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p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7초

Methanol extract of Elsholtzia fruticosa promotes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Deumaya Shrestha;Eunbin Kim;Krishna K. Shrestha;Sung-Suk Suh;Sung-Hak Kim;Jong Bae Se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6권1호
    • /
    • pp.204-218
    • /
    • 2024
  • Elsholtzia fruticosa (EF) is present in tropical regions throughout South Asian countries as well as the Himalayas. Although i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to treat digestive, respiratory, and inflammatory issues, its effect on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is unknow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m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EF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Cell differentiation was assessed by microscopic observation and oil-red O stain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including PPARγ and C/EBPα,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to provide insight into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mechanis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F promotes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with elevated lipid accumulation occurring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ithout apparent cytotoxicity. EF enhances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including PPARγ, FABP4, adiponectin, and FAS,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The effect of EF was more pronounced during the early and middle stages of 3T3-L1 cell differentiation. Treatment with EF decreased C/EBP homologous protein (CHOP) mRNA and protein levels, while increasing C/EBPα and PPARγ expression. Treatment with EF resulted in the upregulation of cyclin E and CDK2 gene expression within 24 h, followed by a decrease at 48 h, demonstrating the early-stage impact of EF. A concomitant increase in cyclin-D1 levels was observed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indicating that EF modulates lipogenic and adipogenic genes through intricate mechanisms involving CHOP and cell cycle pathways. In summary, EF induces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and lipogenic genes, possibly through CHOP and cell cycle-dependent mechanisms.

3T3-L1 세포에서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 및 억제조절자의 발현에 대한 platycodin D의 효과 (Effects of Platycodin D on Gene Expressions of Pro-adipogenic and Anti-adipogenic Regulators in 3T3-L1 Cells)

  • 이해용;강련화;조수현;김성수;김영식;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02-1807
    • /
    • 2009
  • Platycodi radix의 주요 성분으로 항염증, 항고지혈 및 항종양 등 다양한 약리적 기능을 가지는 platycodin D는 최근 비만 및 지방세포형성(adipogenesis)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adipogenesis의 상위단계에 위치한 다양한 pro-adipogenic regulators와 anti-adipogenic regulators의 발현이 platycodin D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지 분석하였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mRNA 발현의 정량적 분석에서 adipogenesis의 marker라 불리는 ADIPOQ와 GLUT4의 mRNA 발현은 platycodin D의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terminal marker의 발현을 조절하는 PPAR$\gamma$와 C/EPB$\alpha$의 mRNA 발현 역시 platycodin D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Platycodin D의 지방세포 억제 효과에 대한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PPAR$\gamma$와 C/EPB$\alpha$의 상위 조절자들의 mRNA 발현 변화를 분석하였다. Pro-adipogenic regulators에 대한 platycodin D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C/EBP$\beta$와 C/EPB$\delta$의 mRNA 발현은 platycodin D에 의해 변화가 없었던 반면, KROX20과 KLF15의 mRNA 발현은 각각 초기 분화(2일)와 후기 분화(4일)에서 platycodin D에 의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대표적인 anti-adipogenic regulators인 CHOP의 mRNA 발현은 초기분화에서 platycodin D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또 다른 anti-adipogenic regulators인 C/EBP$\gamma$의 mRNA 발현은 platycodin D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따라서 adipogenesis 과정에서 platycodin D는 pro-adipogenic regulators인 KROX20, KLF15와 anti-adipogenic regulator인 CHOP의 mRNA 발현에 영향을 주어 PPAR$\gamma$와 C/EPB$\alpha$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platycodin D에 의한 adipogenesis 억제 효과는 KROX20, KLF15 등의pro-adipogenic regulator와 CHOP 등의 anti-adipogenic regulator의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결과라 사료된다.

Prognostic Values of Various Clinical Factors and Genetic Subtypes for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Patient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27 Cases

  • Zhou, De;Xie, Wan-Zhuo;Hu, Ke-Yue;Huang, Wei-Jia;Wei, Guo-Qing;He, Jing-Song;Shi, Ji-Min;Luo, Yi;Li, Li;Zhu, Jing-Jing;Zhang, Jie;Lin, Mao-Fang;Ye, Xiu-Jin;Cai, Zhen;Huang, H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929-934
    • /
    • 2013
  • Aim: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different clinical factors for prognostic prediction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patients. Methods: Two hundred and twenty-seven DLBCL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ere managed with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and prednisone (CHOP) regimen or rituximab plus the CHOP (RCHOP) regimen. Results: Lactate dehydrogenase (LDH), ${\beta}2$-microglobulin (${\beta}2$-M), B symptoms, Ann Arbor stage and genetic subtypes were statistically relevant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the overall survival (OS). In the CHOP group, the OS in patients with germinal center B-cell-like (GCB)(76.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GCB group (51.9%, P=0.032). With RCHOP managemen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OS between the GCB (88.4%) and non-GCB groups (81.9%, P=0.288). Conclusion: Elevated LDH and ${\beta}2$-M levels, positive B symptoms, Ann Arbor stage III/IV, and primary nodal lymphoma indicate an unfavorable prognosis of DLBCL patients. Patients with GCB-like DLBCL have a better prognosis than those with non-GCB when treated with the CHOP regimen. The RCHOP treatment with the addition of rituximab can improve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DLBCL.

Gomisin A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보호효과 (Gomisin A Ameliorates Endoplasmic Reticulum Stress-induced Hepatic Steatosis)

  • 윤예랑;정명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33-240
    • /
    • 2017
  • 본 연구는 소포체스트레스(endoplasmic reticulum stress)에 의해 유발되는 지방간(hepatic steatosis)에 대한 오미자추출물(Schisandra chinensis)의 주요성분인 gomisin A의 지방간 보호 효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HepG2 세포에 소포체스트레스 유도물질인 tunicamycin 또는 palmitate을 처리하여 세포에서의 지방간 모델을 만들어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소포체스트레스 표지자(marker)인 GRP78, CHOP, XBP-1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Tunicamycin 처리한 세포에서는 GRP78, CHOP, XBP-1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gomisin A를 처리 한 세포에서는 이들의 발현 증가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palmitate를 처리한 HepG2 세포에서도 palmitate에 의해 증가하는 소포체스트레스 표지자들이 gomisin A을 처리한 세포에서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gomisin A는 소포체스트레스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gomisin A가 in vivo에서 소포체스트레스 및 지방간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tunicamycin과 고지방(high fat diet)으로 식이 한 쥐에서 소포체스트레스와 지방간의 보호효능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Tunicamycin과 고지방식이을 한 쥐의 간에서 중성지방이 증가하였으나, gomisin A를 처리한 쥐의 간에서 중성지방의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소포체스트레스 표지자들 역시 tunicamycin이나 고지방식이을 한 쥐에서 증가되나 gomisin A를 처리한 쥐에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Gomisin A의 염증 반응에서의 조절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TNF-{\alpha}$, IL-6 그리고 MCP1과 같은 염증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tunicamycin이나 고지방식이을 한 쥐에서 염증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gomisin A를 처리한 쥐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gomsin A는 소포체스트레스를 억제하여 지방간의 생성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Preference Choice Survey of Pork Chop by French and Korean Consumers

  • Tania M. Ngapo;Cho, Soo-Hyun;Park, Beom-Young;Kim, Jin-Hyeong;Lee, Jong-Moon;Lee, Sung-K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7-65
    • /
    • 2004
  • Digital photographs of 16 pork chops were each modified to give 16 treatments, such as two levels each of fat cover, color, marbling and drip, giving a total of 256 images. Consumers from three locations in France and six locations in Korea selected their preferred chop from 16 treatments in different chops and repeated this selection process eight times from different groups of chops, respectively. Respon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on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Both the results of the French and Korean surveys gave four clusters of consumers, but they were not the same in terms of the choice strategies used, or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socio-demographic items. The interesting apparent similarities (such as, both color levels being equally important to consumers in both countries) and differences(such as, the strong preference for lean meat in France; no fat preference in Korea) suggest a need to compare the results from the two countri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of the socio-demographic make-up of the consumer panels from the two countries, a simple and direct comparison of the clusters based on choice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questionnaire items is not possible, but is currently being explored.

루프소기형태의 2행정기관에서 분사압력 및 분사각도에 따른 분무특성 연구 (Effects of Injection Pressure and Injection Angle on Spray Characteristics in Loop Scavenged Type 2-stroke Engines)

  • 채수;유홍선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165-176
    • /
    • 1996
  • The flow field and spray characteristics for loop scavenged type 2stroke engine having pancake shape was numerically computed using KIVA-Ⅱ code. The cylinder has 1intake port, 2side intake ports and 1exhaust port with induced flow angle 25 deg. In engine calculation, the chop techniques is used to strip or add planes of cells across the mesh adjacent to the TDC and the BDC(ports parts) for preventing the demand of exceed time during the computation, providing a control on cell height in the squish region. The modified turbulent model including the consideration of the compressibility effect due to the compression and expansion of piston was also used. The case of 25 deg.(injection angle) which is opposite to scavenging flow direction shows better the distribution of droplets and the evaporation rate of droplets compared to other cases(0 deg., - 25 deg.). When injection pressure was increased, the spray tip penetration became longer. When injection pressure was increas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pward gas velocity and spray droplets strongly cause. Thus the breakup of droplets is strongly occurred and the evaporation rate of droplets was found to be better.

  • PDF

생약복합물에 의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의 유전자 발현 연구 (A Study on the Gene Expression of Adipogenic Regulators by an Herbal Composition)

  • 이해용;강련화;배성민;채수안;이정주;오동진;박석원;조수현;심예지;윤유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729-73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약복합제제인 SH21B의 adipogenesis 억제 효능에 대한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하여 밝히는 데 있다. 실험에 사용된 SH21B는 7가지 생약성 천연물질인, 황금, 행인, 마황, 석창포, 포황, 원지 및 하엽으로 이루어졌다. 최근, 본 연구진에 의해 3T3-L1을 이용한 in vitro 연구와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연구에서 SH21B의 adipogenesis 억제효능이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가 분화될 때 작용하는 다양한 지방세포형성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시간중합효소반응(real time PCR) 기술을 이용하여 SH21B를 처리한 지방세포와 그렇지 않은 지방세포를 비교한 결과, 최종마커인 ADIPOQ와 SLC2A4의 유전자 발현이 SH21B에 의해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최종마커의 발현을 유도하는 핵심전사인자인 $PPAR{\gamma}$와 C/$EBP{\alpha}$의 유전자 발현 역시 SH21B의 처리 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좀 더 상세한 분자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핵심전사인자의 상위에 위치한 다양한 조절자들의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 중, Krox20과 KLF15의 유전자 발현이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C/$EBP{\beta}$와 KLF5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의 유전자 발현은 SH21B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SH21B의 지방세포형성 억제효능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작용하는 다양한 상위조절자 중 지방세포형성 유도조절자인 Krox20과 KLF15 그리고 지방세포형성 억제조절자인 KLF2와 CHOP 등의 유전자 발현이 변화되면서 일어나는 복합적인 반응의 결과임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