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trus Specie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초

Indian citrus ringspot virus의 ELISA 진단 시스템 구축 (Construction of ELISA System for the Detection of Indian citrus ringspot virus)

  • 신명주;권영철;노현수;이현숙
    • 식물병연구
    • /
    • 제18권3호
    • /
    • pp.231-235
    • /
    • 2012
  • 본 연구는 citrus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바이러스인 ICRSV가 국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그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이를 진단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ICRSV가 감염된 시료를 구할 수 없어 외피단백질 유전자를 E. coli의 codon usage를 고려하여 optimization한 뒤 E. coli에서 수용성 단백질로 과발현된 재조합 ICRSV 외피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정제한 재조합 단백질을 이용해 제작한 복클론 항체는 $1{\times}10^{-4}$으로 희석하였을 때 western blot과 ELISA를 통해서 각각 10 ng, 5 ng의 재조합 ICRSV 외피단백질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이로써 제작된 항체를 이용하여 소량의 바이러스 입자만으로도 ICRSV를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ndophyte 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Reduces Symptoms Caused by Xylella fastidiosa in Catharanthus roseus

  • Lacava, Paulo Teixeira;Li, Wenbin;Araujo, Welington Luiz;Azevedo, Joao Lucio;Hartung, John Stephe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5호
    • /
    • pp.388-393
    • /
    • 2007
  • Citrus variegated chlorosis (CVC) is a disease of the sweet orange [Citrus sinensis (L.)], which is caused by Xylella fastidiosa subsp. pauca, a phytopathogenic bacterium that has been shown to infect all sweet orange cultivars. Sweet orange trees have been occasionally observed to be infected by Xylella fastidiosa without evidencing severe disease symptoms, whereas other trees in the same grove may exhibit severe disease symptoms. The principal endophytic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such CVC-asymptomatic citrus plants is 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The Madagascar periwinkle [Citrus sinensis (L.)] is a model plant which has been used to study X. fastidiosa in greenhouse environments.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interactions of X. fastidiosa and C. flaccumfaciens, periwinkle plants were inoculated separately with C. flaccumfaciens, X. fastidiosa, and both bacteria together. The number of flowers produced by the plants, the heights of the plants, and the exhibited disease symptoms were evaluated. PCR-primers for C. flaccumfaciens were designed in order to verify the presence of this endophytic bacterium in plant tissue, and to complement an existing assay for X. fastidiosa. These primers were capable of detecting C. flaccumfaciens in the periwinkle in the presence of X. fastidiosa. X. fastidiosa induced stunting and reduced the number of flowers produced by the periwinkle. When C. flaccumfaciens was inoculated together with X. fastidiosa, no stunting was observed. The number of flowers produced by our doubly- inoculated plants was an intermediate between the number produced by the plants inoculated with either of the bacteria separately. Our data indicate that C. flaccumfaciens interacted with X. fastidiosa in C. roseus, and reduce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symptoms induced by X. fastidiosa. Periwinkle is considered to be an excellent experimental system by which the interaction of C. flaccumfaciens and other endophytic bacteria with X. fastidiosa can be studied.

제주산 감귤류 진피와 과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ried and Fresh Citrus Peels in Jeju)

  • 현재석;강성명;마힌다;고원준;양태석;오명철;오창경;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8-94
    • /
    • 2010
  • 본 연구는 진귤, 온주밀감 및 하귤의 진피(건조과피) 및 생과피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진피에 비하여 생과피에서 높았으며, 또한 진귤, 하귤, 온주밀감의 순서로 높았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생과피보다 진피에서 높았다. 생과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온주밀감, 하귤, 진귤의 순서로 높았으나, 진피는 하귤, 온주밀감, 진귤의 순서로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하귤, 온주밀감, 진귤의 순서로 높았으며, 생과피가 진피보다 높았다. 특히 하귤의 생과피는 0.5 및 1.0 mg/mL에서 비타민 C보다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생과피에서 온주밀감, 하귤, 진귤의 순서로 높았다. 진피는 0.5 mg/mL에서 온주밀감, 하귤, 진귤의 순서로 높았으나, 1.0mg/mL 이상에서 하귤, 온주밀감, 진귤의 순서로 높았다. 특히 하귤의 생과피 및 진피는 2.0 mg/mL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lkyl radical 소거활성은 생과피와 진피의 여부는 물론 감귤 품종별에 따른 뚜렷한 규칙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하귤, 온주밀감, 진귤의 순서로 높았다. 그러나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다른 활성산소종 소거활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알락하늘소 유충의 외부기생 알락하늘소살이고치벌(Spathiu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의 발견 (Discovery of Spathiu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 (Hymenoptera: Braconidae) as a Larval Ectoparasitoid of Citrus Longhorned Beetle in Korea)

  • 김무성;이혜린;구덕서;;;;김일권;홍기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85-291
    • /
    • 2016
  • Spathius exarator의 종 그룹에 속하는 S. ibarakius Belokobylskij et Maeto가 한반도에서 알락하늘소(Anoplophora chinensis)의 1령과 2령 유충에 외부기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란유인목을 이용하여 유리알락하늘소와 알락하늘소의 기생봉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 고치벌이 발견되었다. 이 고치벌의 진단형질과 수컷의 특징, 삽화 및 한반도에 분포하는 종들의 기주목록을 함께 제공하였다.

In vitro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 Kim, Yun-Jung;Cho, Moon-Jae;Kim Cho, So-M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086-1091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dangyuja (Citrus grandis Osbeck) leaves were evaluat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was obtain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EF) (202.1$\pm$0.8 mg GAE/g dried extract) and it exhibited the highe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cytoprotective effects of EF on oxidative damage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in a human hepatoma cell line, HepG2 cell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intracellular antioxidant mechanisms. Treatment of HepG2 cells with EF prior to oxidative stress was found to inhibi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lipid peroxidation, and DNA damage in a dose-dependent manner.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studies on EF resulted in tentative identification of 19 compounds representing 94.3% of the total content.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F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us dangyuja leaves have great potential as a source for natural antioxidant which can be applied in food products.

제주 감귤원에서 귤굴나방에 대한 포식 기생자 천적의 자연 기생율 (Natural parasitism of parasitoids on Phyllocnistis citrella (Lepidoptera: Gracillaridae) in Jeju citrus orchards in Korea)

  • 현승용;임언택;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299-303
    • /
    • 2019
  • 본 연구는 감귤의 해충인 귤굴나방(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의 포식 기생자 천적의 종류와 기생률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13~2014 제주 감귤원에서 발견된 귤굴나방 포식 기생자 천적은 좀벌상과에 속한 총 7종을 발견되었다. 그 중 좀벌과에 속한 Sympiesis striatipes가 73%, Quadrastichus sp.가 22%로 우점하였다. 나머지 종은 Neochrysocharis sp., Ageniaspis sp., Pnigalio sp., Holcopelte sp., Trichomalopsis sp. (Pteromalidae) 등이었다. 천적의 평균 기생률은 관행방제 과원에서 10.7%, 무농약 과원에서는 32.2% 이었다.

감귤류 과피와 과육의 품종별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ation of Citrus Species Pulp and Pericarp Extracts)

  • 백지윤;서지원;송원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1-101
    • /
    • 2019
  • 비타민C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감귤류는 과육과 과피에 많은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과육에는 비타민C, 각종 유기산, 비타민B복합체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과피에는 펙틴과 비타민C, 베타카로틴 등이 함유되어 있어 암세포의 발달을 억제하고 생리활성물질로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며 미백효과를 가져다주고 있다. 또한 과피내의 '테레빈유'라는 기름성분으로 세포 노폐물의 배출을 양호하게 하여 다이어트와 복부비만을 억제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귤류는 다른 과수품종보다 비타민P, 비타민B군과 단백질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모세혈관을 보호하며 심혈관질환과 뇌졸중, 뇌출혈 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유자, 당유자, 청귤, 하귤, 병귤, 사두감, 레몬, 자몽, 오렌지 등의 과피와 과육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던 바, 대부분의 감귤류에서 좋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으며 특히 과피에서 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레몬, 자몽, 당유자, 유자, 청귤 등의 과피에서 과육보다 더 양호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감귤류 과육과 더불어서 과피에서도 매우 양호한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감귤 embryogenic callus 원형질체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protoplasts-derived from embryogenic callus of Citrus)

  • 안현주;이동훈;이지현;최영훈;강병철;박효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81-86
    • /
    • 2008
  • 감귤에 있어서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체세포잡종체 생산을 위해서는 우선 캘러스 원형질체로부터의 식물체 재분화가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온주밀감의 캘러스 원형질체로 부터 배형성과정을 통한 식물체 재분화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흥진조생의 어린 미성숙 배주의 주심조직으로부터 유기된 배형성 캘러스를 사용하여 건강한 원형질체를 분리하고 0.6 M $BH_3$ 배지를 배양배지로 사용하여 배양방법에 따른 plating efficiency를 비교해 본 결과 liquid over solid 배양시 원형질체로부터의 미소괴 형성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적정 배형성 배지 선발에서는 1500 mg/L malt extract 첨가 배지에서 배형성율이 높았다. 자엽형 배로부터의 신초유기를 위한 배지비교에서는 1.0 mg/L GAB 첨가배지에서 발근과 함께 정상적으로 재분화된 신초를 얻을 수 있었다. 원형질체 배양으로부터 재분화된 식물체들은 순화과정을 거쳐 온실 육묘중에 있으며, 생장상이나 형태적인 특성에 있어서 모본 식물체와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으로 얻어진 원형질체 배양에 의한 식물체 재분화 체계를 바탕으로 이종속간 감귤의 원형질체 융합 기술을 이용하여 교배육종이 불가능한 품종들로부터 우수한 형질을 지닌 감귤 품종 및 대목용 품종 생산에 활용하고자 한다.

제주도산 감귤속 식물의 성분 분류학적 연구 (Chemotaxonomic Studies on the Citrus Plants cultivated in Je Ju Island)

  • 고명자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5권1호
    • /
    • pp.9-19
    • /
    • 1982
  • A thin-layer chromatographic study was made of the chloroform-soluble and flavonoid fractions from the fruit peels of 16 species, 2 varieties and 5 formas of the Citrus plants cultivated in Je Ju Island for their interspecific relatinships. In addition, 3 hybrids and 9 native plants were also studied for their taxonomic position. Three phenograms were developed from these chromatographic data after cluster analysis via the unweighted paired group method using rithmatic average by Sneath and Sokal. These plants were grouped into 5 alliences based on the phenogram obtained from the chloroform-soluble fracitons, which were nearly identical to the subgenus rank by Tanaka, and rutinoside and neohesperidoside groups by Horowitz. Those from the flavonoid and methanol-soluble fractions were not able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except for a few cases.

  • PDF

노지재배 감귤에서의 볼록총채벌레 발생 양상과 피해 증상 (Seasonal Occurrence of Yellow Tea Thrips, Scirtothrips dorsalis Hood (Thysanoptera: Thripidae) in Citrus Orchards and Its Damage Symptoms on Citrus Fruits)

  • 현재욱;황록연;이관석;송정흡;이평호;권혁모;현동희;김광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7
    • /
    • 2012
  • 최근 들어 노지재배 감귤에서 볼록총채벌레에 의해 검은점무늬병 후기 증상 및 녹응애 피해 증상과 매우 유사하게 과정부 주위를 중심으로 검붉게 그을린 증상 또는 조직이 회갈색으로 괴사되어 딱지형태가 되는 증상들이 2007년부터 서귀포시 남원읍 일부지역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 있다. 황색 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7일 마다 발생 밀도를 조사한 결과 2009년의 경우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꾸준히 증가하다 8월 하순에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2010년과 2011년의 경우 10월 상순에 밀도가 가장 높았다. 2009년의 경우 5월부터 10월 하순까지 최소 7회의 발생 세대를 보였고 통상 7월 경부터 볼록총채벌레가 감귤원에서 우점하여 발생하였다. 과실에서 볼록총채벌레 약충들이 7월부터 발견되어 2009년의 경우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 그리고 10월 상순에 피크를 보였고 피해 증상은 9월 중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2011년의 경우 7월 상순에 밀도가 매우 높았으며 이후 9월 하순에 다시 밀도가 증가하였고 피해 증상은 7월 중하순 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10월 하순까지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피해증상은 과정부를 중심으로 회색빛으로 부스럼같이 코르크화 되거나 초기에 검은색을 띄다가 착색기에 접어들어 과피가 검붉게 변하였다. 감귤에서 볼록총채벌레에 의한 이런 피해 증상을 국내에 처음으로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