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Free Sugars in the Various Portions of Watermelon (Citrullus vuigaris L.) and Muskmelon (Cucumis meio var. reticulatus Naud.)

수박과 멜론의 부위별 유리당 함량 분포에 관한 연구

  • Sohn, Joo-Yong (Department of Agronomy,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
  • Ban, Sung-Chul (Department of Agronomy,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
  • Hong, Sung-Hoi (Department of Agronomy,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
  • Shin, Jeong-Sheop (Department of Agronomy,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Korea University)
  • 손주용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
  • 반성철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
  • 홍성회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
  • 신정섭 (고려대학교 자연자원대학 식량자원학과)
  • Published : 1996.09.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and quantify the free sugars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 contained in many different portions of watermelon (Citrus vulgaris L.) and muskmelon (Cucumis melo var. reticulatus Naud.) frui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Free sugars were mainly fructose, glucose, sucrose, and their contents were variable among portions. Total free sugar contents were higher in the stylar end and side than in the stem end of both watermelon and muskmelon. Total free sugar contents increased from the periphery toward the central core in watermelon and except central core content seeds in muskmelon Ratio of nonreducing to reducing sugars [(fructose + glucose)/sucrose]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periphery toward the middle area in watermelon, though the central core showed higher value than the middle area. For the edible portion of muskmelon, the ratio was decreased toward middle area,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central core and the middle area. However, reducing sugars and nonreducing sugar were all increased from the periphery toward the central core in watermelon. In contrast with watermelon, reducing sugars were decreased in muskmelon.

본 실험에서는 수박 (Citrullus vulgaris L.)과 멜론 (Cucumis melo val. reticulatus Naud.)에 있어서 서로 다른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유리당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을 분리, 정량하기 위해서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였다. 수박과 멜론에 있어서 주로 존재하는 유리당들은 fructose, glucose, sucrose 등이며, 이 유리당들의 함량은 부위별로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부위별 유리당의 총함량은 stem end 부위에서의 함량보다 stylar end와 side 부위에서의 함량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박과 멜론에서 같은 양상이었다. 수박의 경우 전체 유리당 함량은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멜론의 경우 종자를 포함하는 중심 부위를 제외한 가식 부위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환원당과 비환원당의 비율[(fructose+glucose)/sucrose]은 수박의 경우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약간식 감소하였으나 중심 부위에서는 오히려 높았다. 멜론의 경우 가식 부위중 과피 부위에서 중간 부위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며 중심 부위와 중간 부위 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수박에서는 과피 부위에서 중심 부위로 갈수록 환원당과 비환원당 모두가 증가하였지만, 반면에 멜론에서는 환원당의 감소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