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disaster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7초

NaCl/H3PO4 내염화 처리가 라이오셀 섬유의 열 안정 및 내산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Cl/H3PO4 Flame Retardant Treatment on Lyocell Fiber for Thermal Stability and Anti-oxidation Properties)

  • 김은애;배병철;이철위;전영표;이영석;인세진;임지선
    • 공업화학
    • /
    • 제25권4호
    • /
    • pp.418-42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NaCl/$H_3PO_4$ 혼합수용액을 사용하여 라이오셀 섬유의 내염화 처리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열 안정성과 내산화성의 향상 효과를 고찰하였다. 라이오셀 섬유를 다양한 공정조건으로 내염화 처리한 후 열 안정성과 내산화성을 측정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내염화 처리된 라이오셀 섬유의 적분 열분해 온도(integral procedural decomposition temperature, IPDT)와 한계산소지수(limited oxygen index, LOI)는 약 23, 30% 증가하였으며,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 $E_a$) 값은 약 24%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H_3PO_4$와 NaCl가 연소시 에스테르화 반응, 탈수소화 반응 및 C-C결합의 분해반응으로 char 형성을 촉진하고 섬유 표면에 형성된 탄소 층을 형성함으로써, 고분자 수지 내부로 산소와 열 공급을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열 안정성과 내산화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NaCl/$H_3PO_4$ 혼합수용액을 이용한 내염화 처리 공정의 최적화된 인자 및 메커니즘을 제시하였고 열 안정성과 내산화성이 향상된 라이오셀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그래핀나노플레이트렛 및 재활용 페놀폼으로 제조된 목재기반 복합보드의 난연 및 열적 특성 (Flame Retardant and Thermal Properties of Wood-based Composite Boards Prepared by Graphene Nanoplatelet/Reused Phenolic Foam)

  • 한정인;김민지;송은지;김경훈;인세진;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30권3호
    • /
    • pp.371-378
    • /
    • 2019
  • 그래핀나노플레이트렛(GnP)이 목재기반 복합보드의 열적 및 난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5, 10, 및 20 wt% 등 여러 가지 GnP 함량으로 GnP/재활용 페놀폼(re-PF)/목재 복합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보드의 열적특성 및 난연성은 열중량분석(TGA) 및 한계산소지수(LOI) 시험을 통하여 각각 분석되었다. 복합보드의 열안정성은 GnP 첨가량에 따라 비례하게 증가하였고, 이 복합보드의 탄화수율(char yield)은 순수 목재보드 대비 최대 22%까지 증가하였다. 복합보드의 LOI 값은 순수 목재보드보다 약 4.8~7.8% 높았다. 또한, 재활용 페놀폼 및 GnP 첨가로 인하여 복합보드의 난연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열안정성이 높은 재활용 페놀폼과 GnP가 복합보드의 열분해 개시 온도를 지연시키고, 탄화층(char layer)을 보다 조밀하고 두껍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복합보드의 연소 지연효과를 이끌었다. 특히 탄소기반 재료로서 GnP는 탄화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탄화수율을 현저히 증가시켜 재활용 페놀폼에 비하여 난연성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다공성 탄소재료를 이용한 CO2 포집 및 CO2/CH4 분리 기술 (Carbon Capture and CO2/CH4 Separation Technique Using Porous Carbon Materials)

  • 조세호;배병철;유혜련;이영석
    • 공업화학
    • /
    • 제22권4호
    • /
    • pp.343-347
    • /
    • 2011
  •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는 엘니뇨, 라니냐와 같은 심각한 기상이변을 초래하고 있으며, 매년 그 피해가 심각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온실가스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CO_2$ 배출량을 감축하는 것이 매우 시급한 현안으로 부상되고 있다. 다공성 탄소는 고비표면적, 다양한 세공구조, 열 및 화학적 안정성, 재사용성과 같은 높은 유용성으로 인하여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기술에서 다른 여러 재료와 함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재료이다. 본고에서는 주로 많이 연구되고 있는 CCS 기술 및 연구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중 경제성과 실용성 흡착제로 각광을 받고 있는 다공성 탄소를 중심으로 배가스 중 $CO_2$ 흡착과 에너지 활용이 가능한 바이오 가스 분리에 대한 특성을 고찰하였다.

충주의 주민대피 대비물질 누출사고 시 사고대응·예방을 위한 피해영향거리 산정식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amage Impact Distance Calculation Formula for Accident Response and Prevention in case of Leakage of Substances Prepared for Evacuation of Residents in Chungju)

  • 전병한;김현섭;이명지;윤정현;정웅열;오승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03-71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주민대피 대비물질 16종 중 급성노출기준 AEGL값이 존재하는 13종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민대피 및 알림을 결정할 수 있도록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피해영향거리 산정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화학물질안전원에서는 2018년 사고대비물질 97종 중 물리·화학적 특성 및 독성, 발화성, 반응성, 사고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누출 시 사고 원점 인근의 주민에게 피해가 예상되는 물질 16종을 선정하여 주민대피 대비물질로 명명하였으며, 주민대피 대비물질의 화학사고 발생 시에는 실내대피 또는 주민소산 등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는 긴급재난문자 등 주민알림에 대비하여야 한다. 충청북도 충주시를 중심으로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을 사용하여 주민대피 대비물질 13종의 피해영향거리를 모델링 하였으며, 모델링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AEGL-2조건에서의 적합한 피해영향거리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모든 조건에서 결정계수 R2은 0.99 이상이었으며 최소 0.9921~최대 0.999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도출된 산정식으로 얻어진 피해영향거리와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 모델링으로 얻어진 피해영향거리 수치간의 상대표준편차를 비교하였으며, 실제 화학사고 대응 상황을 고려하여 최소 이격거리를 보정한 결과 0.58~5.97 % 범위로 조사되었다. 주민대피 대비물질 13종에 의한 누출사고 발생 시 연구에서 도출된 산정식을 사용하여 현장에서는 피해영향거리를 산정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는 주민대피 및 알림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화재로 인한 불화수소(HF)가스에 노출된 마우스의 혈액생화학분석 및 MDA분석을 통한 세포손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DA Analysis & blood chemical test for Mouse which were exposed HF Gases from Fire)

  • 조남욱;오은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8-66
    • /
    • 2013
  • 화재시 당면할 수 있는 위험성의 여러 인자 가운데 연소독성 영향은 피난 및 최종 생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화재 독성에 지금까지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치사 측면에 국한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에서 발생될 수 있고, 산업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불화수소(HF)가스를 대상으로 가스유해성시험방법(KS F 2271)을 수행하여 평균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하고, 이들 실험동물군의 내부 손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혈액분석 및 혈액생화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오염된 혈액속의 백혈구 내 임파구를 대상으로 독성물질에 의한 산화손상을 측정하기 위해 산화손상의 지표물질인 말론디알데하이드(MDA)를 분석하여 생체 손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가지 지표분석은 화재로 인한 연소독성가스의 생물학적 손상의 기초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일부 가축전염병 방역소독제품의 함유성분 및 유해물질 조사 (Investigation of Ingredients and Hazardous Substances in Disinfectants Used against COVID-19 and Some Livestock Diseases)

  • 김동현;임미영;이기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70-479
    • /
    • 2020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has caused the death of 740,000 people around the world as of August 12, 2020. Foot-and-Mouth Disease, Avian Influenza, and African Swine Fever are serious livestock diseases. Government agencies in Korea have provided ingredient information and usage instructions for disinfectants used to counter those infectious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emical ingredients in disinfectant products used against COVID-19 and certain livestock diseases. Methods: We collected information from the Korean government. The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and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provided information on disinfectant products used against COVID-19. The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of Korea provided information on efficacy-certified disinfectant products for use against selected livestock diseases. Health hazard and environmental hazard information on the ingredients in the disinfectants was collected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s Material Safety Data Sheets, and toxicity valu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 CompTox Chemicals Dashboard. Results: There were 76 COVID-19 disinfectant products in use, and the most common ingredients were benzalkonium chloride (51%), alkylbenzyl dimethyl ammonium (30%), and ethanol (3%). There were 216 livestock disease disinfectant products comprised of 89 acidic, 88 oxidic, 30 aldehydic, three alkaline, and six other products. Among the 49 active ingredients used in the disinfectants that were investigated, health and environmental hazard information was provided for many of them, but only 20 chemicals had official toxicological information. Conclusion: Since the disinfectants included numerous chemicals, an understanding of their chemical characteristics could be critical to prevent unintended human or environmental exposure.

Milk casein과 수용성 폴리우레탄 resin을 이용한 산업 안전 방재용 하이브리드 film의 합성 및 기계적 물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Hybrid Resins by Milk Casein and Waterborne Polyurethane for Safety Management of Industrial Disaster)

  • 이주엽;김기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56-36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밀크 카제인과 WPU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지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하이브리드 수지를 피혁(Full-Grain) 표면에 코팅을 하여 카제인이 하이브리드수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 하였다. 내용제성 테스트 데이터에 의하면 WPU 와 하이브리드 수지 양쪽 모두 높은 물성치를 나타내었다. 인장 강도 측정치에서는 WPU 단독 결과(2.130 $kg_f/mm^2$)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WPC-3(WPU 91: casein resin 9)의 경우가 가장 높은 인장력(2.191 $kg_f/mm^2$)을 나타내었다. 또한 내마모도 측정에서는 WPC-3(50.090 mg.loss)가 좋은 물성값을 나타내었다. 연실률의 경우 WPU(637 %) 단독 코팅물의 분석값이 가장 높은 637%로 알 수 있었다.

산업 재해의 안전관리를 위한 열경화에 의한 304 스테인레스 스틸에 대한 폴리우레탄 도료의 영향 (Effects of Polyurethane Coatings on 304 Stainless Steel Formed by Thermoset for Safety Management of Industrial Disaster)

  • 김기준;이주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17-322
    • /
    • 2012
  • 미세 조직은 SEM, FT-IR 스펙트라, 인장특성, 그리고 [NCO]/[OH]의 mole %, 입도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NATM에 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스테인레스같은 금속코팅에 더욱더 중요한 열경화 무용제 수지를 합성 하였다. 이 수지는 일반적 도료와 비교하여 매우 강도가 강하고 내구성이 매우 좋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IPDI,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 충전제로 구성된다. 폴리우레탄 화합물은 가교제가 첨가된 수지가 가교제가 첨가되지 않은 수지보다 물성이 우수함을 나타냈다. 견고한 폴리우레탄 도료의 기계적 특성은 [NCO]/[OH]와 가교제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였다. 합성한 도료의 물성 향상은 스테인레스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폴리우레탄 고분자 수지가 강구조물의 보수보강에 많은 응용이 기대된다.

밀폐계 가연성 목재분진의 폭발에너지와 산소소모율에 관한 연구 - Part I: 폭발에너지의 정량화 및 폭발효율 (A Study on the Oxygen Consumption Rate and Explosion Energy of Combustible Wood Dust in Confined System - Part I: Quantification of Explosion Energy and Explosive Efficiency)

  • 김윤석;이민철;이근원;이동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5-63
    • /
    • 2016
  • A dust explosion is a phenomenon of strong blast wave propagation involving destruction which results from dust pyrolysis and rapid oxidation in a confined space. There has been some research done to find individual explosion characteristics and common physical laws for various dust types. However, there has been insufficient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the heat of combustion of materials and the oxygen consumption energy about materials in respect of dust explosion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ust explosion characteristics of wood dust samples and oxygen consumption energy. Since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weight of suspended dust participating in explosions in dust explosion and mixtures are in fuel-rich conditions concentrations with equivalent ratios exceeding 1, methods for estimating explosion overpressure by applying oxygen consumption energy based on unit volume air at standard atmospheric pressure and temperature are proposed. In this study an oxygen consumption energy model for dust explosion is developed, and by applying this model to TNT equivalent model, initial explosion efficiency wa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standardized dust explosion experiments.

In silico docking of methyl isocyanate (MIC) and its hydrolytic product (1, 3-dimethylurea) shows significant interaction with DNA Methyltransferase 1 suggests cancer risk in Bhopal-Gas-Tragedy survivors

  • Khan, Inbesat;Senthilkumar, Chinnu Sugavanam;Upadhyay, Nisha;Singh, Hemant;Sachdeva, Meenu;Jatawa, Suresh Kumar;Tiwari, Archa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663-7670
    • /
    • 2015
  • DNA methyltransferase 1 (DNMT1) is a relatively large protein family responsible for maintenance of normal methylation, cell growth and survival in mammals. Toxic industrial chemical exposure associated methylation misregulation has been shown to have epigenetic influence. Such misregulation could effectively contribute to cance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Methyl isocyanate (MIC) is a noxious industrial chemical used extensively in the production of carbamate pesticides. We here applied an in silico molecular docking approach to study the interaction of MIC with diverse domains of DNMT1, to predict cancer risk in the Bhopal population exposed to MIC during 1984. For the first time,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of MIC and its hydrolytic product (1,3-dimethylurea) with DNMT1 interacting (such as DMAP1, RFTS, and CXXC) and catalytic (SAM, SAH, and Sinefungin) domains using computer simula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a potential interaction of MIC and 1,3-dimethylurea with these domains. Obviously, strong binding of MIC with DNMT1 interrupting normal methylation will lead to epigenetic alterations in the exposed humans. We suggest therefore that the MIC-exposed individuals surviving after 1984 disaster have excess risk of cancer, which can be attributed to alterations in their epigenome. Our findings will help in better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epigenetic mechanisms in humans exposed to 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