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on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Poor Children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understand how the use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the satisfaction from the use affect poor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Especially, it focused to find out whether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has an independent effect on poor children's psychosocial adjustment when other relevant variables are controlled. Participants are 904 poor children from 16 nationwide cities/provinces who receive financial sponsorship from Korea Welfare Foundation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mong them, 8.2% is from youth-headed homes, 22.7% is from grandparent-care homes, 8.2% is from relative foster homes, 1.8% is from non-relative foster homes and 59.1% is from other poor famil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MANOVA, poor children who received 2 or more satisfied social welfare servic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who received 1 or no service in their combined psychosocial adjustment subcategories. Delinquency among the subcategories is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 in combined differences. 2) Controlling sex, age, family structure and other variables that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delinquency in previous research,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is still the significant variable in decreasing delinquency among poor children. 3)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and parental supervi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Under the low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of delinquency. However, under the high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the use of satisfied services has little effects. From these results, we found out that the use of satisfied social welfare services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o prevent or decrease delinquency among poor children. Also we found out that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poor children who receive the low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to have good-quality social welfare services in order to prevent delinquency.

본 연구는 동일한 빈곤상황에서도 아동들이 제공받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종류와 양은 상이하다는 현실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정도에 따라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다른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빈곤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분석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의 결연사업 대상아동을 모집단으로 하는 904명의 빈곤아동이다. 그 중 소년소녀가정 아동이 8.2%, 조부모 대리양육가정 아동이 22.7%, 친인척위탁양육가정 아동이 8.2%, 일반위탁가정 아동이 1.8%, 기타 일반빈곤가정 아동이 59.1%이었다. 연구의 중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해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정도에 따라 심리사회적 적응 하위척도군 전체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또한 이러한 하위척도군 중에서 서비스 이용정도에 따른 전체적 차이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종속변수는 비행이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수많은 선행 연구에서 비행과 관련 있는 것으로 파악된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여전히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이 비행의 낮은 수준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과 부모의 지도감독과의 상호작용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지도감독이 높은 상황에서는 비행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의 영향력이 미미하지만 부모의 지도감독이 낮은 상황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비행 수준을 낮추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로부터 만족스런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이 빈곤아동의 비행 감소 또는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행예방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서비스가 빈곤아동 중 특히 부모의 지도감독이 부족한 아동들에게 절실히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