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ith severe scuticociliatosis

스쿠지카섬모충에 중감염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 Lee, Nam-Sil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College of Fisheries Science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Park, Jeong-Hee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College of Fisheries Science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Han, Kyu-Sik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College of Fisheries Science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 Huh, Min-Do (Department of Fish Pathology, College of Fisheries Science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남실 (부산수산대학교 어병학과) ;
  • 박정희 (부산수산대학교 어병학과) ;
  • 한규식 (부산수산대학교 어병학과) ;
  • 허민도 (부산수산대학교 어병학과)
  • Published : 1994.12.30

Abstract

In order to elucidate the patterns of tissue damage evoked by the scuticociliatids, eighteen fingerlings of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heavily infected with an unidentified scuticociliatid were histopathologically examined. Skin layer with the underlying musculature were severely necrotized due to the infestation of the ciliates. However in the early lesions, both dermis and myofibres remained relatively intact compared with other surrounding loose connective tissues. Mild damages were found in more dense tissues. One or more scuticociliatids were recognized in the blood and lymph vessels of the loose connective tissues with or without destructive changes. Many of nerve trunks or ganglia were also parasitized with less marked histological damage in the parenchyma. Dura and its adjacent tissues in the spinal cord were severely necrotized with massive accumulation of the ciliates in subdural space. The parasitic invasion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was usually confined to the cortical region. In the gill, variable degenerative changes were occurred due to the invasion of the ciliates recognized in the blood vessels of branchial arches or primary filaments. From these results,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scuticociliatids are very actively penetrated into the deep tissues mainly through the severe destruction of the loose connective tissue components and that the vascular system could play a role in the rapid distribution of the ciliates to the remote tissues or organs.

스쿠지카섬모충(Scuticociliatid) 감염에 따르는 어체조직의 조직학적 손상유형과 심부조직으로의 이행 경로를 규명하기 위하여 중감염된 빈사상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 18 마리를 대상으로 전 장기 및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피부 및 하부의 골격근조직은 다수의 스쿠지카충의 침입에 기인하여 심한 변성 또는 괴사소견과 함께 대식구의 침윤이 현저하였다. 비교적 초기병변에서는 치밀결합조직인 진피나 골격근섬유의 변성보다 이들을 지지하는 소성결합조직성분이 더욱 심한 변성소견을 보였다. 이들 병변부내 또는 병변부와 격리된 소성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공간내에 수개의 충체가 확인되었다. 신경다발과 신경절내 또는 주위 소성결합조직내에 다수의 충체침입이 확인되었으나 실질의 조직학적 이상은 비교적 경미하였다. 뇌 및 척수의 경막하강에 다수의 충체밀집과 함께 신경실질을 포함한 인접조직은 경도 내지 심한 괴사소견을 보였으며 충체의 침입부위는 피질역에 주로 한정되어 있었다. 각종 아가미관련조직에서 섬모충의 기생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소성결합조직은 다수의 충체침입으로 심한 변성소견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새궁 및 일차새변의 혈관내에서 충체가 인정되었다. 본 병리학적 검사결과에서 넙치치어에서의 스쿠지카섬모충은 어체내 침입 후 실질조직보다 소성 결합조직을 우선적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결합조직내의 혈관 또는 임파관으로 쉽게 이행하여 단시간내에 심부조직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