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na money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1초

온라인 P2P 대출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런런다이 사례를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the Lending Intention of Online Peer-to-Peer Lending: Lessons from Renrendai.com)

  • 양금;이영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2호
    • /
    • pp.79-110
    • /
    • 2016
  • 목적 온라인 P2P 대출은 온라인 재무 중계업자를 통해 친분이 없는 개인 간의 대출을 가능하게 해주는 새로운 방법이다. 대체로 온라인 P2P 거래에서는 돈을 대출받고자 사람과 대부하고자 사람이 이전에 개인적인 관계가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광범위한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P2P 플랫폼을 통한 대출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구축하였고, 중국 온라인 P2P 대출업체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런런다이 사례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계/방법론/접근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모든 항목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중국 설문조사 전문 웹사이트인 sojump.com을 통해 런런다이 서비스 가입자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0.0과 AMOS 18.0을 사용하였다. 가설검증에 앞서 측정도구의 신뢰성, 타당성, 복합신뢰도 그리고 평균분산추출을 계산하였고,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 여부도 함께 진단하였다. 연구모형에서 매개변수로 사용된 플랫폼 신뢰와 대출자 신뢰에 대한 가설검증을 실시한 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시사점 연구결과 서비스품질, 정보품질, 구조적 보증, 인지도 그리고 명성은 온라인 P2P 대출 플랫폼에 대한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인지도, 명성 그리고 지각된 위험은 대출자에 대한 신뢰와 대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신뢰경향은 대출자에 대한 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도, 명성 그리고 지각된 위험, 플랫폼 신뢰, 대출자 신뢰는 대부자의 대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중국, 일본 남성 소비자의 화장품 사용 실태와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Cosmetics by Male Consumers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and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 김경빈;주현영;송위신;장지아위;김규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03-315
    • /
    • 2022
  • 본 연구는 아세안 시장을 중심으로 코로나19의 창궐로 인해 급격하게 달라진 남성 화장품 시장 중 주요 경쟁국인 일본, 중국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중일에 거주하는 MZ세대 남성 300명에게 설문을 받은 결과를 연구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SPSS 21.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먼저 구매행동분석에 대한 결과이다. 한중일 3개국 남성 소비자의 화장품 평균 구매비용은 모두 30,000원 미만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요인으로는 3개국 모두 기능성, 사용감이 상위를 기록했다. 둘째,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한 답변에서는 한국과 중국은 해외브랜드에 개방적인 반면 일본은 주로 자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구매요인으로는 3개국 모두 기능성, 사용감이 상위를 기록했다.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한 답변에서는 한국과 중국은 해외브랜드에 개방적인 반면 일본은 주로 자국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19 이후의 화장품 사용 변화에 대한 결과이다. 코로나19 이후의 피부고민에 대한 답변으로 한국, 일본의 경우 여드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중국의 경우 피지 분비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지에 대한 고민은 3개국 모두 상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아세안 시장에서 한국 남성 화장품의 수출 경쟁력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안하고자 한다.

중국 소비자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있어 지각된 위험, 지각된 이익, 한류문화콘텐츠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 of Perceived Risk, Perceived Benefit, and Korea Wave to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 China)

  • 이한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04-213
    • /
    • 2016
  • 크라우드 펀딩은 소비자들이 제품의 생산전 투자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소비자 역할 변화의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최근 문화콘텐츠관련 크라우드 펀딩이 증가하는 한편 문화콘텐츠로의 해외자본의 영향력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한류 문화콘텐츠가 소비자 투자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로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새로운 투자처 확보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소비자 영향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중국 광저우의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 졌으며 이들의 한류선호도가 크라우드 펀딩과 같은 투자행위로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익 중 지각된 이익의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의 영향력이 더 강했으며 한류 선호도가 낮은 경우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득에 따른 크라우드 펀딩 참여의 영향력이 없었지만 한류 선호도가 높은 경우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이득이 크라우드 펀딩의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소비자가 향후 직접투자자로서의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크라우드 펀딩에서 자본의 모집에 있어서 한류의 영향력을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베이징 도시가구의 주택담보대출 이용실태 분석 (Empirical Analysis on Use of Mortgage Loan in Beijing of China)

  • 김도훈;김진수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3호
    • /
    • pp.135-155
    • /
    • 2012
  • 중국 정부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도시민의 주택 구매력 확대를 위해 주택담보대출제도를 확대하여왔다. 본 연구는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북경(北京))의 주택구매 가구를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한 실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베이징 주택 구입 가구 중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가구의 비중은 39.5%로 나타났으며 이 중 대부분은 4대 국유상업은행으로부터 대출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지 않은 가구는 주택구매자금을 대부분 자기자금과 부모 도움으로 조달하고 이자부담이 있는 외부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가구는 주택담보대출 의존도가 5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중국인의 주택 구매 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이외에 외부자금 의존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로짓모형 이분형 로지스틱 분석에서는 연령, 소득(1만 위안 이상), 주택구매가격(2백만 위안 이상), 주택공적금 가입여부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영화 <먼지 속으로 사라지다> 에 재현된 또 하나의 '농촌' (Another 'Rural' Recreated in The Movie <Yin Ru Chen Yan>)

  • 문대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77-383
    • /
    • 2023
  • 영화 <먼지 속으로 사라지다> 는 중국의 서북 지역 농촌 현실을 핍진하게 반영했다고 평가된다. 영화에서는 비록 농민 특유의 성실함과 순박한 사랑도 담았지만 많은 문제점도 제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기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 시 자신의 의사를 제대로 피력하지 못하는 중국 농촌 청년들을 고발하였다. 이는 장기간 제대로 된 교육, 의료,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한 원인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현실과 괴리된 농촌 주택 정책을 비판하였다. 지역특성과 농민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도시의 아파트를 제공해주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영화에서 주인공은 가족과 같이 생각하고 돌보는 가축 등을 버려두고 자신만 거주지를 아파트로 옮겨 생활하지 않는다. 셋째, 농촌에 만연된 물질만능주의를 비판하였다. 모든 것을 돈으로 해결하려고 하고 심지어 정부의 주택 보상금을 받기 위해서 인간을 존중하지 않는 현상을 비판하였다. 이러한 의미로 볼 때, 진정한 중국 삼농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거시적으로 추진되는 정책과 일부 낙후된 농촌 지역도 아우를 수 있는 미시적인 정책도 함께 실시되어야 한다.

중국 상하이·허쩌 중·고등학생의 식습관과 비만도 및 영양지식과의 관련성 연구 (Associations of Eating Habits with Obesity and Nutrition Knowledge for Middle and High School Adolescents in Shanghai and Heze China)

  • 송양;안효진;최지혜;오세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48-658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ting habits and health among adolescents in Shanghai and Heze,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2013 on 2,089 adolescents; 1,089 students were from Shanghai and 999 students from Heze region. Eating habits, weight, height, and nutritional knowledge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Eating habits score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healthy eating habits and unhealthy eating habits, based on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Associations between eating habits, BMI, and nutritional knowledge were examined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with adjustment of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region, gender, age,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ocket mone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version 9.3) program. Proportions of healthy eating habits group were 90.0% for breakfast (3-7 times/wk), 29.1% for fruit (${\geq}once/d$), 12.5% for vegetable (${\geq}3times/d$), 7.3% for milk (${\geq}2times/d$), 90.0% for fast food (<3 times/wk) consump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BMI score was 20.1 (Shanghai 20.5 Heze 19.6), which is in the range of normal weight. Rates of obesity and overweight were 16.5% and 8.3% in Shanghai and Heze,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intake frequencies of breakfast, fast food, biscuits, sugar, chocolate, and BMI scor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sco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showed better eating habits regarding eating regularity and consumption of fruits and soft drinks in Chinese adolescents compared with Korean adolescents, although cultural differences were not fully considered. This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associations of BMI and nutritional knowledge with dietary behavior in Chinese adolescents in two regions of China. Further studies on Chinese adolescents from other regions in China should be considered.

김정은 시대 북한의 금융제도 변화 - 북한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 (Changes in North Korea's Financial System During the Kim Jong-un Era - Based on North Korean Literature)

  • 김민정;문성민
    • 경제분석
    • /
    • 제27권4호
    • /
    • pp.70-119
    • /
    • 2021
  • 본고는 김정은 집권 이후 추진된 금융부문에서의 개혁조치에 주목하여 그 변화의 내용을 북한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개혁수준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이 조직적·기능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은 은행계좌에서의 현금 인출 및 기업간 현금결제가 허용되는 등 종전의 무현금 화폐가 수동적 화폐(passive money)에서 구매력이 있는 능동적 화폐(active money)로 일부 기능할 수 있게 되었다. 중앙은행과 상업은행이 조직적·기능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중앙은행의 발권이 상업은행을 통한 화폐공급 방식으로 변화되었으며, 화폐유통구조의 변화도 함께 이루어져 상업은행의 신용창조 기능이 구현될 수 있게 되었다. 종합해보면, 사회주의계획경제의 은행 및 화폐·지급결제제도가 시장경제의 방식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금융부문에서의 개혁은 제반 경제제도 변화를 뒷받침하고 공금융의 기능 회복을 위해 필요했던 것으로서 개혁수준의 측면에서는 진일보한 것이나, 아직 그 수준은 사회주의 체제 내에서의 변화인 과거 구소련의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또는 중국의 개혁개방 초기와 유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북한의 금융개혁은 법제정 측면에서는 구소련 및 중국의 개혁 수준보다 우수하지만, 상업은행의 기능 구현 측면에서는 미흡하다. 또한, 계획경제가 유지되는 제도적 제약요인과 공금융에 대한 신뢰 결여 등은 변화된 금융제도의 실효성 및 발전성을 제한할 것으로 보인다. 본고의 분석결과는 북한에서 발간된 문헌에 기초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최근의 변화가 김정은 집권 이후의 청사진으로 일부 지역에서 시범적으로 추진된 것인지, 전면적으로 추진되고 있는지에 대한 실상은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다문화가족의 탈영토화와 초국가적 네트워크 특성 (Deterritorialization and Transnational Network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 김민정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21-436
    • /
    • 2013
  • International marriage is composed over 10% among total marriage in Korea. This study tried to know what kinds of social networks, especially transnational networks, the immigrant wives use for the process of being married and for the adjusting to marriage and Korean culture, and how their Korean families also are affected by the transnational network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FGI and the interviews were applied for the immigrant wives, the multicultural husbands and the specialist groups in metropolitan city DaeGu. 18 migrant interviewees from Vietnam, China, Philippine, etc. were collected by the snow-ball sampling. 5 husbands were collected from the self-help meet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center. The transnational networks of the immigrant wives in DaeGu were deterritorialized and reterritorialized actively. Migrant wives managed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members of motherland, and had the networks sticky with relatives, friends, and other fore-immigrant wives from the same countries. Their migrations are characterized as 'chain migration'. Even though they acquired the Korean nationality, they have the transnational identities. They and their Korean families are interrelated and internetworked in exchanging economic resources as goods and money, human beings, love, child caring, foods and culture over local boundaries.

The Effect of Exchange Rates and Interest Rates of Four Large Economies on the Health of Banks in ASEAN-3

  • PURWONO, Rudi;TAMTELAHITU, Jopie;MUBIN, M. Khoeru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591-599
    • /
    • 2020
  • This study examines how the health of the banks in ASEAN-3 countries namely Indonesia, Malaysia and Thailand respond to the change in exchange rates and foreign interest rates in four large economies. The transmissions of the two external factors through domestic factors in each ASEAN-3 countries eventually affects Non-Performing Loan (NPL) of commercial banks. This study uses the monthly time series data and the renowned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ve (VAR) model comprising five variables, namely exchange rate, foreign interest rate, domestic interest rate, money supply, and non-performing loan (NP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different effects between ASEAN-3 countries, which can be classified as short-run effect and long-run effect. In the long run effect, external factors have a dominant role in determining NPL in ASEAN-3 countries. Yuan has the biggest effect on Malaysia's NPL, while Indonesia is more affected by European interest rates rather than the fluctuation of the US currency and China's interest rates. Among ASEAN-3 countries, Malaysia is the one that is the most vulnerable to external factors. While Thailand's NPL is affected dominantly by domestic factors. This study shows that the Fed Funds Rate (US official interest rate) is not always the dominant factor affecting the health of domestic banks in ASEAN-3.

북중 접경지역 단둥의 대북 생산 네트워크의 예외적 성격 (Exceptional Characteristics of Cross-border Production Networks in Dandong, North Korea-China Border Region)

  • 이승철;김부헌;정수열;김민호;지상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29-352
    • /
    • 2017
  • 2000년대 후반 이후 북중 접경지역에 입지한 한국 투자기업은 북한의 핵실험 및 미사일 도발 행위에 대한 국제 사회 및 우리나라 독자적 대북 제재 조치로 인해 위탁가공 거래 단절과 탈입지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2013년 북중 접경지역에 출경가공무역 제도의 도입은 중국 내수 시장 기반의 대북 위탁가공 생산의 활성화를 가져왔다. 그 결과, 그동안 대북 위탁가공 거래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했던 역할을 중국기업들이 대신하면서 북중 접경지역의 대북위탁가공 네트워크의 지리는 더욱 복잡하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중 접경지역 랴오닝성 단둥시에 입지하고 있는 대북 위탁가공 업체들을 사례로 이들의 대북 위탁가공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접경지역이 갖는 예외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대북 위탁가공 생산 네트워크의 형성은 북한의 양질의 저임금 노동력 활용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형성을 가능하게 한 요인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다. 첫째, 북중간 경제교류 강화와 북한을 개발의 대상으로 바라본 지경학적 요인이다. 예를 들어, 출경가공무역의 도입은 제3국 수출보다는 중국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접경지역 기업에게 대북 위탁가공무역을 허용함으로써 이들 기업이 제도적으로 북한의 풍부한 양질의 저임금 노동력에 접근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지경학적 수단을 통한 북한 체제 안정을 위한 지정학적 요인이다. 대북 위탁가공 생산 네트워크의 활성화는 북한의 외화벌이를 보장하기 때문에 북한이 체제의 완충국으로서 역할을 지속 가능하게 한다. 이는 체제의 완충국으로서 북한의 경제 및 체제 안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국의 지전략적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북 위탁가공 네트워크는 지경학과 지정학이라는 두 가지 대비되는 담론적 실천에 의해 영향을 받고, 더 나아가 북중 접경지역의 공간경제 특성을 우연적이면서 다채로운 모습으로 그려낸다. 결론적으로 북중 접경지역은 각종 변경무역제도와 출경가공무역제도와 같이 자본과 노동의 이동성을 높여주는 예외적인 법률과 제도가 작동하는 공간이며, 대북 위탁가공을 통해서 북한의 양질의 노동력을 매우 낮은 비용으로 활용함으로써 잉여가치가 창출되는 착취의 공간적 특성이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