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services

검색결과 749건 처리시간 0.028초

도서관을 통한 어린이 전자책 서비스에 관한 연구 - A대학 도서관의 이용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E-book Services for Children Through Libraries)

  • 정진한;박일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3-344
    • /
    • 2007
  • 본 연구는 어린이전자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전자적인 형태의 아동 도서에 대한 주도권을 포털사이트에서 도서관으로 이동시키고 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A 대학도서관에서 서비스 중인 어린이전자책사이트이용현황을 주 분석대상으로 정하였으며, 도서관어린이전자책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수서정책도 제시하였다.

장애아동청소년의 거주서비스 쟁점에 관한 혼합방법론 연구 (Mixed Methods Research on Issues of Residential Care Service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Disabilities)

  • 김미옥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55-82
    • /
    • 2011
  • 이 연구는 Creswell과 Clark(2007)의 혼합방법론 중 내재적 모형(embedded design)을 활용하여 장애아동청소년 거주서비스의 쟁점을 다양한 측면에서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장애인복지는 상대적으로 성인장애인을 중심으로 쟁점들이 도출되었고 주도되었다. 그 과정에서 장애아동청소년은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거주시설의 장애아동청소년은 더욱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국내 현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현재 거주시설 장애아동청소년이 당면하고 있는 주요 쟁점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결과, 질적 분석에서는 아동청소년으로서의 지위 부재, 입소에 대한 완충장치의 미비, 별도의 시설과 관련한 의견의 혼재, 생애주기 관련 서비스 및 성인기 전환서비스 부족, 중증 장애아동청소년 서비스의 한계, 법적 지원체계의 미비, 인적자원의 보충과 질 관리가 필요함이 주요쟁점으로 제시되었다. 양적분석에서는 거주서비스의 목표와 기능, 연령 및 장애유형별 구분, 서비스 수요 및 공급에 관한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질적 연구의 결과에 내재시켜 장애아동청소년 거주서비스의 쟁점 논의에 통합하였다. 이 연구는 거주시설 장애아동 청소년이 당면한 실제적 쟁점을 혼합방법론을 활용하여 있는 그대로 드러내고 분석하고자 한 최초의 탐색적 시도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으며, 향후 기초 연구로서 관련 연구의 논의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PDF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 1945-2002 (A Historical Study on the Children's Librarie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1945 to 2002)

  • 김지완;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95-119
    • /
    • 2019
  • 본 연구는 1945년 해방 이후부터 2002년까지를 중심으로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전개과정을 시기별로 고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한국 어린이도서관의 발전과정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첫째, 1945년 해방 이후부터 1976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준비기로, 공공도서관 어린이실을 중심으로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어린이도서관에 대한 인식이 미약하여 어린이도서관이 설립되지 못하였다. 둘째, 1977년 부터 2002년까지는 어린이도서관의 성장기로, 어린이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어린이도서관이 처음 등장하였고, 이 시기 어린이도서관은 공공영역보다 주로 민간영역에서 설립되었다.

도서관의 어린이청소년 연구지원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Services for Supporting Researches Related with Children and Young Adults)

  • 이란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61-274
    • /
    • 2006
  • 본 논문의 목적은 어린이청소년 관련 주제 연구자에게 연구정보와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린이청소년 전문 연구도서관의 기능과 역할 정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어린이도서관 현황 및 연구자가 요구하는 도서관의 서비스를 개관하고, 사례연구로 한국, 독일, 일본 및 미국의 어린이청소년 연구를 지원하는 도서관을 기능, 집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취약계층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관리 실태조사 (Survey on Health Care and Household Safety Management for Vulnerable Children)

  • 남혜경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6-254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eline data on children's health care and household safety management in one region and to support implementation of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for children. Methods: 51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from socially vulnerable group and 69 children and their caregivers from general group a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home visiting survey by 10 professional nurses. Results: Children from socially vulnerable group are at higher risks of poor health care and safety accidents in households than general group. Rates of taking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medical check-up remain considerably low in vulnerable social group. Regarding home safety, vulnerable children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unsafe conditions.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promote health care and safety conditions for vulnerable children,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s which actually can reach vulnerable households and meet their demand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to develop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programs for children.

가정외보호아동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 강현아;우석진;강현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25-38
    • /
    • 2012
  • Drawing o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theor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We collected data from 494 children living in out-of-home services, including institutional care facilities, foster care homes, and group home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In addition, the IV (instrumental-variables) estimation was utilized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reverse causality. The level of children's social capital was measured through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riends, parental monitoring, etc. The level of children's cultur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ir cultural activities, such as going to museums,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lacement history in out-of-home service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We found that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and delinquenc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Cultural capital, but not social capital,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장애아동의 건강문제와 건강관리 현황 (Health Issues and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Daycare Centers)

  • 김지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27-134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ealth issu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to identify the way of teachers' management on child health.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performed with a convenience sampling of 127 teachers from 19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175 teachers from 17 general daycare centers.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7.0 program. Results: For the last one month, about 90% of th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d to care for sick children. When a child is sick, 50% of the teachers tended to contact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caring for sick children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no one available to give expert health care advi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many health issues in daycare cent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refore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be available to the centers. Specifically, health management services an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사회계층에 따른 영유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요구도 (A Study to Assess the Need of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for Children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in a Province)

  • 김희자;방경숙;유재순;김현숙;탁양주;허보윤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2-22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children's health status and need of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one provinc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37 caregiver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Data were collected at the participant's home or public health center. Results: Many of the children did not receive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or dental examinations. In the beneficiary group, the prenatal checkup rate and children's vaccination rate were lower, and caregivers had more health problems than the other groups. On the assessment of home safety, unsafe conditions were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beneficiary group. The caregivers in the beneficiary group showed lower child rearing confidence than the other groups, and wanted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most in the areas of developmental screening, regular health check-up and counseling, nutritional supplementation, and oral health car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for children and parents in poverty to be provided with professional home visiting interventions for the promotion of child health and prevention of developmental problems and diseases. These findings can be used for developing future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in this community area.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on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Poor Children)

  • 정익중;김혜란;홍순혜;박은미;허남순;오정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105-131
    • /
    • 2005
  • 본 연구는 동일한 빈곤상황에서도 아동들이 제공받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종류와 양은 상이하다는 현실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정도에 따라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다른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의 결연사업 대상아동을 모집단으로 하는 904명의 빈곤아동이다. 그 중 소년소녀가정 아동이 8.2%, 조부모 대리양육가정 아동이 22.7%, 친인척위탁양육가정 아동이 8.2%, 일반위탁가정 아동이 1.8%, 기타 일반빈곤가정 아동이 59.1%이었다. 연구의 중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에 따라 심리사회적 적응 하위척도군 전체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또한 이러한 하위척도군 중에서 서비스 이용정도에 따른 전체적 차이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종속변수는 비행이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수많은 선행 연구에서 비행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파악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비행의 낮은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과 부모의 지도감독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지도감독이 높은 상황에서는 비행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력이 미미하지만 부모의 지도감독이 낮은 상황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비행 수준을 낮추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로부터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빈곤아동의 비행 감소 또는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행예방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서비스가 빈곤아동 중 특히 부모의 지도감독이 부족한 아동들에게 절실히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일부지역 유아 교육 시설의 안전사고에 대한 교사들의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s on Safety Accident in Facilities for Children's Education)

  • 박상섭;백홍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5-7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eacher's perception on young children's safety life, safety accident, and safety education and provided basic data of administrating teacher'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safet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for their education. 230 questionnaires were provided and 181 were collected and 17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Regarding teacher's perception on types of young children's safety accident, play accident was high(70.0%). 2. With regard to teacher's perception on causes of accident, lacks of perception was high(64.1%). 3. Of transportation means in accident, 119 ambulance use was high(60.5%) 4. Regarding teacher' perception on accident prevention, direct attention of education by paramedics was high(48.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