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indicum L., Cytokine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3초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ts

  • Lee, E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55-59
    • /
    • 2009
  • This study for developing a new anti-inflammatory medicine was sought by investigating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 indicum L. extract. Rats were treated with either saline (control) or C. indicum L. extract and then injected with LPS. We found that the plasma concentration of IL-1${\beta}$ IL-6, TNF-${\alpha}$and IL-10 peaked at 5h after LPS injection, and the plasma concentration of IL-6 and TNF-${\alpha}$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nd IL-10 concentratio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ing levels of C. indicum L. extract. In the liver concentration of cytokines at 5 h post LPS injection, IL-1${\alpha}$ and IL-6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 indicum L. extract, however TNF-${\alpha}$ and IL-10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the treatment groups.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이 MC3T3-E1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 윤지혜;황은선;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84-13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골다공증 관련 식물성 에스트로젠으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30~100 ${\mu}g/mL$ 농도 범위에서 조골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1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최대 122% 세포성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포증식 유도는 estrogen antagonist인 tamoxifen 처리 시 상쇄되어 estrogen 유사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MC3T3-E1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대표적 분화지표인 ALP 효소활성, collagen 함량, mineralization 수준을 측정한 결과, 10, 30 ${\mu}g/mL$ 농도에서 ALP 활성의 유의적 증가와 200 ${\mu}g/mL$ 농도에서 collagen 함량과 mineralization의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ALP 활성, collagen 함량 모두 tamoxifen 처리에 의해 증가 효과가 상쇄되어 estrogen 유사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이 H2O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MC3T3-E1 조골세포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on the Func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under Oxidative Stres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Jee)

  • 윤지혜;황은선;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2-88
    • /
    • 2012
  •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MC3T3-E1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 ROS 생성 및 염증 매개성 cytokine인 TNF-${\alpha}$ 생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30-100 ${\mu}g/mL$ 농도 범위에서 조골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또한, 감국 에탄올 추출물 200 ${\mu}g/mL$ 농도에서 ALP 활성이 약 1.5배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collagen 합성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Mineralization 측정에서는 2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 증가를 보였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intracellular ROS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해본 결과, 30 ${\mu}g/mL$ 농도에서 antioxidant인 trolox 20 ${\mu}M$과 유사한 ROS 생성수준을 나타내어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H_2O_2$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조골세포의 collagen 및 ALP의 합성을 억제하고 파골세포로의 분화 증강과 골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TNF-${\alpha}$ 생성정도를 측정한 결과, 감국 에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2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89% 수준을 나타내어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세포 내 ROS 생성과 염증매개 cytokine인 TNF-${\alpha}$ 생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조골세포 손상과 활성 감소를 억제하고,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감국 에탄올 추출물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식물성 에스트로젠(phytoestrogen) 및 항산화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의 청열약물의 미백 및 항알러지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Whitening and Anti-allergic effect of various Herbal medicines that clear heat)

  • 이명규;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1-81
    • /
    • 2007
  • Objective : In this study, herbal medicine(GJE, Gardenia jasminoides Ellis; HCT, Houttuynia cordata Thunb.; CIL, Chrysanthemum indicum Linne; PMS,Paeonia moutan Sims, P. subfruticosa Makino; APL, Agrimonia pilosa Ledebour) were screened for their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Tyrosinase and PMA plus A23187-induced $TNF-{\alpha}$, IL-6, IL-8 productions in HMC-1 cells to reveal their skin -whitening and anti-allergic effect. Method : To investigate Tyrosinase inhibition we treated Mushroom Tyrosinase(Fluka, 93898) $10{\mu}{\ell}$ and 7.5mM Tyrosine (Sigma, T3754) $20{\mu}{\ell}$ with 80% ethanol medicine extracts. Then we observed 96well micro plate extinction at 490nm. In the next experiment, to investigate Anti-allergic effect we blended cultured Human Mast Cells(HMC-1) with medicine extracts. We treated the blended solution with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 and A23187, then observed $TNF-{\alpha}$, IL-6, IL-8 by ELISA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at 450nm. Results : In inhibiting Tyrosina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e observed 22% inhibition of Mushroom Tyrosinase at $500{\mu}g/m{\ell}$ concentration of GJE extracts. 2. We also could observe that the decreas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ies in HCT, CIL extracts. In inhibiing $TNF-{\alpha}$, IL-6, IL-8 productions in HMC-1 cel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Of the extracts examined, HCT, PMS, APL extracts showed over 50% inhibitions of Cytokines at $200{\mu}g/m{\ell}$ concentration. 2. In particular, APL extracts showed the best inhibitory effect on Cytokine product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GJE extracts contributes to the anti melanin activities and represent a potential source of whitening agent. Thus these herbal medicines suggest novel drugs on anti-allergic effe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