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liates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초

스쿠지카섬모충에 중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ith severe scuticociliatosis)

  • 이남실;박정희;한규식;허민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60
    • /
    • 1994
  • 스쿠지카섬모충(Scuticociliatid) 감염에 따르는 어체조직의 조직학적 손상유형과 심부조직으로의 이행 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감염된 빈사상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 18 마리를 대상으로 전 장기 및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및 하부의 골격근조직은 다수의 스쿠지카충의 침입에 기인하여 심한 변성 또는 괴사소견과 함께 대식구의 침윤이 현저하였다. 비교적 초기병변에서는 치밀결합조직인 진피나 골격근섬유의 변성보다 이들을 지지하는 소성결합조직성분이 더욱 심한 변성소견을 보였다. 이들 병변부내 또는 병변부와 격리된 소성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공간내에 수개의 충체가 확인되었다. 신경다발과 신경절내 또는 주위 소성결합조직내에 다수의 충체침입이 확인되었으나 실질의 조직학적 이상은 비교적 경미하였다. 뇌 및 척수의 경막하강에 다수의 충체밀집과 함께 신경실질을 포함한 인접조직은 경도 내지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으며 충체의 침입부위는 피질역에 주로 한정되어 있었다. 각종 아가미관련조직에서 섬모충의 기생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성결합조직은 다수의 충체침입으로 심한 변성소견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새궁 및 일차새변의 혈관내에서 충체가 인정되었다. 본 병리학적 검사결과에서 넙치치어에서의 스쿠지카섬모충은 어체내 침입 후 실질조직보다 소성 결합조직을 우선적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관으로 쉽게 이행하여 단시간내에 심부조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양식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에서 분리된 스쿠티카 섬모충 Philasterides dicentrarchi의 병원성 (The pathogenicity of scuticocilate Philasterides dicentrarchi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허문수;이영돈;이제희;진창남;강현실;이창훈;강선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7-97
    • /
    • 2006
  • 2004년 12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양식넙치에서 분리된 스쿠티카 섬모충 P. dicentrarchi를 넙치 치어 3 ㎝ 그룹과 5 ㎝ 그룹에 인위 감염시킨 후 감염에 따른 폐사율 등의 병원성을 조사하였다. 소형수조에 스쿠티카충 P. dicentrarchi를 접종시킨 결과 수조저면에서 활발히 증식하였으며 접종 후 6일째부터 1.4 × 103 cell ㎖-1~2.5 × 103 cell ㎖-1범위로 ㎖당 2,000 cell 내외의 밀도로 증식하였다. 반면에 중층인 경우는 ㎖당 300 cell 이하의 낮은 밀도를 유지하였다.수조저면에 P. dicentrarchi충을 증식시킨 후 넙치치어를 방양한 결과 3 ㎝ 그룹과 5 ㎝ 그룹 모두 배양시킨 충에 감염되었으며, 충 감염에 의한 폐사는 3 ㎝ 그룹인 경우 치명적이었다. 접종 후 5일째부터 폐사가 시작되었으며, 28일 만에 95.6%의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대조구에서는 실험기간 동안 4.4% 폐사율을 보였으나 스쿠티카충은 검출되지 않았다. 5 ㎝ 그룹은 접종 후 18일째에 처음으로 폐사되기 시작하여 3 ㎝ 그룹에 비해 폐사 진행이 현저히 늦었다. 이 그룹은 스쿠티카충의 인위 접종 후 28일 동안 71%가 폐사하여 3 ㎝ 그룹에 비해 폐사율이 낮았다. 5 ㎝ 그룹의 대조구에서는 실험기간 동안 폐사가 없었으며 스쿠티카충의 감염도 없었다.모든 실험구의 폐사어에서 인위 감염시킨 충을 재분리하여 SSU rRNA에 대한 유전학적 분석결과, 처음 접종시킨 P. dicentrachi와 각 실험구별 재분리된 섬모충의 SSU rRNA 유전자가 일치하여 동일 섬모충에 의한 감염임이 확인되었다.

팔당호 유입부 경안천의 섬모충 플랑크톤 계절적 분포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Ciliate in Kyungan Stream of Lake Paldang, Korea)

  • 문은영;김영옥;공동수;한명수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11-18
    • /
    • 2008
  • 국내산 담수 섬모충 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12월 6일까지 팔당호에서 표층수를 채집하였다. 출현한 분류군 중 소모류(Oligotrichs)가 53%로 출현 양이 가장 많았다. 상대적으로 높은 개체수를 보인 봄인 3월 30일($1.9\times10^4$ cells $L^{-1}$)과 4월 6일($1.85\times10^4$ cells $L^{-1}$),여름인 6월 8일($1.7\times10^4$ cells $L^{-1}$)과 7월 20일($1.9\times10^4$ cells $L^{-1}$)에 급증하였다. 우점적으로 출현한 종들은 뚜렷한 계절성을 나타내어 겨울과 봄인 저수온기에는 세포크기가 비교적 큰$(>50{\mu}m)$ Stylonychia sp1, Phascolodon vorticella, Codonella cratera가 출현하였으며 여름과 가을인 고수온기에는 세포크기가 작은$(<30{\mu}m)$ Vorticella spp., Rimostrombidium hyalinum, Halteria grandinella가 출현하였다. 세포크기가 큰 종들은 Chl-${\alpha}$와 상관성을(r=0.33, p<0.05, n=39) 나타낸 반면, 소형종인 Halteria grandinella는 bacteria와 상관성을(r=0.35, p<0.05, n=39) 나타내었다.

해양 섬모충플랑크톤 정량과 정성분석의 현실적 접근 (Practical Approach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of Marine Ciliate Plankton)

  • 김영옥;김선영;최정민;김재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6권3호
    • /
    • pp.248-262
    • /
    • 2021
  • 섬모충플랑크톤은 크게 두 분류군, 세포가 피갑(lorica)에 에워 쌓여 있는 유종섬모류(tintinnids)와 피갑(lorica)이 없는 소모류(oligotrichs)로 대별하고 있다. 국내에서 해양 섬모충플랑크톤의 분류학적 연구는 비교적 종 동정이 용이한 유종섬모류를 대상으로 먼저 시작되었고, 분류기준인 피갑의 가변성 때문에 분류학적 문제점은 있으나, 현재까지도 주로 피갑의 형태적 특징에 따라 종을 구별하여 생태·생리학적 연구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반면, 소모류의 경우, 세포염색을 통한 섬모열의 정밀한 특징으로 종을 구별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소모류의 분류학적 연구는 2000년 이후에 비로소 국내에 소개되었다. 최근 분석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섬모충의 분류체계와 종 정보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고 이를 반영하여 국내 해양에서 출현하는 주요 섬모충플랑크톤 종류가 새롭게 정리되어 도감으로 출간되었다. 섬모충플랑크톤은 동물플랑크톤의 질 높은 먹이원이 되는 동시에 초미소(pico)와 미소(nano)플랑크톤의 포식자로서 해양 미세먹이망에서 중요한 중간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생태계에서 섬모충플랑크톤의 역할은 새로운 주제가 아닌, 현재는 해양생태학의 보편적 지식으로 공유되고 있다. 따라서 해양 섬모충플랑크톤의 현장 모니터링 방법과 실험실 분석의 과학적 타당성을 기반으로, 획득된 자료로써 그 신뢰성을 확보함은 국내 섬모충플랑크톤 연구 발전에 크게 일조하리라 기대된다. 섬모충플랑크톤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유종섬모류 동일종의 피갑변이, 세포염색에 의한 소모류의 정량·정성분석, 유전자 분석결과의 자료비교, 생태학적 정보비교, 섬모충플랑크톤 현장채집 방법을 제안하며, 현실적 수용가능 범위를 설정하여 섬모충플랑크톤 모니터링의 정도관리를 위한 연구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자 한다.

Effects of Oxytetracycline Treatments on the Infection Potential of Scuticociliates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Kwon Se Ryun;Chung Joon Ki;Lee Hyung Ho;Kim Ki H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1-4
    • /
    • 2002
  • The modulatory effects of oxytetracycline treatments at high concentrations on the infection potential of scuticociliates in cultured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density of the ciliates in culturing water were investigated. The groups bathed with 400 and 500 ppm of oxytetracycline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ensities of scuticociliates on the fish and considerably lower number of the ciliates in culturing water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intensity of scuticociliates on the fish in the group bathed with 300 ppm of oxytetracycli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spite of considerably lower number of scuticociliates in culturing water than in that of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 intensities of scuticociliates on the fish intubated orally with 400 and 500 mg/kg of oxytetracycline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In contrast, the fish fed 300 mg/kg of oxytetracycline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ensity of scuticociliates when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xytetracycline treatments can modulate occurrence of scuticociliatosis in fish farms probably through change of bacterial density, damaging to scuticociliatosis and immuno-suppression of fish.

Two Oxytrichid Ciliates, Cyrtohymena primicirrata and Oxytricha granulifera (Ciliophora: Sporadotrichida: Oxytrichidae) Unknown from Korea

  • Kwon, Choon Bong;Shin, Mann Ky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1호
    • /
    • pp.23-30
    • /
    • 2013
  • This study reports the discovery of two oxytrichid ciliates, Cyrtohymena primicirrata (Berger and Foissner, 1987) and Oxytricha granulifera Foissner and Adam, 1983, in Jeju Island, Korea. The morphology of the two species was studied using live observation and protargol impregnation. These species are described as follows: Cyrtohymena primicirrata has a body size in live specimens $90-140{\times}40-60{\mu}m$, length : width ratio 2.3 : 1 on average; elongated and slender obovate in outline of body. Cortical granules are shiny yellow on the ventral and dorsal side. Adoral zone of membranelles (AZM) is covering about 48% of the cell with about 38 adoral membranelles. Arrangement of undulating membranes is ordinary Cyrtohymena pattern. Dorsal kineties is six rows with $5{\mu}m$ long bristles. Oxytricha granulifera has a body size in live specimens $90-115{\times}25-38{\mu}m$, length : width ratio 3.31 on average; elongated ellipsoidal in outline of body. Cortical granules are colorless on the ventral and dorsal side. AZM is covering 28% of the cell length in vivo with about 24 adoral membranelles. Arrangement of undulating membranes is Oxytricha pattern. Dorsal kineties is five rows with about $3{\mu}m$ long dorsal bristles.

Feeding behavior of the copepod Temora turbinata: clearance rate and prey preference on the diatom and microbial food web components in coastal area

  • Chang, Kwang-Hyeon;Doi, Hideyuki;Nishibe, Yuichiro;Nam, Gui-Sook;Nakano, Shin-Ich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7권4호
    • /
    • pp.225-229
    • /
    • 2014
  • Feeding behavior of Temora turbinata was investigated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with special emphasis on its food preference and consequent clearance rate on diatom and microbial components given as common natural food assemblage of coastal area (Uchiumi, Uwa Sea, Japan). Among available prey items, T. turbinata showed the highest clearance rate for Thalassiosira spp. ($0.23{\pm}0.08L\;Temora^{-1}day^{-1}$) followed by Chaetoceros spp. ($0.11{\pm}0.03L\;Temora^{-1}day^{-1}$), but clearance rates for other diatom, Nitzschia spp. was lower (0.03 to $0.07L\;Temora^{-1}day^{-1}$). Bacterial abundances showed no response against 24-h feeding of T. turbinata. Feeding of T. turbinata on heterotrophic nanoflagellates (HNF) was apparent when clearance rates of T. turbinata on diatoms were relatively low, but T. turbinata did not consume HNF as well as ciliates with Thalassiosira spp. of which clearance rate was highest. The results suggest that HNF and ciliates are possible supplementary prey item for T. turbinata, but their contribution as food sources can be limited by the presence of other prey items such as preferable diatom species.

Novel Discovery of Two Heterotrichid Ciliates, Climacostomum virens and Fabrea salina (Ciliophora: Heterotrichea: Heterotrichida) in Korea

  • Kim, Ji Hye;Shin, Mann Kyoo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1권3호
    • /
    • pp.182-190
    • /
    • 2015
  • Two heterotrichid ciliates, Climacostomum virens (Ehrenberg, 1838) Stein, 1859 from brackish water and freshwater, and Fabrea salina Henneguy, 1890 from a solar saltern, were collected in Korea. They are novelly investigated in Korea by means of live observation, protargol staining and nuclear small subunit (SSU) rRNA gene sequencing. Climacostomum virens is characterized by pouch-like body shape, body length of $200-370{\mu}m$ in vivo, conspicuous cytopharyngeal tube, macronuclei ribbon-like shape, and one to four in number, with or without symbiont algae in cytoplasm, 34-66 somatic kineties, 67-113 adoral zone of membranelles, 8-42 peristomial kineties, 24-37 apical membranelles. SSU rDNA sequence size is 1,591 bp and GC contents 48.52%. Fabrea salina is also characterized by scoop-like body shape with proboscis, body length of $190-240{\mu}m$ in vivo, one to two rod-shaped macronuclei, oval micronuclei, grayish green cortical granules, 104-186 somatic kineties, 4-8 preoral kineties, 7-19 peristomial kineties and fragmented paroral membrane. SSU rDNA sequence size is 1,598 bp and GC contents 47.50%.

Redescription of Two Urostylid Ciliates (Ciliophora: Urostylida), Anteholosticha pulchra and Metaurostylopsis struederkypkeae from Korea

  • Park, Kyung-Min;Jung, Jae-Ho;Min, Gi-Si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8권1호
    • /
    • pp.20-28
    • /
    • 2012
  • Two urostylid ciliates, Anteholosticha pulchra (Kahl, 1932) Berger, 2003 and Metaurostylopsis struederkypkeae Shao et al., 2008, new to Korea, were collected from the Yellow Sea and the East Sea, Korea, respectively. They were identified based on live observation and protargol impregnation. Taxonomical characters of A. pulchra are as follows: $190-300{\times}30-55\;{\mu}m$ size in vivo; contractile vacuol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posterior 1/4 of the cell; spherical-reddish granules at cirral bases and around dorsal bristles, somewhat spars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cell surface; four frontal and two frontoterminal cirri; four dorsal kineties; caudal cirri absent. Metaurostylopsis struederkypkeae is characterized as follows: $80-110{\times}40-50\;{\mu}m$ size in vivo; caudal cirri absent; two types of cortical granules: type 1, yellow-green arranged along the ventral cirral rows and dorsal kineties; type 2, small and reddish, with an irregular arrangement; four frontal, four to eight frontoterminal, and two to six transverse cirri; five to seven left and three to five right marginal rows. Sequences of small subunit ribosomal DNA were determined from both species, and pairwise distances with their relatives were analy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