가지고 난립하고 있는 u-City 사업을 보다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관점에서 수립되도록 규정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u-City 구현을 위한 종합적인 계획체계의 틀을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u-City 계획과 관련된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고 기존 u-City관련 사례 및 관련 계획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u-City 계획체계의 개념, 특성, 구성요소를 정립하였다.

  • PDF

u-City 통합운영센터의 제도적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 정의 및 위상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Legal Establishment of u-City Management Center)

  • 조춘만;김정훈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15-23
    • /
    • 2009
  • u-City의 계획, 건설 및 운영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유비쿼터스도시의건설등에관한법률(이하 'u-City법'이라고 함)"이 제정 공포되었다(2008.3.28). u-City 통합운영센터(이하 '운영센터'라고 함)는 u-City의 의미와 상징성에 있어서 그 역할이 매우 크며, 그 제도적 정착이 u-City 실현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하겠다. 운영센터의 설치는 u-City가 일반도시와 구별되는 가장 상징적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일반도시가 u-City화 되기 위한 필수 구현요소에 해당한다. 또한 도시내 다양한 시설, 서비스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정보시스템과 인프라기반 등의 융복합화를 총괄적으로 관할하는 핵심시설로서 그 의미와 중요성이 매우 크다. 이러한 핵심역할과 상징성에도 불구하고 운영센터의 기초 개념정의, 구조 및 운영방안 등 전반적 사항에 대한 재정리와 이를 적극적으로 표준화하여 제도적으로 정착시키는 방안마련이 매우 미진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영센터의 성공적 구현을 위한 법적 기반 조성의 일환으로 이제까지 거론된 운영센터의 제반 현안들을 정의와 위상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성공적 운영센터구현을 향한 제도적 정착방안 마련을 위한 기본방향과 추진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 PDF

한국의 u-City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Quality of u-City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Korea : Focusing on Public Services)

  • 곽진조;황찬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351-1358
    • /
    • 2013
  • 본 논문은 한국의 u-City 공공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기존 정보시스템 품질 평가의 근간인 "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에 "공공성" 요인을 추가하여 u-City서비스 품질 평가 개념에 대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SPSS 12.0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인하였고, AMOS 16.0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연구모형의 적합기준과 집중타당성, 판별타당성의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u-City서비스품질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분석 결과, "시스템품질", "정보품질", "공공성"요인은 고객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正)(+)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품질요인은 유용성과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u-City 공공 서비스는 누구나 공평하게 그리고 지역적 장소에 관계없이 어디서나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자원의 충족성이 중요한 서비스 속성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u-City 구축사업의 지역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Regional Economic Impacts Induced by u-City Construction in Wha-sung and Dong-tan City)

  • 이헌영;최예술;임업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5-37
    • /
    • 2012
  • In recent year, the u-City construction projects which integrate IT technology into urban infrastructures are being pushed forward by many local governments. These projects contain various purposes in an aspect of regional economy : to reinforce a competitiveness of region by increasing efficiency of urban managements and to revitalize regional economy by stimulating the regional high-tech industries that related to u-City construction. In this context, regional 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u-City construction projects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it give us information about effectiveness of u-City construction policy as a stimulus of regional high-tech industries and the policy feasibility of u-City construction projects that can be a base of public projects. However, it is challenging to assess the impact of u-City projects on regional economy properly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about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specific industrial inputs related to u-City construc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u-City industrial classifications, and specific-industrial inputs induced by u-City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associated legislations, business report for a u-City construction, and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Using these classification and industrial input, we also investigate the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a u-City construction project in Wha-sung and Dong-tan cities employing Input-output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s that u-City industries have relatively high in production inducement, and value added inducement compared to input of other industrial sect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gional economic impact of a Wha-sung and Dong-tan u-City construction project are relatively high, but economic impacts of u-City construction projects vary according to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specific expense accounts of u-City construction projects.

강우우수 유출해석을 위한 CityGML 기반 3차원 도시 배수시설 정보모델 구축 방안 (A Methodology for the Establishment of CityGML Based 3D Drainage Facility Information Model for Runoff Analysis)

  • 이상호;장영훈;김종명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77-8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도시시설 정보모델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표준 데이터 스키마인 CityGML을 이용하여 하수관망, 맨홀, 지형을 대상으로 3차원 정보모델을 생성하고, 정보모델을 통해 강우우수 유출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존 GIS 기반의 2차원 구축 정보를 3차원 정보모델로 변환함으로써 도시시설물 정보를 의미정보와 형상정보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고, 강우해석 시 도시 강우해석을 위한 입력 값들을 정보모델을 통해 자동 생성하여 과거 수작업으로 수행하던 업무를 부분적으로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강우 해석 결과와 정보모델을 연동시켜 침수 지역과 위치 및 침수수준을 자동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도시아카이브 구축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rban Archives of Building Direction)

  • 여진원;장우권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315-335
    • /
    • 2013
  • 도시고유의 역사가 기록되고 그 안에서 오늘의 역사 또한 살아 숨 쉬는 것이 보일 때 도시는 그 고유의 상징적 이미지를 갖게 된다. 이 연구는 도시아카이브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의 특성과 아카이브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도시아카이브 현황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도시아카이브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의 도시 중 서울, 부산, 원주를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관련 문헌과 웹페이지 내용분석을 토대로 도시아카이브의 효율적인 구축방향을 제안하였다.

세종시립도서관의 운영 기본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asic Policy for the Operation of Sejong City Library)

  • 곽승진;노영희;오상희;김정택;신영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57-183
    • /
    • 2020
  • 본 연구는 세종시립도서관의 운영 기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현황 조사 및 이용자 요구조사, 전문가 의견 조사, 사서 의견 조사 등을 실시하였으며, 세종시립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정립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세종시립도서관은 세종특별자치시의 대표도서관으로서, 지역주민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보다 편리하고 평등한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발전과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정보서비스와 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세종특별자치시 지역주민에 대한 도서관서비스 제공과는 별개로 세종특별자치시 대표도서관이자 거점도서관으로서의 역할, 지식정보센터, 평생교육센터, 사회문화센터, 레저문화센터, 레저여기센터, 생활편의센터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더 나아가 정책정보지원센터로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세종시립도서관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세종지역 랜드마크로서의 세종시립도서관, 세종지역 예술 및 문화 허브로서의 세종시립도서관, 세종지역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세종시립도서관, 세종학 센터로서의 세종시립도서관을 제안하였다.

u-City 도시지상시설물 관리모델 구축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Urban Ground Facilities Management Model in u-City)

  • 김태훈;홍창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21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u-City 구축사업의 지원 및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도적 기술개발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의 일부 내용으로, 새로운 도시환경인 u-City에서의 도시지상시설물 관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 시설물관리시스템의 발전과정과 국내에서 추진되고 있는 u-City 사업들을 조사함으로써 u-City에서의 도시시설물관리시스템의 방향과 필수요소, 고려사항 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u-City에 적합한 도시시설물 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 프레임워크 개발 (Framework Development for the U-Eco City Construction Guideline)

  • 강영옥;피민희;조아라;이주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85-93
    • /
    • 2010
  • 현재 유비쿼터스 도시개발과 관련한 사업계획 수립이나 설계과정은 사업수행자의 역량에 따라 과정이나 고려사항이 다양하고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지방자치단체는 유비쿼터스 도시 개발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제대로 분석되지 않아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은 유비쿼터스 도시개발의 전 과정과 U-Eco City R&D 사업의 성과물을 체계화하여 지방자치단체 및 사업수행자가 활용할 수 있는 지침서 작성을 목적으로 한다. 본격적인 U-Eco City 구축 가이드라인의 개발에 앞서 본 연구에서는 U-Eco City 구축의 세부단계별 과정 및 핵심고려사항을 체계화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레임워크는 관련단계에서 수행해야할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U-Eco City 사업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U-Eco City 사업의 성과물을 체계적으로 담아내는 기본틀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