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vulgaris 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비듬균(Mala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항균활성 및 활성오일의 성분 분석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Malassezia furfur)

  • 이정현;이재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15-321
    • /
    • 2010
  • 비듬균(Malassezia furfur) 는 두피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요소로써 오늘날 이러한 균들을 치료하는 치료제는 거의 없다. 몇몇의 전의 연구에서 오일들의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이 보고되어졌지만 그것들의 항비듬균 활성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고, 특히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저해 활성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Malassezia furfur에 대한 식물 오일들의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이러한 오일 중에서 가장 활성이 좋은 오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해 성분을 분석하였다. 1차적으로 108개 오일의 스크리닝 과정에서 17개 오일[Allium sativum L., Carum carvi L., Coriandrum sativum L., Myroxylon balsamum var. pereirae Royle, Nepeta cataria L., Origanum vulgare L., Mentha pulegium L., Satureja hortensis L., Thymus vulgaris L. Thymus vulgaris L., Cinnamomum zeylanicum Blume, Pimenta dioica(L.) Merr., Eugenia caryophyllata Thumb.(Clove bud), Eugenia caryophyllata Thumb.(Clove leaf), Cymbopogon nardus L., Cymbopogon martinii Stapf., Citrus aurantifolia Swing. and Pimenta racemosa(Mill.) J.W.Moore] 이 2 mg/mL 의 농도에서 대조구인 이크라코나졸(itraconazole)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17개 오일 중에서 Citrus auranifolia 오일이 가장 활성이 좋았으며, 처리농도 (1.5 mg/mL, 1.0 mg/mL, 0.5 mg/mL와 0.1 mg/mL) 에 따라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Citrus auranifoli 오일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MS) 성분분석 결과 limonene, ${\gamma}$-terpinene and terpinolene의 함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Citrus auranifolia 오일은 곰팡이 유래 질병들을 치료하기 위한 활성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지화 미숙과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효과 (Influence of Essential Oil in 'Shiranuhi' Immature Fruit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 김상숙;현주미;김광식;박경진;박석만;최영훈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93-497
    • /
    • 201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 in 'Shiranuhi' immature fruit and to test their biological activities. 'Shiranuhi' immature essential oils (SIEO) were obtained by steam distillation from fruits collected from Jeju Island and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 (GC)-flame ionization detectors (FID) and GC-MS. Fourteen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the essential oil. Limonene (75.21%) and terpineol (8.68%) were the major components in SIEO. Since acne vulgaris is the combined result of a bacterial infection and the inflammatory response to that infection, we examined whether SIEO possessed antibacterial against skin pathogens. As a result, SIEO showed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drug-susceptible and -resistant Propionibacterium acne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which are acne-causing bacteria. In this study, SIEO was examined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hich showed moderate antioxidant activity ($SC_{50}$, $15.36{\mu}L/mL$). In order to determined whether SIEO can be safely applied to human skin, the cytotoxicity effects of SIEO were determined by colorimetric MTT assays in normal human fibroblasts and keratinocyte HaCaT cells. They exhibited low cytotoxicity at $0.5{\mu}L/mL$ in both cellline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essential oil of 'Shiranuhi' maybe considered as an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gent.

수박과 멜론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분포에 관한 연구 (Distribution of Free Sugars in the Various Portions of Watermelon (Citrullus vuigaris L.) and Muskmelon (Cucumis meio var. reticulatus Naud.))

  • 손주용;반성철;홍성회;신정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00-205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수박 (Citrullus vulgaris L.)과 멜론 (Cucumis melo val. reticulatus Naud.)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을 분리, 정량하기 위해서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수박과 멜론에 있어서 주로 존재하는 유리당들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이며, 이 유리당들의 함량은 부위별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부위별 유리당의 총함량은 stem end 부위에서의 함량보다 stylar end와 side 부위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박과 멜론에서 같은 양상이었다. 수박의 경우 전체 유리당 함량은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멜론의 경우 종자를 포함하는 중심 부위를 제외한 가식 부위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환원당과 비환원당의 비율[(fructose+glucose)/sucrose]은 수박의 경우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약간식 감소하였으나 중심 부위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멜론의 경우 가식 부위중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중심 부위와 중간 부위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수박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환원당과 비환원당 모두가 증가하였지만, 반면에 멜론에서는 환원당의 감소를 보였다.

  • PDF

한라봉과 왜제비꽃 잎에서 차응애의 발육과 생명표 통계량 (The Development and Life Table Parameters of Tetranychus kanzawai (Acarina: Tetranychidae) on Leaves of 'shiranuhi' and Japanese Violet in the Laboratory)

  • 현희정;김수빈;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153-163
    • /
    • 2020
  • 차응애(Tetranychus kanzawai Kishida)의 기주식물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주식물로 제주 감귤의 주요 품종인 한라봉, 감귤원에서 많이 서식하는 잡초인 왜제비꽃과 대조군으로 강낭콩을 선정하였다. 항온조건 20℃, 25℃, 30℃에서 발육실험과 산란실험을 진행하고 생명표 분석을 수행하였다. 차응애는 한라봉 어린잎, 왜제비꽃, 강낭콩에서 발육을 완료했지만 한라봉 구엽에서는 발육을 완료하지 못했다. 한라봉 어린잎을 섭식하는 차응애의 총 발육기간은 각 온도조건에서 17.4, 13.4, 10.2일로 강낭콩에서 조사된 16.1, 9.5, 7.0일보다 길었다. 한라봉 어린잎에서의 차응애 성충의 수명은 각 온도에서 19.1, 15.0, 12.3일로 강낭콩에서 조사된 22.1, 14.1, 10.9일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산란수는 각 온도에서 18.1, 23.9, 17.8개로 왜제비꽃(93.3, 105.8, 115.0개)과 강낭콩(127.4, 121.0, 117.1개)에서 보다 적었다. 조사된 발육데이터를 기반으로 생명표 통계량을 추정한 결과 서로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적자연증가율(rm)은 각 온도에서 강낭콩(0.1542, 0.2563, 0.3251), 왜제비꽃(0.1087, 0.2007, 0.2673), 한라봉(0.0868, 0.1002, 0.1217)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감귤원(한라봉)의 차응애 관리 전략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 약용식물 추출물이 In vitro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 (Extracts of Korean Medicinal Plant Extracts Alter Lipogenesis of Pig Adipose Tissue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In vitro)

  • 최영숙;최강덕;김성도;필립 오웬즈;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83-388
    • /
    • 2010
  • In vivo 실험에 의해서 지방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내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본 연구는 돼지 지방조직을 이용한 in vitro system을 이용해서 한국의 약용식물 중에서 지방축적 억제 작용을 가지는 것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183종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이들이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72종, 물 추출물은 111종, 이 중에서 65종은 물과 에탄올 모두 이용해서 추출하였다.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은 13종류의 약용식물이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 11종은 대조구에 비하여 지방합성을 40% 이상 억제하였고, 4종은 지방합성을 70% 이상 억제하였다. 가장 강력한 지방합성 억제작용을 나타낸 것은 붓꽃과와 고삼(에탄올 추출) 그리고 좁쌀풀(물과 에탄올 추출)이었다. 그러나 소목과 황백은 지방합성을 촉진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결과는 총 28종의 약용식물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 중 16종의 약용식물은 증가시켰고, 12종은 억제시켰다. 목단피와 강활(에탄올 추출) 그리고 당귀, 목향 및 신이(물 추출)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두 배 정도 증가시켰다. 10종의 약용식물 즉 감초, 형개 및 구월나무(에탄올 추출) 그리고 비름과, 천문동, 백출, 유자나무, 향부자, 구엽초 및 목단피(물 추출)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35% 이상 억제시켰다. 구월나무(에탄올 추출)만이 지방합성뿐만 아니라 세포분화도 억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약용식물로부터 가축과 사람의 지방축적 억제효능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고추에서 분리한 Cinnamate 4-Hydroxylase 유전자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innamate 4-Hydroxylase gene in Red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 김계원;하선화;조강진;김은주;이민경;유재주;김종국;이신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167-173
    • /
    • 2005
  • 본 연구는 고추열매의 capsaicinoid 생합성 조절 기작을 연구하고자 general phenylpropanoid pathway의 2번째 단계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3종류의 c4h cDNA clone을 확보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pc4h1와 pc4h2의 크기는 각각 1,775 bp와 1,655 bp으로 50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를 암호하는 full length의 ORF를 갖추고 있었으나 pc4h3는 5'-말단의 coding 영역 일부가 소실 되었다. 이들은 공히 모든 cytochrome P450 효소에서 진화학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3종류의 conserved region 즉 domain 1(proline-rich region), domain 2 (threonine-containing binding pocket for the oxygen molecule), 그리고domain 3(heme binding region)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evolutionary tree분석을 통하여 pc4h1와 pc4h2는 모두 Class I에 속하는 것으로 서로 간에는 95.8%의 유사성을 나타내어 거의 동일한 유전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Class II로 분류된 Citrus sinensis C4H1과 Phaseolus vulgaris C4H와는 단지 64.9에서 64.5%의 homology를 나타내었다. 또한 pc4h2는 상처를 주지 않은 조직에서는 비교적 적은 양의 mRNA 발현수준을 보였으나 상처를 가한 후 6시간의 열매에서는 400%, 뿌리에서는 200%까지 그 발현 양이 증가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pc4h1의 전사량도 상처에 의하여 유도는 되나 basal level이 pc4h2보다 높아서 발현증가 비율은 그다지 높지 않았다. 반면에 pc4h3 유전자는 상처를 주지 않은 모든 조직에서 거의 발현되지 않았으며 상처에 의하여서도 전혀 반응을 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