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Museum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6초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형 어린이 박물관 콘텐츠 개발 및 만족도 조사 연구 (Development of interactive children's museum contents for online-offline experience and research on satisfaction level)

  • 이지은;이상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59-65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온라인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를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 형태로 개발하여, 초등학생의 학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온·오프라인 박물관 콘텐츠는 기존 온라인 박물관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기존 전시물 유형과 직접 체험 요소가 보완된 콘텐츠를 결합하였으며, 혼합 매체 사용을 통해 학습을 증진시킨다는 Blended learning 이론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온라인 박물관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온·오프라인 박물관이 기존 온라인 박물관에 비해 학습 효과가 있는지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연구 결과, 공통적으로 직접 체험이 혼합된 콘텐츠가 높은 만족도 및 빈도 지수로 집계되었으며 [놀이형]과 [경험형] 유형의 직접 체험 콘텐츠가 간접 체험 유형의 콘텐츠보다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박물관이 제공해 줄 수 있는 콘텐츠 개발에 있어서 새로운 시사점과 발전 가능성을 제공하고 어린이 교육에 다양한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

"And not just the men, but the women and the children, too": Gendered Images of Violence in Indonesian, Vietnamese, and Cambodian Cold War Museums

  • Vann, Michael G.
    • 수완나부미
    • /
    • 제12권1호
    • /
    • pp.7-47
    • /
    • 2020
  • This article is a sub-section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depictions of violence in Jakarta's Museum of the Indonesian Communist Party's Treachery, Ho Chi Minh City's War Remnants Museum, and Phnom Penh's Tuol Sleng Genocide Museum. In comparing these public history sites, I analyze how memories of mass violence were central to state formation in both Suharto's anti-Communist New Order (1966-1998),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nam (1976-present), and Cambodia since the collapse of Democratic Kampuchea (1979-present). While this comparison points out specific distinctions about the role of the military, the nature of revolution, and conceptions of gender, it argues for a central similarity in the use of a mythology of victimization in building these post-conflict nation-states. This article focuses on my gendered analysis of the use of images of women and children in each museum. Depending on context and political purpose, these museums cast women as tragic victim, revolutionary heroine, or threat to the social order. My analysis of gender places stereotypical images of violence against women (the trope of women and children as the ultimate victims) in conversation with dark fantasies of women as perpetrators of savage violence and heroic images of women liberated by participation in violence.

  • PDF

국내 어린이 중심 과학전시 현황 파악 및 발전방향 모색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Quo of Children's Science Exhibits and Explor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Children's Science Museum Exhibition)

  • 정다혜;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48-463
    • /
    • 2017
  •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과학전시관의 현황을 파악하고 어린이 과학관에서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한 전시 공간연출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과학관 전시물과 전시공간을 전시내용에 따라 크게 3가지 주제로 분류하고, 전시매체와 전시공간을 분석하는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전시관 총 7곳을 목적 표집하여 선정하고, 촬영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와 '주변 사물', '자연 현상'을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현황을 분석했을 때, 어린이의 발달수준에 맞지 않는 어려운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시매체 측면에서는 설명적 매체와 관찰형 매체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시공간 측면에서는 설치물요소와 색상요소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으며, 전시 주제에 따른 동선의 흐름이 대체적으로 전시 내용 전체 스토리를 유추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겠다. 이를 개선하고 어린이 과학관에서의 교육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시 연출의 기획단계에서부터 관련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해 전반적인 진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체험전시공간 시지각적요소의 체류지원성향상을 위한 연구 - 경기도 어린이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ay affordance for Visual Perception factors in Experience Exhibition Space - With Focus on Gyeonggi Children Museum -)

  • 송정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95-204
    • /
    • 2013
  • Today, the children's museum evolved from place of exhibition for seeing and feeling, to that of exhibition for searching and touching, or so-called the hands-on exhibition. This will allow for grabbing the interest from children and provide an opportunity for learning by an actual experience at this intellectual and benign environment. But in this modern society that constantly undergoes evolution even as we speak, it is not an easy task to bring our children to museums, because they are vastly exposed to various media. Moreover, if the children who visited museums carelessly bypass the specific areas intended for exhibiti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enhanced learning effect with hands-on experience" is easily underachieved. According to children's visual stimuli, their behavioral charactoristics are appeared to freewill curiosity but they show shorter elapsed time(impermanence), intensity(stubbornness), frequent occurrence(frequentness) and changeable (translatability). So, We need Improvement of visual image affordance through the measurement of stay time. Firstly, five factors are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on twenty questions based on visual image factors; Color accessability and Satistaction(factor1), brightness and color harmony(factor2), feeling on harmonization of color and stay time(factor3), simplex & complex of space(factor4), feeling on scale(factor5) Secondly, the following result are derived through a distribution chart on an exhibition room of K-museum. As shown above, this study based on various analyzed aspects proposes the directions of a color image plan to improve stay time in exhibition space of children museums with a hope to support educational goals of experience education-focused children museums.

PEP/IS 모델을 적용한 과학관의 적극적 활용에 관한 연구 : 국립중앙과학관 사례분석과 대안모색 (Effective Exhibition Communication of Science: An Analysis of the South Korea's National Science Museum)

  • 이은아;김학수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2호
    • /
    • pp.95-123
    • /
    • 2008
  •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museum could be important to adults who finished formal school education. By analysing all the exhibits at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conducting a face-to-face interview survey toward 100 adult visitors, based on the PEP / IS model's perspective(Kim, 2007), this study aimed to find a way to induce many adults to visit science museum from the information consumer's viewpoint, not the information provider's one. The result was that most of the exhibits were not related to problems which people focused attention on. About half of visitors, therefore, did not relate their problems with exhibits and responded tha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exhibits and their everyday life. However, they had an idea that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contribute to solving their problems. These findings could suggest that first, science exhibits in relation to people's focused problems or issues are to be developed, second, programs for parents who are accompanied by their children are to be developed, and last, adults' engagement in planning the science museum exhibits is to be considered.

  • PDF

어린이과학관 전시 개선 모형 개발 및 적용에 따른 과학교육에서의 제언: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Developing Exhibit Improving Model of Children's Science Museum and its Implication in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 정다혜;박영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2호
    • /
    • pp.226-247
    • /
    • 2017
  •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어린이과학관의 전시 모형을 개발하여 어린이과학관 전시 연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시 평가 분석틀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전시 주제로 '신체', '주변 사물', '자연 현상'을 전시 내용으로 한 전시를 제안하였다. '신체'를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동선과 색상 요소가 중요하며, '자연 현상'을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색상과 조명의 연출을 적용한 상황적 매체의 활용이 적절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사물'을 주제로 한 전시의 연출은 사물을 대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단서나 설치물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발한 전시 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시 모형의 '거울'전시물에 대한 전시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G과학관의 어린이관 방문 관람객에게 적용한 결과, 전시 모형을 통해 반사의 개념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관람 대상에 적합한 전시 내용과 전시 매체, 전시 공간의 연출을 통해 전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시 기획이 필요하며, 전시 기획에 있어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 조사법을 이용한 어린이 놀이행태 및 놀이환경 분석 (테마박물관의 실내 에어바운스 공간을 대상으로) (Play Behaviour and Environment Using User Research (Focused on Air-bounce Space in Theme Museum))

  • 송미;윤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74-284
    • /
    • 2016
  • 본 연구는 테마형 박물관 중 하나인 춘천 애니메이션 박물관의 어린이 놀이공간(에어바운스)을 대상으로 실제 공간을 이용하는 어린이들의 놀이행태와 놀이환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 조사법 중 사용자 관찰법과 사용자 행동 인터뷰 조사를 병행하였다. 사용자 관찰법을 통해 연구 대상지의 어린이 놀이행태를 분석한 결과, 신체 운동, 정서, 인지,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놀이행태가 모두 관찰되었으나, 매달리거나 역할놀이와 같은 일부 행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용자 관찰법과 인터뷰 조사 등을 종합하여 이용밀도(수용력) 제한, 연령별 공간구분, 동반자 대기공간 조성, 아동과 동반자간 친밀감형성을 위한 공간 조성, 안전요원의 배치 등의 다양한 계획적 함의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추후 유사한 어린이 놀이공간의 계획 및 설계단계에서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궁가> 공연을 활용한 공연예술박물관 어린이 체험전시 사례 분석 (Analyzes the case of Performing Arts Museum of the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 하을란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473-504
    • /
    • 2018
  • 이 글은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에서 <수궁가> 공연을 활용하여 어린이를 대상으로 기획한 체험전시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전시나 교육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부분은 어린이가 프로그램의 진행 '대상'이 아닌 '주체'로서 그 내용 안에서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소통 가능한 방식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이 글은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수궁가> 공연을 전시에 연계하여 공연무대를 만드는 요소 중에서 '분장'이라는 부분을 체험으로 풀어냈던 전시사례를 분석한 것으로 그 사례를 소개하고 공유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이 전시의 주제가 됐던 <수궁가> 공연이 어떻게 전시로 활용되어 어떤 체험내용으로 구성되었는지 그 사례를 살펴보고, 공연과 연계한 어린이 체험 전시의 더 나은 방향에 대해 고민해보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하였다.

국립과천과학관 천문컨텐츠 온라인 프로그램 기획·연구 (Projecting and Researching GNSM's Online Programs of Astronomical)

  • 조재일;박대영;안인선;장형규
    • 천문학회보
    • /
    • 제45권1호
    • /
    • pp.57.1-57.1
    • /
    • 2020
  • The pandemic of COVID-19 has made it difficult to gather participants in offline astronomical programs since March, 2020. For this reason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has developed online programs of the partial solar eclipse and the Asteroid Day event in June, the celebration for launching Mars 2020 in July and Perseids in August. In this poster, we present how to plan each of them and research on methods that deliver astronomical contents to viewers effectively. In addition, we introduce preparing a couple of online programs in the rest of this yea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