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orw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5초

Seroprevalence of Plasmodium vivax in the Republic of Korea (2003-2005) using 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st

  • Kim, Tong-Soo;Kang, Yoon-Joong;Lee, Won-Ja;Na, Byoung-Kuk;Moon, Sung-Ung;Cha, Seok Ho;Lee, Sung-Keun;Park, Yun-Kyu;Pak, Jhang-Ho;Cho, Pyo Yun;Sohn, Youngjoo;Lee, Hyeong-W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1-7
    • /
    • 2014
  • Plasmodium vivax reemerged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in 1993, and is likely to continue to affect public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levels of anti-P. vivax antibodies using indirect fluorescent antibody test (IFAT) in border areas of ROK, to determine the seroprevalence of malaria (2003-2005) and to plan effective control strategies. Blood samples of the inhabitants in Gimpo-si, Paju-si, and Yeoncheon-gun (Gyeonggi-do), and Cheorwon-gun (Gangwon-do) were collected and kept i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Out of a total of 1,774 serum samples tested, the overall seropositivity was 0.94% (n=17). The seropositivity was the highest in Paju-si (1.9%, 7/372), followed by Gimpo-si (1.4%, 6/425), Yeoncheon-gun (0.67%, 3/451), and Cheorwon-gun (0.19%, 1/526). The annual parasite incidence (API) in these areas gradually decreased from 2003 to 2005 (1.69, 1.09, and 0.80 in 2003, 2004, and 2005, respectively). The highest API was found in Yeoncheon-gun, followed by Cheorwon-gun, Paju-si, and Gimpo-si. The API ranking in these areas did not change over the 3 years. The seropositivity of Gimpo-si showed a strong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API of 2005 (r=0.9983, P=0.036). Seropositivity data obtained using IFAT may be useful for understanding malaria prevalence of relevant years, predicting future transmission of malaria, and for establishing and evaluating malaria control programs in affected areas.

Kenaf의 재배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Kenaf(Hibiscus cannabinus L.))

  • 김성무;박형재;엄석현;김병완;성경일;조동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9-84
    • /
    • 2007
  • 본 연구는 아열대 일년생 작물인 kenaf를 철원지역에서 품종 Dowling, Everglade-41, Tainung-2를 재배하여 생육특성과 광합성율을 측정하였다. 생장분석 결과 파종 후 53일째에 Everglade-41 품종이 잎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높게 나타내었다. 줄기 무게는 Tainung-2 품종이 가장 높았으며, 93일과 115일째에서는 Dowling 품종이 줄기와 잎에서 가장 높은 생체중과 건물중을 나타내어 생산적 측면에서는 Dowling 품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생장분석 결과로 Dowling 품종의 높이는 그리 높지 않지만 잎의 수가 많고, 직경이 커서 Dowling 품종이 더 효과적인 생산성을 보였다. 광합성 측정에서는 일사량이 많은 파종 후 73일째인 8월초에 측정한 Everglade-41 품종이 28.6 $CO_2{\mu}mol\;m^{-2}s^{-1}$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파종 후 115일째 수확시 식물체의 높이는 품종별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줄기의 굵기는 Dowling과 Everglade-41 품종이 28mm정도로 Tainung-2 품종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본 시험결과에서는 철원지역에서의 모든 품종들은 앞서 제주지역에서 얻은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수확량은 감소하였다. 이는 제주에서의 kenaf 재배는 철원지역보다 재식밀도가 더 넓었으며 재배기간도 길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재식밀도와 재배기간을 더 늘린다면 철원지역에서의 kenaf의 사료작물로서 생산량은 높아지리라 사료된다.

민간인통제선 변화에 따른 접경지역 마을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Distribution of Villages in Border Region according to Change in Civilian Control Line)

  • 정해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1-101
    • /
    • 2021
  • 본 연구는 기존 민북마을의 사회공간적 분포 및 변화 등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를 민통선 변화에 따른 민북마을의 시공간적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전협정문 제2권 지도와 구글어스, 수치지적도, 행정구역도 등을 공간 자료로 활용하고, 통계연보와 국방부 및 철원군 고시 자료, 토지이용규제시스템, 지적도 속성정보 등을 정리하여 속성자료로 구축하여 민간인통제선의 조정에 따른 민북마을의 변화를 시계열로 공간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사시설보호법 제정 이후 민간인통제선이 그려진 1976년 통계연보를 기준으로 20년 단위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75년부터 2015년까지 철원의 민간인통제구역 총면적은 105.8km2가 감소하였고, 민북마을 총 14개 중 9개 마을이 해제되고 6개 마을만 존재하게 되었다. 미입주 마을은 기존 조사되거나 통계상의 마을 보다 10개 적은 14개 마을로 분석되었다. 민통선 북상은 민북마을의 고유특성을 사라지게도 할 수 있지만 현재 주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보전 차원에서의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민북지역과 민북마을의 기초가 되는 시·공간 분석을 실시한 데에 의의를 가지며 후속 분석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강원도 철원 샘통과 주변 지표수 및 지하수의 수리화학 및 미생물 군집 특성 연구 (Hydrochemical and Microbial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Spring,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at Samtong in Cheorwon, South Korea)

  • 유한선;문진아;김희정
    • 지질공학
    • /
    • 제33권2호
    • /
    • pp.257-27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철원 샘통과 그 일대의 지하수 및 지표수의 지구화학 및 미생물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2022년 12월 15일 철원 샘통 5개, 지하수 3개 그리고 지표수 2개, 총 10개 지점에서 야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화학분석 결과 샘통과 지표수는 모두 Ca-HCO3 유형에 도시되었으며, 지하수 한 지점(CSG3)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은 모두 Na-HCO3 유형에 도시되었다. 또한 모든 지점은 같은 기상수의 기원으로 물암석 반응이 우세하게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라돈 농도 분석 결과 지표수는 1,000 Bq/m3 이하, 샘통은 1,000~10,000 Bq/m3, 지하수는 1,000~1,000,000 Bq/m3의 농도 값을 보였다. 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 결과 문(phylum) 비율 중 가장 우점종은 Proteobacteria, Planctomyceta, Verrucomicrobia, Acidobacteria, Actinomycetota 순으로 나타났다. 비계량적 다차원 척도법 모델링(NMDS)에서는 수온, pH, Si가 현장의 토착미생물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NMDS와 CCA 결과에서 샘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적 요소는 온도, Mg, Si로 나타나며, 그 환경적인 영향과 관련된 주요 미생물은 Acidobacteria와 Proteobacteria 중 Pseudomonas brenneri이다. 수화학 및 미생물 군집 분석 모두 샘통과 지하수 CSG3 지점에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현무암 대수층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of an Early-maturing, Multiple Resistant and High Quality Rice variety Cheolweon109

  • Yong-Jae Won;Eok-Keun Ahn;Woong-Jo Hyun;Kuk-Hyun Jeong;Yoon-Sung Lee;Jeong-Joo Kim;Ji-Eun Kwak;Bon-Il Ku;Won-Young Choi;Hyang-Mi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6-266
    • /
    • 2022
  • The outbreaks of blast, bacterial blight and viral diseases have been increasing in early maturing rice cultivating areas in the central northern regions, recently. As the occurrence of sudden insects pests and disasters increases due to global climate warming, it is urgent to develop a variety of disaster-tolerant, high-quality varieties in respon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early-maturing, high-quality and multiple disease resistant rice variety, Cheolweon109 that was adapted to cultivation in the mid-mountainous regions of the central northern regions. Cheolweon109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uweon546, medium maturing variety, and Sangju44 which is early maturing and resistant to blast, bacterial blight and rice stripe virus. The heading date of Cheolweon109 was July 30, 3 days later than Odae. The culm length of Cheolweon109 was 79 cm, which was about 5 cm taller than Odae, and the ripening ratio was 85.1%, which was 10% higher than that of Odae. This variety had 5.54 MT/ha of milled rice productivity, which was 99% of the Odae. Although Cheolweon109 was tall, it was strong against lodging. It was strong against bacterial blight (K1, K2, K3 race), rice stripe virus, and the pre-harvest sprouting which rate was 2.4%. The appearance of the grains of rice was clean, the glossiness was 70.6, and the head rice ratio was 95.3% high. Because Cheolweon109 had superior disease resistance, disaster resistance, and high quality than Odae, it was expected that can be used to expand the diversity of early maturing and high-quality rice varieties in central northern regions.

  • PDF

잔물땡땡이의 온도발육모형과 생물계절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models and phenology of Hydrochara affinis)

  • 윤성수;김명현;어진우;송영주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22-230
    • /
    • 2020
  • 논 생태계 서식 생물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잔물땡땡이의 발육단계별 온도발육모형을 선정하고 생태적 매개변수(유효적산온도, 발육한계온도, 발육최적온도, 발육최고온도)를 추정하였다. 선정된 온도발육모형을 이용하여 위도별 4 지역(철원, 당진, 부안, 해남)에서 발생하는 잔물땡땡이의 세대 수를 각 지역의 일 평균기온을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실험온도 구간(18~30℃)에서는 모든 성장단계에서, 발육속도가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였고 모형 사이의 적합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발육최적온도와 달리 발육한계온도는 모형별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잔물땡땡이는 고위도인 철원에서 3.6 세대가 발생하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4.3 세대가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계절 변동 및 논 생태계 생물다양성 보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Ultra Wide Band-gap 인광체를 이용한 백색 OLED의 발광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Ultra Wide Band-gap Phosphorescent Material)

  • 천현동;나현석;추동철;강유석;양재웅;주성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910-915
    • /
    • 2012
  • We studi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whit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PHOLEDs), which were fabricated using a two-wavelength method. The best blue emitting OLED and red emitting OLED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at a concentration of 12 vol.% FIrpic and 1 vol.% $Bt_2Ir$(acac) in UGH3, respectively. And the optimum thickness of the total emitting layer was 25 nm. To optimiz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white PHOLEDs, white PHOLEDs with red/blue/red, blue/red, red/blue and co-doping emitting layer structures were fabricated using a host-dopant system. In case of white PHOLEDs with co-doping structure, the best efficiency was obtained at a structure UGH3: 12 vol. % FIrpic: 1 vol.% $Bt_2Ir$(acac) (25 nm). The maximum brightness, current efficiency, power efficiency, external quantum efficiency, and CIE (x, y) coordinate were 13,430 $cd/m^2$, 40.5 cd/A, 25.3 lm/W, 17 % and (0.49, 0.47) at 1,000 $cd/m^2$, respectively.

Relationship between Antibody-Positive Rate against Plasmodium vivax Circumsporozoite Protein and Incidence of Malaria

  • Lee, Hyeong-Woo;Kang, Yoon-Joong;Cho, Shin-Hyeong;Na, Byoung-Kuk;Pak, Jhang Ho;Nam, Ho-Woo;Park, Yun-Kyu;Sohn, Youngjoo;Kim, Tong-S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169-175
    • /
    • 2015
  •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Plasmodium vivax circumsporozoite protein (CSP) antibody levels and the prevalence of malaria in epidemic areas of South Korea was evaluat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inhabitants of Gimpo-si (city), Paju-si, and Yeoncheon-gun (county) in Gyeonggi-do (province), as well as Cheorwon-gun in Gangwon-do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4. Microscopic examinations were used to identify malaria parasites. ELISA was used to quantitate anti-circumsporozoite protein (CSP) antibodies against P. vivax. A total of 1,774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The overall CSP-ELISA-positive rate was 7.7% (n=139). The annual parasite incidences (APIs) in these areas gradually decreased from 2004 to 2005 (1.09 and 0.80, respectively). The positive rate in Gimpo (10.4%, 44/425) was the highest identified by CSP-ELISA. The highest API was found in Yeoncheon, followed by Cheorwon, Paju, and Gimpo in both years. The positive rates of CSP-ELISA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PIs in the study area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roepidemiological studies based on CSP may be helpful in estimating the malaria prevalence in certain areas. In addition, this assay can be used to establish and evaluate malaria control and eradication programs in affected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