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 welfare

검색결과 1,723건 처리시간 0.03초

지역아동센터의 지역사회연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The Exploratory Study on Community Link of Community Childcare Center)

  • 김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803-810
    • /
    • 2013
  •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의 지역사회 내 건강하고 안전한 보호와 적응으로의 종합적 복지서비스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서비스기관으로,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서비스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연계가 필수불가결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지역사회연계는 매우 협의적이며 제한적인 의미로만 사용되었으므로 지역사회 내에서 성장하고 지역사회를 배움의 터로 활용해야하는 아동에게는 그 어느 영역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지역사회연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요구되어진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체계론적 관점에서 보다 "확장된 개념"의 지역사회연계에 대한 탐색적인 고찰을 통해 아동, 그 중 더욱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촉구되는 빈곤 등의 취약상황에 놓인 아동들의 지역사회 적응과 자기성장을 돕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코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성학대를 내용으로 한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의 반응 분석 (An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5'Year' Old Children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on Sexual Abuse)

  • 천희영;이귀숙;신세니
    • 아동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17-13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5'year' old children's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on sexual abuse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42'five year' old children and 2 of their teachers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by means of observation, a diary record of the teacher's class, and an interview with teachers about children's responses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books on sexual abuse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in J and K daycare centers in Busan, Korea from July to Septemb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patterns of responses; consistent responses, awkward responses, and confused and frightened responses. These result imply that selecting picturebooks for sexual abus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needs to be given careful consideration.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eading skills and sociocultural cognition regarding sexuality in general were also discussed.

건강영향평가를 통한 아동 복지서비스 개선: 청주시 드림스타트 센터 사례 (Improvement of Child Welfare Service Using Health Impact Assessment: A Case of the Cheongju Dream Start Center)

  • 강은정;임성은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30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Health Impact Assessment using the case of a HIA on 2008 Dream Start Project in Cheongju. Methods: We followed the typical procedure of HIA recommended by the Merseyside Guidelines on HIA. In scoping, the steering committee decided 5 key domains of child health to be assessed: prenatal care, vaccination, nutrition, access to health care, and child abuse and also the methods of collecting the evidence. The HIA appraisal team collected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literature, community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The HIA appraisal team also synthesized the collected information in terms of the nature of health impacts and equity and made recommendations accordingly. Results: Positive impacts were expected in prenatal care, vaccination, and nutrition, while negative impacts were expected in access to health care. The impact of Dream Start on child abuse was uncertain.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made and submitted to the Dream Start team for their consideration. About 2 years later, we found many of them were implemented in 2009 Dream Start project. Conclusion: HIA was found to be applicable and effective to make decision makers in the welfare sector consider health in their work.

응급구조원, 지하철 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in Emergency Workers, Subway Operator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 이영선;이소래;주성아;고영빈;김예진;한인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249-273
    • /
    • 2012
  • 본 연구는 응급구조원, 사상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종, 심리적 고통, 대리 외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 첫째, 대리 외상은 세 집단 모두 위험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특히 지하철승무원의 대리 외상이 높았으며, 외상 후 성장은 사회복지사가 가장 높고 지하철승무원이 가장 낮았다. 둘째,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은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침습과 회피의 하위항목이 외상 후 성장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종, 침습, 회피, 종교, 성별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리 외상 위험 직종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제공과 외상 후 성장의 치료적 적용을 제언하였다.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Children's Shelter in Korea using DEA Analysis Method

  • Jeong, Seong-Bae;Joo, Mi-y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207-217
    • /
    • 2020
  • 본 연구는 DEA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 아동복지시설의 효율성을 분석한 후 한국 아동복지시설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정책 제안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분석을 위한 투입변수는 종사자수, 시설수, 정원수로 하였고, 산출 변수는 현원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CCR분석 결과 효율적인 시설은 양육시설, 보호치료시설, 자립지원시설로 나타났고, 비효율적 시설은 일시보호시설, 종합시설로 나타났다. BCC분석 결과 효율적인 시설은 양육시설, 보호치료시설, 자립지원시설, 종합시설로 나타났고, 비효율적인 시설은 일시보호시설로 나타났다. SE분석 결과 자립지원시설이 가장 초효율적이었고, 가장 비효율적인 시설은 일시보호시설로 나타났다. 기여도 분석결과 시설 수와 종사자 수가 가장 기여도가 높고, 가장 비효율적인 시설인 일시보호시설의 개선 가능성은 정원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겠다. 첫째, 일시보호시설의 정원 조정이 요구된다. 둘째,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가 요구된다. 셋째, 아동복지시설장의 전문성 강화가 요구된다.

일본의 장애아를 위한 복지의 동향과 시설재편에 관한 연구 - 의료형 장애아 입소시설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Trend of Welfar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cility Reorganization in Japan - Focused on Medical-type Facilit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배민정;타케미야켄지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67-74
    • /
    • 2019
  • Purpose: In 2012, the Child Welfare Act was revised to provide better support to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in Japan. Previously, inpatient facilities had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ies of patients. After the revision of the Act, however, these facilities were assigned into the category of "medical-type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welfare-type facil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focus of the study is to evaluate the reorganization of the Child Welfare Act and to analyze the new layout of Center K after its transition from a facility for children with motional disabilities to a medical-type facilit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rend in the treatmen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in Japan.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twice in 2015 and 2016, before and after the renovation of the Center K facilities depending upon the revision of the Child Welfare Act. Results: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of the popul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Japan, and the severity level of disabilit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case of Center K, two types of ward constructed to meet the two types of disability has been reconstructed into three types of unit following the various severity level of disability. Implications: As a result, it could be argued that it is also necessary in Korea to reorganize the facilit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deal with the fact that the popul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has been growing and their degree of disabilities also getting severe.

위탁아동 입양부모의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Rearing Experience of Parents who Adopted a Child from Foster Care)

  • 권지성;정익중;민성혜;신혜원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73-107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위탁아동을 입양한 부모의 양육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요보호아동을 위탁하여 보호하다가 입양한 사례들을 접촉하여 개별적으로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가지고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네 사례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여 사례별로 중요한 이슈들을 파악하였으며, 전체 사례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주제들을 발견하여 기술하였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주제는 '특별한 만남: 우연, 인연, 필연', '이미 내 아이', '사소하지만 본질적인 차이', '사회적 지원의 단절: 잃은 것과 얻을 수 있는 것', '숨길 수 없는 진실, 숨겨야 하는 진실', '가족의 운명' 등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위탁아동 입양가족들의 적응을 돕기 위한 정책과 실천 지침들을 제언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풍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후속연구들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방과후 방치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Care on Children's Development)

  • 이봉주;조미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36호
    • /
    • pp.7-27
    • /
    • 2011
  • 본 연구는 방과후 방치 정도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로는 한국복지패널조사의 1차년도와 4차년도 아동 부가조사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기간의 방과후 방치 정도가 중학교 기간의 학업성취도, 내재화 문제, 외현화 문제, 비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방과후 방치 정도는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내재화 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과후 방치 정도가 클수록 학업성취도는 감소하고 내재화 문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방과후 방치의 영향은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아동특성, 부모 및 가구 특성뿐 아니라 과거의 아동발달 정도를 통제하고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방과후 방치가 학업성취도와 아동의 정서 중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방과후 방치 아동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할 때 양적인 확대도 중요하지만 단순한 보호와 돌봄의 차원을 넘어선 아동발달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대학(교)의 보육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 (An Analysis of Pre-service Curriculum for Child Care Teacher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 김의향;신나리;민미희;이형민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561-58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ice curriculums for child care teacher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To accomplish this, a survey was implemented to gather the lists of courses from each department training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A total of 225 departments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across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37 different courses offered for child-care teacher licensure were different by school type (university or college) and major. Departments in colleges with specific majors such 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offer courses that are also required for other certificates, including kindergarten teachers or social workers, so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may not have the opportunity to take courses specifically designed for their specific teaching needs or interests. Accordingly, there may be a restricted number of courses from which to choose during pre-service training period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everal poli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child-care teacher professionalism were suggested.

한국과 연변조선족 부모별거 아동의 탄력성과 양육요인 및 사회정서적 적응력간의 관계 (The Relations mong Children's Resilience, Child Rearing Factors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Korean and Yanbian Korean-Chinese Shildren Separated from Parents)

  • 천희영;옥경희;황혜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2호
    • /
    • pp.57-70
    • /
    • 2008
  • The focus of this study was finding out the relations among resilience of children separated from parents, child rearing factors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 in Korean and Yanbian Korean-Chinese regions.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5{\sim}6$ graders separated from their parents(184 in Korea and 81 in Yanbian). Data analysis was by Pearson's r, F-test and t-test. Resilience of Korean-Chinese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Korean children. Caregivers' child rearing behavioral factor than other child rearing factors was significant for children's resilience, and especially for Korean children, caregivers' child rearing psychological factor -efficacy and stress variables- were meaningful. Socio-emotional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resilience high and low groups in both regions. Implications are that regional differences, caregiver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ild rearing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resilience and socio-emotional adju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