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matogram

검색결과 318건 처리시간 0.028초

토양중(토양중) Phorate의 분해(분해)와 대사(대사) (Degradation and Metabolism of Phorate in Soil)

  • 이해근;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97-103
    • /
    • 1983
  • 토양중(土壤中) phorate의 행동(行動)에 관(關)한 보다 많은 정보(情報)를 얻기 위(爲)하여, phorate입제(粒劑)(10%)를 40kg a.i./ha의 비율(比率)로 토양혼화처리(土壤混和處理)한 후 15일(15日) 간격(間隔)으로 90일(90日)까지 토양중(土壤中) phorate의 행동(行動)을 GLC와 TLC로 조사(調査)하였다. 토양중(土壤中) phorate는 phorate sulfoxide와 phorate sulfone으로 신속(迅速)히 산화(酸化)되었으며, 토양중(土壤中) phorate의 주요대사경로(主要代射經路)는 측류(測류)의 sulfide가 phorate sulfoxide와 phorate sulfone으로 산화(酸化)되는 과정(過程)임이 확인(確認)되었다. phorate sulfoxide와 phorate sulfone의 잔류성(殘留性)은 비교적(比較的) 길었던 반면(反面), phoratoxon은 시험초기(試驗初期)에만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phoratoxon sulfoxide와 phoratoxon sulfone은 시험전기간(試驗全期間)동안 어느 시료(試料)에서도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토양(土壤)에서 검출(檢出)된 농약(農藥)은 주(主)로 phorate와 그의 sulfoxide 및 sulfone으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이들을 합(合)친 전체잔류량(全體殘留量)의 반감기(半減期)는 60일(60日) 정도(程度)이었다. 한편 토양중(土壤中) phorate와 그 대사산물(代謝産物)들의 하부(下部)로의 이동(移動)은 별(別)로 없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농약(農藥)이 처리(處理)후 $(0{\sim}10cm)$에 잔류(殘留)하였다. GLC의 분석결과(分析結果)를 확인(確認)하기 위(爲)하여 TLC를 이용(利用)하였는데, toluene-acetonitrile-nitromethane(40 : 30 : 30, v/v/v)은 silica gel TLC plate상(上)에서 phorate와 그 대사산물(代謝産物)들을 만족(滿足)스럽게 분리(分離)하였으며, 토양시료(土壤試料)로부터 얻은 TLC chromatogram은 GLC의 결과(結果)와 잘 일치(一致)하였다.

  • PDF

인삼(人蔘)의 Ether추출물(抽出物)의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I)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nents in the Ethereal Extract of Panax ginseng(I) -Studies on the Free Fatty Acids-)

  • 국채호;안승호
    • 생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21
    • /
    • 1975
  • 인삼(人蔘)의 ether 추출물(抽出物)로부터 유리(遊離) 지방산(脂肪酸)을 분리(分離)하고 이것을 diazomethane으로 처리하여 methyl ester를 만든 다음 초산수은 및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利用)하여 포화(飽和) 지방산(脂肪酸)과 불포화(不飽和) 지방산(脂肪酸)으로 분리(分離)하였다. 분리(分離)된 지방산(脂肪酸)을 G. L. C.에 의하여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한국산(韓國産) 인삼(人蔘) 6년생근중(年生根中)에는 유리(遊離) 지방산(脂肪酸)이 0.28% 함유(含有)되어 있다. 2) 인삼중(人蔘中)에서 24 종류(種類)의 유리(遊離) 지방산(脂肪酸)이 발견(發見)되었으며 그 중(中) 22 종류(種類)는 G. L. C.에 의(依)하여 확인(確認)되었으나, 나머지 2 종류(種類)는 G. L. C. data 만 가지고는 확인(確認)할 수 없었다. 미확인(未確認)의 두 지방산(脂肪酸)은 그 양(量)이 다량(多量)이었으며 천연(天然)에 흔히 존재(存在)하지 않는 unusual fatty acids 라고 사료(思料)된다. 3) $L_{EE}$ 등(等)은 인삼중(人蔘中)에 n18:3이 존재(存在)한다고 보고(報告)한 바 있으나 본실험(本實驗)에서는 n18:3의 존재(存在)를 확인(確認)할 수 없었으며 그 대신(代身) peak XVI이 n18:2와 n18:3의 사이에서 나타남을 보여준다. peak XVI은 미확인(未確認) 지방산(脂肪酸)이다.

  • PDF

보일드 굴 통조림의 저장에 따르는 변색원인에 관한 연구 제1보.굴의 갈변 원인 색소의 분리 및 그 분광학적 성질 (Studies on the Mechanism of Pigmentation during Storage of Canned Boiled Oysters I. Isolation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Pigments Isolated from Brown Oysters)

  • 이태녕;장유경;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09-213
    • /
    • 1974
  • 저장중에 변색(變色)된 굴통조림의 황변패육부위(黃變貝肉部位, 생식소(生殖巢)) 및 청록색 내장(주로 소화육낭(消化育囊))을 각각 함수(含水)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은 색소 물질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하였다. 함수 아세톤으로 추출한 색소 추출액으로 부터 11종 의 황색 (1종), 적색 (1종), 등색 또는 적등색(赤燈色)(5종) 및 녹청(綠靑)(4종) 색소를 분리하고 각각의 가시 부 흡수 스펙트럼을 얻었다. 전자 흡수 스펙트럼 및 몇가지 발색반응(發色反應)에 의하여 함수 아세톤에 의해 추출되는 황갈색(黃褐色) 색소액의 성분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청록색색소에 있어서는 물론 대부분의 황등색 색소들도 클로로필 (chlorophyll)의 분해로 유래되었다고 생각되는 포르피린(porphyrin) 유도체이며 일부의 황등색 색소는 carbonyl 원자단을 갖인 캐로틴오이드(carotenoid)로 추정되었다. 특히 피오피틴(pheophytin) a 내지 그 유연체(類緣體)라고 생각되는 밴드 8의 색소와 캐로틴오이드 라 추정되는 밴드 7의 색소가 함량이 높은 주요 색소들이다. 황변패육(黃變貝肉)의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람이 내장의 추출액의 그것과 정성적으로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패육(貝肉)의 황변물질(黃變物質)은 내장 색소에서 유래되며 이 황갈 변색을 일으키는 phorphyrin 유도체 및 carotenoid 들은 함수 아세톤에 잘 용해되는 성질의 것임을 알수 있었다.

  • PDF

국내산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 송효남;길복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6-551
    • /
    • 2002
  • 국내에서 채집되는 propolis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아까시나무와 밤나무를 밀원 식물로 하여 채집된 propolis와 그의 70% ethanol 추출물(EEP)에 대한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밀원식물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EEP의 경우 propolis 분말에서보다 대부분의 성분들이 상당량 감소되었다. 주요 무기질 5종은 일반성분과는 달리 채집지역과 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체로 아까시나무의 propolis가 무기물 함량이 많았다. 아까시나무의 propolis에는 칼슘함량이 가장 많았고, 밤나무 propolis는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반면에 EEP에서는 두 시료 모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고, aparagine, cysteine, glutamine 및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밤나무 propolis에서는 methionine도 검출되지 않았다.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methionine의 함유량은 극히 적었으며, 아까시나무 propolis가 아미노산 함유량이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추출수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EEP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13.9{\sim}23.7%$였고, propolis의 phenolic fraction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인 flavonoids 함량은 $8.6{\sim}10.8%$로 나타나 다른 식품재료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고성능 박막크로마토그래피로 페놀성 화합물을 정성분석한 결과 시료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pattern의 chromatogram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화합물의 HPLC 분석에서는 약 16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이중 p-hydroxy benzo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cinnamic acid 및 chrysin의 6종을 동정하였다. 시료간의 chromatographic pattern은 동일하여 propolis를 구성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종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Metal oxide 센서를 바탕으로한 전자코와 SAW 센서를 바탕으로한 GC를 이용한 저장 중 김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Dried Laver (Porphyra yezoensis Ueda)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etal Oxide Sensor or GC with SAW Sensor During Storage)

  • 조연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47-953
    • /
    • 2002
  • 시중에서 판매되는 김을 구입하여 습도가 32%, 43%, 75%, 온도는 $5^{\circ}C,\;15^{\circ}C,\;30^{\circ}C$에서 각각 김을 보관 한 후 저장 기간에 따른 김의 품질변화를 metal oxide 센서로 구성된 전자코와 SAW 센서를 바탕으로한 GC(z-No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CA 분석결과, $5^{\circ}C$, 32%에서 보관한 김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지나도 김의 품질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것은 온도와 습도가 모두 낮아 김의 품질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RH 43%, RH 75%에서 보관한 김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제 1 주성분 값이 양의 값$(+0.2{\sim}0.4})$에서 음의 값$(-0.4{\sim}\;-0.2)$으로 변화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RH 43% 보다 75%의 경우가 더 뚜렷한 감소를 보였으며 높은 상대습도 조건에서는 $15^{\circ}C$$30^{\circ}C$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z-Nose로 얻은 데이터를 패턴 분석한 결과 저장 기간이 지나면서 저장 온도와 습도에 따라 변질된 향시성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미생물 수를 측정할 때와 마찬가지의 결과$(r^2=0.87)$를 보였으며 색도와는 크게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면 전자코를 이용하여 조건을 달리하여 보관한 김의 품질관리를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경북지역(慶北地域)에서 재배중(栽培中)인 작약(芍藥)의 Paeoniflorin 함량분석(含量分析) (Analysis of the Content of Paeoniflorin in Peony Roots Cultivated on Kyeongbuk Area)

  • 김태강;주길재;정재동;이인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4권
    • /
    • pp.15-28
    • /
    • 1996
  • 주(主) 재배품종인 의성종과 영천종의 유효성분을 HPLC 및 TLC로 분석한 결과 주(主)성분인 paeoniflorin 함량은 의성종이 영천종보다 높으며 albiflorin과 oxypaeoniflorin의 함량을 두 재배종에서 비교하면 의성종은 albiflorin 함량이 많고 영천종은 oxypaeoniflorin의 함량이 많았다. 생산지에 따른 paeoniflorin의 함량차이는 2.15% 에서 4.08% 의 범위였고 의성과 거창의 것은 비슷하였으며 영천의 것이 가장 낮았다. 18종의 재배종들은 품종에 따라 다양한 paeoniflorin 함량 차이를 보이며 작약성분분석의 HPLC 크로마토그랍을 albiflorin, oxypaeoniflorin 및 paeoniflorin 피크를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크게 3가지 패턴으로 분류할수 있었다. 이 세가지 유형은 의성종 패턴 9종, 영천종 패턴 4종 풍기표준종패턴 5종 이었다. 수확시기에 따른 작약의 paeoniflorin의 함량변화를 조사한 결과 3월과 9월에 수확한 것이 낮았으며 5월과 11월에 수확한 작약의 paeoniflorin 함량이 높았다.

  • PDF

초음파에 의한 carrageenan 저분자화의 최적 조건 (Optimal Processing Parameters of Low Molecular Weight Carrageenan by Ultrasound)

  • 김상무;박성민;최현미;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95-500
    • /
    • 1999
  • [ $\lambda$ ]-carrageenan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용해성을 높인 저분자 $\lambda$-carrageenan을 제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식품산업에 이용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lambda$-carrageenan을 저분자화하는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lambda$-carrageenan의 초음파 처리시 각 처리조건들과 저분자화 효과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반응표면식을 구한 결과, carrageenan 농도와 초음파 강도가 저분자화에 미치는 주 영향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분자화를 위한 초음파 처리의 최적 조건은 초음파 처리온도 $10^{\circ}C$, 초음파 강도 121.64 $W/cm^2$, 시료 carrageenan 농도 $2\%$, 초음파 처리시간 40분이었다. $\lambda$-carrageenan 및 저분자화된 $\lambda$-carrageenan의 분자량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 $\lambda$-carrageenan의 분자량은 약 250,000이었으며 초음파처리에 따른 저분자화 된 $\lambda$-carrageenan의 분자량은 각각 p-1의 경우 약 200,000정도였으며, p-2의 경우 약 60,000정도이었다.

  • PDF

팽화 홍삼으로부터 20(S)-Ginsenoside Rg3와 Rg5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of 20(S)-Ginsenoside Rg3 and Rg5 from the Puffed Red Ginseng)

  • 안영은;조진경;백남인;최성원;허남윤;박석준;김병용;백무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159-165
    • /
    • 2010
  • 팽화홍삼으로부터 용매추출, 용매분획 및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두 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두 화합물의 결정특성, 녹는점, 비선광도, Infrared spectrum 분석 결과, TLC에서의 Rf값, HPLC에서의 retention time 및 NMR 데이터를 측정하여 고찰한 결과 두 개의 화합물은 20(S)-ginsenoside Rg3와 ginsenoside Rg5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H$- 및 $^{13}C$-NMR 데이터를 HSQC 및 HMBC와 같은 2D-NMR 실험을 통하여 더욱 정확하게 동정하였다.

가미수미원의 열수 추출물과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oxidant Activity Effects of Gami-Sumiwon Extract using Water and 80% Ethanol)

  • 임현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302-1313
    • /
    • 2021
  • 본 연구는 가미수미원(백하수오 10 g,; 당귀 6 g; 구기자 8 g; 화피 6 g; 선태 3 g; 홍화 2 g)에 방기(Sinomenium acutum R.) 4 g의 첨가 여부에 따라 각각 열수추출물은 GS±SC(DW), 80% 에탄올 추출물은 GS±SC(EtOH)로 표기 하였다. 각 추출물은 항산화를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HPLC를 통한 방기 지표물질 함량측정, 중금속 검사 기준 측정, ABTS/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SOD 유사 활성능 측정, ROS 및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방기 지표물질 중 sinomenine의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decursin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게 확인되었다. 중금속 측정 결과 기준치 적합으로 확인되었다. ABTS/DPPD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GS+SC(EtOH)의 소거능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상대적으로 열수보다 에탄올 추출이 라디칼 소거율이 높게 확인되었다. 그러나 SOD의 경우 열수 추출에서 상대적으로 유사 활성능이 높게 확인되었다. ROS 생성의 경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NO의 생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더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GS+SC(EtOH)이 라디컬 소거능 및 NO 감소를 높게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어 산화적스트레스 후, 생성된 활성산소의 제거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 후 지속적인 효능 심화 연구를 통해 조성물을 활용한 화장품 및 기능성 원료의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속새(Equisetum hyemale)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의 HPLC 분획과 LC-MS를 이용한 지표성분 분석 (HPLC Fractionation of Antioxidant Substances of E. hyemale Extract and Analysis of Indicator Components Using LC-MS)

  • 송진화;이거룡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8-113
    • /
    • 2021
  • 배경: 속새 줄기와 뿌리의 추출물에서 항산화 물질의 작용에 관한 결과를 이미 보고하였으나 항산화 성분은 분석되지 않았다. 목적: 속새 줄기와 뿌리 부분의 성분을 추출한 물질들이 항산화 물질의 분자 구조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방법: 성분분석은 열수와 에틸알코올로 추출하여 HPLC와 LC-MS로 분석하였다. 결과: 속새 줄기와 뿌리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파장 205 nm에서 4개의 중요한 peak가 나타났다. 280 nm에 있는 peak 1번은 전형적인 단순 페놀릭형이고, 모두 280 nm와 370 nm 근처에 있는 peak 2~4는 전형적인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의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HPLC 분석에 의한 추출물의 항산화도는 740 nm에서 peak의 합은 100% 에탄올 추출물이 3,669 mAU로 제일 높았고, 70% 에탄올 추출물은 3,096 mAU, 열수추출물은 2,868 mAU로 제일 낮았다. 항산화성 추출 물질을 LC-MS 분석한 결과는 peak 3에서는 분자량이 772 da인 kaempferol-3-sophoroside-7-glucoside, peak 4에서는 분자량이 788과 772인 물질 kaempferol-3- sophoroside- 8-glucoside가 확인되었다. 결론: 속새의 항산화 추출물에 항산화 성분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어 속새가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서 가능성이 높아 졌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