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eong-Gang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1초

초고온 archaeon인 Thermococcus profundus에서 P93 복합체의 분리 및 구조적 특성 (Purifi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93 Complex from Hyperthermophilic Archaeon Thermococcus profundus)

  • 이미홍;김숙경;윤영근;박성철;박정동;정강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2호
    • /
    • pp.185-191
    • /
    • 2000
  • 초고온 archaeon인 Thermococcus profundus에서 매우 거대한 단백질 복합체를 분리 및 구조를 규명하였다. 거대 복합체는 93kDa단백질(P93 complex)로 구성된 homomultimer이며, 강한 내열성을 보여주고 있다. 순수 분리한 P93 complex를 SDS(최종 농도 1%)와 $85^{\circ}C$에서 12시간 항온시킨 후, SDS-PAGE와 전자현미경에서 구조적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음착색된 P93 complex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하나의 형태만을 보여주고 있으며, 구조의 규명을 위해 image processing을 하였다. 이의 구조는 3대칭 중심에 core(혹은 hole)이 뚜렷이 존재하며 이를 중심으로 단백질이 모여 있는 형태를 보여 주고 있다. 또한 P93 complex는 가장자리에서 뚜렷한 형태를 보여주지 않은 부분, 즉 flexible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Gel filtration과 2차원 구조를 기초로 P93 complex는 24 homomultimer로 되어 있음을 추정하였다.

  • PDF

교통환경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 및 시사점 (차량배출량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A Review of Emissions Studies for Transportation Engineering)

  • 강종호;이청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18
    • /
    • 2007
  • 교통정책측면에서 국내의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는 그 중요성에 비해 구체화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교통환경 관련연구를 차량배출량 산정, 차량배출량감소 정책, 차량배출량감소 교통운영 관련연구로 구분하고 연구동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차량배출량 산정관련 연구는 차량의 주행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거시적인 산정방법위주의 연구에 그치고 있어, 미시적인 배출량산정 모형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차량배출량감소 정책관련 연구는 계량화된 기초자료를 축적하여 권역별 대기오염 수준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차량배출량감소 교통운영관련 연구는 환경영향의 정량적 평가와 ITS 및 신호시스템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법 개발을 통해 차량배출량을 최소화 시키는 교통신호운영전략의 수립이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최근 교통분야에서 환경의 고려가 중요시 되는바, 본 연구결과가 연구자들에게 최근 연구사항을 신속히 파악하여 연구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동천오지(洞天奧旨)"에 관한 소고(小考) (A Study on "Dongchunohji(洞天奧旨)")

  • 김기욱;박현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5-99
    • /
    • 2009
  • This book was completed in the 33rd year of Gang-hui-gapsul(康熙 甲戌) in the Cheong(淸) dynasty(1694), and was first inscribed in the 55th year of Geonryung(乾隆). In this first edition named 'Daechudangbon(大雅堂本)', his descendant Jinbonghui(陳鳳輝) wrote the postscript. There are also other editions such as 'Ga-gyeong-ganchwihyeondangbon(嘉慶間聚賢堂本)', 'Wimundanggeonsangbon(緯文堂巾箱本)' and 'Guangseo-ganseonseongdangbon(光緒間善成堂本)' Second, this book was called "Oe-gwabirok(外科秘錄)" and used the pen name 'Gibaekchunsasojeon(岐伯天師所傳)'. There are 16 volumes in total. The beginning of volume one, is a drawing of the 14 meridians. Volumes 1$\sim$4 are on the symptoms and treatment of abscesses and sores and ulcers[癰疽瘡瘍]. Volumes 5$\sim$13 are on surgery, dermatology and 156 diseases such as wounds by contusion, sharp objects and insects and beasts[跌撲, 金刃, 蟲獸傷]. Volumes 14$\sim$16 list the internal treatments, extern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nd surgery of sores and ulcers. Third, the book stressed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emphasized inner resolving[內消] being cautious about using medicine, and further deepened the syndrome differentiation and treatment[辨證施治] of sores and ulcers[瘡瘍] by dividing fire toxin(火毒) into Eumhwa and Yanghwa(陰火/陽火). Also, it established the cause of sores and ulcers development as the deficiency of Gi(氣) and blood[血] and focused especially on the liver and kidney's involvement in the process. It also asserted that the pathogen[邪] is the tip[標], so one should eliminate and reinforce[攻補] to balance it out. The sore and ulcer surgery[瘡瘍外科] part is mostly based on detoxifying[解毒] and resolving[消散]. Although the meridians were mentioned, they were not emphasized, while moxibustion treatment of sores and ulcers[瘡瘍] were thoroughly analyzed. Also, of all 550 formulas in this book, 90% are experience-based which frequently use Geum-eunhwa(金銀花), Pogong-yeong(蒲公英) and Jahwajijeong(紫花地丁). The usages are unique, and the formulas have good adaptability. The symptoms of the diseases are explained first, followed by according main and sub treatments.

  • PDF

Wetted Column 반응기를 이용한 폴리스티렌 열분해 반응속도론적 연구 (Reaction Kinetic Study on Pyrolysis of Waste Polystyrene using Wetted Column Reactor)

  • 유영길;윤병태;김성보;최명재;최청송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535-539
    • /
    • 2008
  • 폐EPS 열분해반응으로부터 원료인 스티렌모노머로 회수하는 열분해반응에서 오일의 생성 및 오일 중에 함유된 스티렌, 에틸벤젠, 알파메틸스티렌의 생성은 반응중에 생성되는 잔류물의 영향을 받으며 원하는 조건에서 반응의 진행이 어려우므로 반응중에 생성되는 잔류물의 영향을 받지않는 새로운 반응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 과정에서 주입되는 원료가 회분식반응기와 달리 반응 중 생성되는 잔류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일전한 온도가 유지되는 원료가 벽을 통해 흐르는 새로운 형태의 wetted-wall형 반응기를 사용하여 반응온도, 생성오일의 배출을 쉽게 하기 위해 주입되는 질소 유량 등의 변수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반응으로부터 선정된 최적조건에서 반응기 설계를 위한 반응속도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Yeast Prx의 스트레스의존 구조적 변화의 기작 (Mechanism of Stress-dependent Structural Change of Yeast Prx)

  • 강지선;정강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4호
    • /
    • pp.16-23
    • /
    • 2005
  • 티올특이성 산화환원 단백질인 peroxiredoxin (thiolspecific peroxiredoxin, Prx) 은 거의 모든 생명체에 존재하며, reactive oxgen species (ROS)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자현미경/image processing을 이용하여 세포의 방어기작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Prx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Yeast-Prx는 크게 세 가지의 다른 형태 즉, 구 형태, ring 형태의 구조와 비 규칙적인 적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산화/환원 상태에서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위해 DTT와 $H_2O_2$를 처리 후 전자현미경을 관찰 하였다. 환원상태의(DTT 처리 후) yeast-Prx는 많은 decamer 구조를 보여주는 반면, 산화상태에서는 ($H_2O_2$ 처리 후) dimer나 구 형태의 구조를 보여 주고 있다. 또한 dimeric subunit간의 ionic interaction이 yeast-Prx의 oligomerization에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제주도를 통과하는 태풍들의 바람 강도 특성

  • 한현준;정형빈;박자린;강현규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1-5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태풍 초기화된 수치모델과 AWS (Automatic Weather System) data를 이용하여 제주도를 통과하는 태풍들의 바람 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태풍이 내습했을 때 제주도 전 지역에서 동시 관측을 하기에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중규모 수치 모델인 Advanced Research WRF v3.0.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더욱 정확한 태풍 모의를 위해 Kwon and Cheong (2009)에 의해 개발된 정교한 태풍 초기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태풍 초기화된 자료에 의해 모의된 결과는 The Regional Specialized Meteorological Center (RSMC) Tokyo의 예보 오차와 비교했을 때 더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므로 태풍 초기화 기법의 사용은 본 연구에서 하고자하는 태풍들의 바람 강도 분석에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모의된 결과는 그에 상응하는 AWS data와의 joint distribution (Moskaitis, 2008) 분석을 통해 비교되었다. 태풍 경로에 따른 제주도 지역의강 풍을 고려하기 위해 각각 제주도의 오른쪽과 왼쪽을 지나가는 2003년 6호 태풍 'SOUDELOR'와 2004년 7호 태풍 'MINDULLE'를 선정하였다. 또한, 모의 결과로부터 제주도 지역에 태풍이 내습했을 때 강풍의 상대적인 크기의 비교를 위해 모의된 태풍의 최대 풍속을 수치 모의로 얻은 10m 바람장의 모든 격자점에 나누어 정규화 하였다. 이를 시간에 대해 평균하여 태풍이 제주도 지역을 통과하는 전체시간에 대한 상대적인 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치 모의 결과와 관측 자료와의 joint distribution 분석 결과, 바람의 크기와 경향이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강한 풍속과 약한 풍속이 나타나는 지역은 제주도 지역의 주풍향과 지형의 영향에 크게 좌우되었다. 정규화된 바람은 산악의 정상에서 강풍이 관측되고 주 풍향에 대해 풍상측과 풍하측에서 비교적 낮은 풍속이 관측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Hoinka (1985)의 산악 위에서의 바람의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하다. 서로 다른 경로로 통과하는 두 태풍의 모의 결과에서 제주도의 북서쪽 지역과 남동쪽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약한 풍속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해당지역에서는 태풍에 동반되는 강풍의 피해를 적게 입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RC-p 코드 성능분석 및 VHF 대역 해양 ad-hoc 무선 통신용 최적 CRC 코드의 결정 (Analysis of CRC-p Code Performance and Determination of Optimal CRC Code for VHF Band Maritime Ad-hoc Wireless Communication)

  • 차유강;정차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6A호
    • /
    • pp.438-44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CRC 코드의 성능분석을 기반으로 새로운 VHF 대역 해양 무선통신용 최적 CRC-p 코드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CRC 코드의 부호어 길이의 변화에 따른 미검출 오류확률과 최소해밍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즉 순회 해밍코드나 원시 BCH 코드의 쌍대코드가 최대장 코드가 되는 것을 이용해서 천이 레지스터에 의한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무게분포와 미검출 오류확률을 계산하는 방법과 MacWilliam의 항등식에 의한 최소해밍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VHF 대역 해양 무선통신 시스템의 전송 프레임의 구성과 주요 통신 파라미터의 규격을 제시하고, 기존의 연구된 다양한 CRC 코드의 생성다항식을 대상으로 미검출 오류확률과 최소해밍거리의 결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CRC-p 코드를 선정하고, 라이시안 해양 채널모델과 ${\pi}$/4-DQPSK 변복조기에 의한 비트오류율(BER)의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성능을 검증한다.

일부 중학교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관한 연구 (Study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ractice in Some Middle School Students)

  • 류정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83-588
    • /
    • 2011
  • 본 연구는 2010년 11월 충북지역 일부 중학생을 대상으로 흡연, 스트레스, 구강건강 및 분야별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를 파악하고자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학생의 33.8%가 흡연 경험이 있었으며, 처음 흡연시기와(24.1%) 습관적 흡연 시기가(10.4%)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에 가장 많아 흡연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2. 스트레스에 따른 중학생의 건강생활실천 수행정도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가 낮은 그룹이 구강건강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건강생활실천 수행정도가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구강건강상태도 스트레스가 낮은 그룹이 우식치아수도 적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구강환경관리능력(PHP)은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스트레스가 높은 그룹이 구강환경관리가 잘 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부모의 양육방식이 자율적일수록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5), 스트레스가 낮은 그룹이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5). 4. 중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의 견지에서 정신 건강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A WUSCHEL Homeobox Transcription Factor, OsWOX13, Enhances Drought Tolerance and Triggers Early Flowering in Rice

  • Minh-Thu, Pham-Thi;Kim, Joung Sug;Chae, Songhwa;Jun, Kyong Mi;Lee, Gang-Seob;Kim, Dong-Eun;Cheong, Jong-Joo;Song, Sang Ik;Nahm, Baek Hie;Kim, Yeon-Ki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8호
    • /
    • pp.781-798
    • /
    • 2018
  • Plants have evolved strategies to cope with drought stress by maximizing physiological capacity and adjusting developmental processes such as flowering time. The WOX13 orthologous group is the most conserved among the clade of WOX homeodomain-containing proteins and is found to function in both drought stress and flower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isolated and characterized OsWOX13 from rice. OsWOX13 was regulated spatially in vegetative organs but temporally in flowers and seeds. Overexpression of OsWOX13 (OsWOX13-ov) in rice under the rab21 promoter resulted in drought resistance and early flowering by 7-10 days. Screening of gene expression profiles in mature leaf and panicles of OsWOX13-ov showed a broad spectrum of effects on biological processes, such as abiotic and biotic stresses, exerting a cross-talk between responses. Protein binding microarray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analyses supported ATTGATTG as the putative cis-element binding of OsWOX13. OsDREB1A and OsDREB1F, drought stress response transcription factors, contain ATTGATTG motif(s) in their promoters and are preferentially expressed in OsWOX13-ov. In addition, Heading date 3a and OsMADS14, regulators in the flowering pathway and development, were enhanced in OsWOX13-ov. These results suggest that OsWOX13 mediates the stress response and early flowering and, thus, may be a regulator of genes involved in drought escape.

수(手), 구순(口脣), 신 진전증(振顫症) 환자(患者)의 치험(治驗) 1례(例) (One case treated Tremor(mouth, chin and hand))

  • 성강경;이상관;이소영;정상수;전영세;이시우;김요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77-482
    • /
    • 2001
  • Tremor refers to rhythmic shaking of a body part. Tremor is a symptom of many disorders, including Parkinson's disease, essential tremor, orthostatic tremor, cerebellar disease, peripheral neuropathy and alcohol withdrawal. Tremors may be classified as postural, rest or action tremors. Symptomatic treatment is tailored to the tremor type. Because Dansambohyul-tang has been used to treat patients differentiated with an insufficiency of the heart and the spleen(心脾兩虛) in oriental medicine, we treated a 78 year-old female patient who suffered from tremor in mouth, chin and hand and insomnia, with improvement of general condition, who was differentiated with an insufficiency of the heart and the spleen(心脾兩虛) with Dansambohyul-tang, herb complex. After 78 days of treatment with Dansambohyul-tang and some other herb complex, we observed improvement of tremor, insomnia and general condition So Dansambohyul-tang shows therapeutic effects on trem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