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lesterol oxidas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9초

효소 바이오센서를 이용한 식품의 곰팡이 오염 지표물질인 Ergosterol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Ergosterol as a Biomarker of Mold-contaminated Foods Using the Enzyme Biosensor)

  • 김미경;김종원;김미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2-25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곰팡이 초기오염 검출에 사용할 수 있는 ergosterol 분석용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자 $MWNT-NH_2$ 유리탄소전극을 제작하고, cholesterol oxidase의 고정화를 통해 효소반응기를 제작하여, 바이오센서의 전기 화학적 ergosterol 검출장치를 구성하였다. FT-IR을 통해 MWNT에 기능기가 잘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cholesterol oxidase 효소 고정화 시 coupling efficiency는 99% 이었다. 제작한 $MWNT-NH_2$ 유리탄소전극의 $H_2O_2$ 용액에 대한 농도별 전류를 분석한 결과 $1{\times}10^{-5}{\sim}8{\times}10^{-5}$ M 농도에서 우수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고 검출한계는 $10^{-7}$ M이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ergosterol 센서를 이용하여 ergosterol에 대한 반응을 측정한 결과 $1.0{\times}10^{-6}{\sim}1.0{\times}10^{-5}$ M의 농도에서 좋은 선형관계를 나타내어 고감도로 ergosterol을 정량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식품의 곰팡이 오염을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뇌 조직의 아세틸콜린 및 그 관련효소에 미치는 솔잎(Pine Needle) 에틸아세테이트획분의 영향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Acctylcholine(ACh) and Its Related Enzymes in Brain of Rats)

  • 최진호;김대익;박시향;백승진;김남주;조원기;김군자;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2호
    • /
    • pp.95-99
    • /
    • 2004
  • 솔잎 EtOAc획분을 하루 25, 50, 100mg/kg BW로써 SD계 랫트에 45일동안 투여하여 뇌조직획분의 콜레스테롤 및 lipofuscin(LF)의 침착, acetylcholine(ACh) 및 ACh의 합성효소 choline acetyltransferase(ChAT),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효소 acetylcholinesterase(AChE)의 활성, 카테콜아민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 monoamine oxidase-B(MAO-B)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뇌조직의 mitochondria 및 microsome획분중의 콜레스테롤이 EtOAc-50 및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유의적인 11.8-12.1% 및 9.6-13.0%의 침착 억제효과가 인정되었지만, LF는 모든 EtOAc획분의 투여그룹에서 유의적인 침착 억제효과를 인정할 수 없었다. 뇌조직중의 신경전달물질 ACh의 함량 및 ACh의 합성효소 ChAT의 활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다같이 약 10%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또한 뇌조직 중의 신경전달에 관계하는 AChE의 활성도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현상이 나타났지만, EtOAc-50 및 EtOAc-100투여 그룹에서만 8.2-11.9%의 유의적인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Catecholamine계 신경전달물질의 파괴효소인 MAOB의 활성은 EtOAc획분의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지만, EtOAc-100투여그룹에서만 약 10%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솔잎의 EtOAc획분의 투여는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억제하며 기억$.$학습관련 신경전달물질 및 관련효소의 활성에 매우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hitosan-ascorbate 처리 감압건조 과메기의 품질특성과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tosan-ascorbate Treated Kwamaegi Prepared by Vacuum Drying, and Lowering Effect of Serum Lipids in Rats Fed High Fat Diets)

  • 신경옥;오승희;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69-675
    • /
    • 2007
  • Chitosan-ascorbate (CA)를 표면처리한 후 $40{\sim}60^{\circ}C$에서 감압건조한 과메기(VD-과메기)의 품질특성과 고지방식이 흰쥐의 혈청지질과 항산화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D-과메기의 제조기간은 $4.5{\sim}8.3시간, 자연건조과메기(ND-과메기)의 제조기간 $360{\sim}480$시간이었다. 총 균수는 VD-과메기에서는 $0.2{\sim}0.5$ log CFU/g, ND-과메기에서는 8.2 log CFU/g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28.3{\sim}135.0$mg%로 ND-과메기와 VD-과메기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VD-과메기는 ND-과메기에 비하여 산가와 과산화물가가 현저하게 낮으며 비린내가 적고 조직감, 색상 및 종합적기 호도가 높았으며 종합적으로는 $40^{\circ}C$에서 제조한 VD-40-과메기가 가장 우수하였다. 고지방식이 흰쥐에 감압건조한 VD-40-과메기를 10% 혼합하여 4주간 급여한 군 (HVK)은 ND-과메기에 비하여 증체량이 낮고, 혈청 HDL-cholesterol 함량은 높은 반면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함량이 낮았으며, glutathione 함량은 뚜렷한 차이가 없으나 lipid peroxide 함량은 현저하게 낮았다. 또한 고지방식이로 증가된 간의 xanthine oxidase total 및 O type 활성도 및 O/T(%)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 과메기 제조시 CA를 처리한 후 $40^{\circ}C$서 감압건조하는 방법은 제조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과메기의 위생성과 영양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효소고정화 방법에 따른 콜레스테롤 검출용 바이오센서의 전류 감응도 분석 (Analysis of Amperometric Response to Cholesterol according to Enzyme-Immobilization Methods)

  • 지정윤;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1-738
    • /
    • 2011
  • 콜레스테롤의 신속하고 정확한 새로운 분석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기적 전도성이 우수한 MWCNT를 이용하여 전극을 제작하였고, 여러 가지 효소고정화 방법을 통해 전기화학적 감응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MWCNT의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아민기를 도입한 MWCNT-$NH_2$를 제조하였고, MWCNT-$NH_2$/GCE에 PB를 점착하여 작업전극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작업전극은 0.5~500 ${\mu}M$ $H_2O_2$ 농도 범위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고, 검출한계는 0.1 ${\mu}M$로 나타나 전극이 높은 감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검출을 위해 적합한 효소 반응기를 제작하기 위해 담체인 aminopropyl glass beads, CNBr-activated sepharose, Na-alginate, toyopearl beads에 cholesterol oxidase를 고정화시켜 바이오센서의 콜레스테롤 표준용액에 대한 감응도를 측정한 결과, aminopropyl glass beads과 CNBr-activated sepharose는 1~100 ${\mu}M$ 범위에서 선형관계를 보였으며, Na-alginate는 5~50 ${\mu}M$의 범위에서, toyopearl beads는 1~50 ${\mu}M$ 범위에서 선형관계를 나타내었다. 검출한계는 제작된 효소반응기 모두 1 ${\mu}M$로 나타나 콜레스테롤에 대한 높은 검출력을 보여주었으나, 특히 CNBr-activated sepharose와 Na-alginate를 이용한 효소반응기가 높은 coupling efficiency와 감응도를 보여 콜레스테롤 검출을 위한 본 바이오 센서 시스템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씨 물추출물이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항산화 효소활성 및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Red Pepper Seeds Powde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 김유나;구경형;강신권;최정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4호
    • /
    • pp.284-291
    • /
    • 201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red pepper seeds powder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and oxidative damage in groups of rrats fed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s group (HFC). The R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experimental groups which are : composed of a normal diet group, a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group, and a high fat high cholesterol diet group supplemented with different amounts contents (1%, 2% and 4%) of red pepper seeds powder water extracts supplemented groups (HFCW1, HFCW2 and HFCW4, respectively). Body weight gains and food intake were lower ofin the red pepper seed water extracts groups were lower than those inof the HFC group. Hepartic xanthine oxidase (XOD)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HFCW2 and HFCW4 groups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rtic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iyactivity was increased in the HFCW4 group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tic superoxide radicals within the mitochondria and microsomes of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FCW2 and HFCW4 groups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rtic hydrogen peroxide in the cytosol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FCW3 and HFCW4 groups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tic carbonyl values in the microsomes and mitochondria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FCW4 group compared to the HFC group. Hepartic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 (TBARS)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HFCW2 group compared to the HFC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extracts of red pepper seeds powder may reduce oxidative damage by activation of antioxidative defense systems in rats fed high fat-high cholesterol diets.

연교 (Forsythia Viridissima Lindl.) 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 간조직의 항산화계와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sythia Viridissima Extracts on Antioxidativ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 이정민;최상원;조성희;이순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10호
    • /
    • pp.990-996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sythia viridissima Lindl. (FVL)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and lipid peroxidation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 Sprague-Dawley male rats weighing 100 $\pm$ 10 g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ive experimental groups fed 0.5% cholesterol ; HC group which was not supplemented FVL extract, 0.05% methanol extract diet group (MSI group), 0.1% methanol extract diet group (MS2 group), 0.025% ethylacetate-souble fraction diet group (ES1 group) and 0.05% ethylacetate-souble fraction diet group (ES2 group). Experimental diets were fed ad libitum to the rats for 3 weeks. The hepatic xanthine oxidase (XOD) activity in the MS2 group was decreased to 20% as compared to HC group. The activities of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high cholesterol diet groups. The hepatic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y in MS2, ES2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HC group. The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ctivity in the MS2 group was increased to 20% as compared to HC group. The levels of hepatic TBARS in the MS1, MS2, ES1 and ES2 groups were reduced by 13%, 21%, 13% and 21%, respectively, as compared with HC group. The contents of lipofuscin in liver tissu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FVL extract may reduce oxidative damage by activating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of liver in rats fed high-cholesterol diets.

레시틴섭취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방대사와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cithin Intak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Fed High Fat Diet)

  • 양수영;홍소영;성미경;강명희;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4호
    • /
    • pp.312-319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cithin on lipid metabolism and antixidative capacity in 9-week-old rats. Forty-five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49.8 g were block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body weight and raised for 8 weeks with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 (LM) or 5% lecithin (LH) and control (C) diet. Plasma and liver total lipid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plasma HDL-cholesterol concenterations, and fecal total lipid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bile acid excretions were measured. Malondialdehyde (MDA) levels in plasma, liver,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ies in red blood cell and liver, xanthine oxidase (XO) activities in plasma and liver,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in plasma were also measured. Effect of lecithin intake on antioxidative capac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the groups. Plasma total lipids,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lower in lecithin groups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se three lipid levels of lecithin groups were lowered dose-dependently as dietary lecithin level increased. But liver total lipids,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not different among all the groups. Also fecal total lipids,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excretions were highest in high lecithin groups compared to two other groups. Thus it is plausible that lecithin intake decreases plasma lipid levels through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s, and may be beneficial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yperlipidemia, but has no effect on antioxidative capacity.

고정화 효소컬럼을 이용한 콜스테롤 측정용 Flow Injection Analysis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Flow Injection Analysis System for Amperometric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Using Immobilized Enzyme Columns)

  • 신민철;김학성
    • KSBB Journal
    • /
    • 제8권4호
    • /
    • pp.328-335
    • /
    • 1993
  • 고정화 효소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을 신속, 정확 하게 측정할 수 있는 Flow injection analysis(FIA) 시스댐을 개발하였다. 콜레스테롤 산화효소와 콜레 스테롤 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를 cantrall어 pore g glass과 glutaraldehyde를 사용해 얻어진 고정화 효 소를, 유리관에 충진해 얻어진 컬럼은 약 3-5 I. U. 의 활성을 나타내였다. 백금을 이용해 구성된 전극 은 +600mV에서 효소반응 결과 생성된 과산화수소 에 대해 특이적으로 응답하였다. 구성되어진 FIA시 스템의 분석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료량, 캐리어 용액의 유속과 조성 풍의 변화에 따른 응당올 조사 하였다. 최적화된 운영조건하에서 유리 콜레스테롤 과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표준용액에 대한 응답은 각 각 60, 400mg/ml까지 선형성(r=0.994 빛 0.998) 을 나타내였다. 모든 시료의 분석은 정확, 정밀( <2. 5 5%)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간당 23회의 분석이 가능하였고, 500회의 간혈분석 후에 응답감도가 약 반으로 감소하였다.

  • PDF

Antidiabetic activity of Cultivated Cordyceps pruinosa

  • Kim, Tae-Woong;Sung, Jae-Mo;Yang, Ki-Sook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209.3-209.3
    • /
    • 2003
  • Cordyceps species has been used as antiinflammatory, antitoxic, diuretic in folk remedies. Recent research has been reported the effect of anticancer, antidiabetic, antimutagenic, antilipid peroxidation. We examined the antidiabetic activity of cultivated Cordyceps pruinosa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The blood glucose level was recovered by treatment with Cordyceps pruinosa ethanol extract. The contents of GPT, total cholesterol and xanthine oxidase,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activities of the cytoso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diabetic group. (omitted)

  • PDF

양파로부터 분리한 생리활성분획이 생리활성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iologically Active Fractions from Onion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Lipid Metabolism)

  • 우희섭;안봉전;배종호;김성;최희진;한호석;최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9-123
    • /
    • 2003
  • 양파를 80% ethanol로 추출하여 Sephadek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fraction I, II 및 III의 생리활성물질을 분리하여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xanthine oxidase, tyrosinase의 저해작용 효과와 지질대사를 검토하였다 Fraction I과 II의 ACE 저해작용은 50 ppm 농도에서 80% 이상의 효소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fraction III에서는 500 ppm 농도에서 90% 효소저해작용을 보였다. 100 ppm 농도에서 fraction III의 xantine oxidase 효소저해 효과는 82.5%로 나타났으며 tyrosinase의 저해효과는 42.6%이었다. 효소저해작용이 가장 강한 fraction III를 2개월 동안 고지방식이에 첨가하여 혈장 및 간장에서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혈장에서는 총지질, 중성지질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량도 약 50% 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