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byshev filter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3초

2.4GHz 대역에서의 응용을 위한 광대역 RF모듈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Broadband RF Module for 2.4GHz Band Applications)

  • 양두영;강봉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1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4GHz 대역에서의 응용을 위한 광대역 RF 모들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무선 주파 신호를 중간 주파수로 변환하기 위한 RF 모듈은 3단 증폭기로 이루어진 저잡음 증폭기(LNA), 단종단 게이트 믹서, 정합 회로, 헤어핀 라인 대역 통과 필터, 쳬비셰프 저역 통과 필터로 구성하였다. 저잡음 증폭기는 높은 이득과 안정도를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단종단 게이트 믹서는 높은 변환이득과 넓은 동작 영역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광대역 RF모듈의 해석에서는 복합화된 하모닉 밸런스드 기법을 사용하여 RF모듈의 동작 특성을 해석하였다. 설계된 RF 모듈은 55.2dB의 변환이득, 1.54dB의 낮은 잡음 특성, $-120{\sim}-60dBm$의 넓은 RF전력 동작 영역, -60dBm의 낮은 고조파 성분 그리고 RF, IF, LO포트 간에 우수한 분리 특성을 갖는다.

  • PDF

제로 위상을 갖는 광대역 저역통과 MAXFLAT FIR 필터 설계를 위한 새로운 폐쇄형 전달 함수 (A New Closed-form Transfer Fuction for the Design of Wideband Lowpass MAXFLAT FIR filters with Zero Phase)

  • 전준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7C호
    • /
    • pp.658-666
    • /
    • 2007
  • 일반적으로 기존의 선형 위상을 갖는 저역통과 MAXFLAT FIR 필터 설계 방법들은 폐쇄형 전달함수의 특성으로 인하여 하프 주파수 대역 $(0{\leq}w{\leq}{\pi}/2)$에서 이득 응답을 갖는다. 더욱이 주파수 영역에서 MAXFLAT과 선형 위상 특성에 도달하기 위해 추정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때문에 설계 필터들은 저지대역에서의 리플 에러, 완만한 차단감쇠, 위상 및 그룹지연 그리고 부정확한 차단주파수와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로 위상의 광대역 이득 응답을 갖는 MAXFLAT FIR 저역통과 필터 설계를 위한 새로운 수학적인 폐쇄형 전달함수를 제안하였다. 더욱이, 제안된 폐쇄형 전달함수는 임의의 차단 주파수를 포함한 MAXFLAT 조건들을 이용하여 새롭게 유도한 일반화한 공식들로 쉽게 실현됨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제안방식은 간단하고 빠른 설계에 적합하다. 결론적으로 제안된 설계 기술은 제로 위상과 광대역 이득 응답을 갖는 MAXFLAT FIR 저역통과 필터 실현이 가능하며, 설계된 필터들은 모두 250dB가 넘는 최대 차단 감쇠를 갖는 것을 알 수가 있다.

평탄한 통과 대역과 급격한 경사도를 위한 대역통과필터 설계에 관한 연구 (Design of bandpass filter for flat passband and sharp steepness)

  • 강두병;김성진;황정호;정찬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942_1943
    • /
    • 2009
  • 무선통신 시스템의 소형화와 저가격, 고품질, 다기능 재료 및 첨단 가공 기술과 연계된 필터설계 및 제작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무선통신 시스템은 주파수라는 한정된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규제나 방안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서 여러 가지 대책과 방안이 필요로 하고 있다. 그래서 필터의 성능개선을 위한 연구가 본질 적으로 중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체비세프(Chebyshev)필터와 버터워스(Butterworth)필터를 이용한 대역통과(band pass) 필터를 제안한다. 이 필터는 안정화된 통과대역과 빠른 주파수 응답을 얻기위해 6차 체비세프필터와 8차 버터워스필터를 결합 하였다. 측정된 대역통과 필터는, 차단 영역을 구분하는 스커트(skirt)특성은 날카롭게(sharp) 되었고 통과대역의 평탄도 또한 개선되어짐을 볼 수 있다. 제안된 필터의 중심주파수는 2.5GHz, 대역폭은 200MHz이고, 대역내 평탄도는 0.5dB, 경사도는 오차가 60dB일때 체비세프는 210MHz, 버터워스는 340MHz, 체비세프-버터워스는 290MHz가 되어 버터워스 보다 좋게 되었으며 극점의 배치도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 PDF

DR을 이용한 대역통과 필터 설계 (The Design of BPF with Dielectric Resonators)

  • 강은균;전형준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5호
    • /
    • pp.128-13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비유전율 38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S-Band 내 대역폭 20MHz를 갖는 대역통과 필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에 사용한 유전체 공진기는 $TE_{01{\delta}}$ 모드로 동작하며 중심이 관통된 링형이다. 대역통과 필터는 여섯 개의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6-Pole로 구성하였으며 비인접 결합을 통해 타원함수 응답을 구현하였다. 대역통과 필터는 대역폭 내에서 평균 0.97dB의 삽입손실과 25dB 이상의 반사손실을 나타내었다. 비인접 공진기 간의 결합특성으로 체비세프 응답 대역통과 필터에 비해 주파수 선택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었다.

개선된 주파수 상향 변환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dvanced Frequency Up Converter)

  • 이승대;신현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079-308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수동소자를 이용한 필터 설계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디지털 계단형 감쇠기를 이용하여 전력레벨 조절이 가능한 주파수 상향 변환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한 주파수 변환기는 저전력 및 저가의 제작비용을 실현하였으며 전력레벨의 조절이 가능하여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실험 결과, 중심 주파수 1, 200MHz에서 160MHz의 대역을 확보하였으며 이득은 평균 0.75dB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디지털 감쇠기를 통해 전력레벨을 10~-21.5dBm까지 조절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EEE 802.15.4g MR-OFDM SUN 표준을 지원하는 0.18-μm CMOS 기저대역 회로 설계에 관한 연구 (A 0.18-μm CMOS Baseband Circuits for the IEEE 802.15.4g MR-OFDM SUN Standard)

  • 배준우;김창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85-69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g MR-OFDM SUN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4개의 멀티채널 대역폭 및 최대 84 dB 전압이득을 제공할 수 있는 기저대역 수신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저대역 수신기는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저항 부궤환 구조의 가변 이득 증폭기 2개와 한 개의 Active-RC 5차 Chebyshev필터, 그리고 한 개의 DC-offset 제거회로로 구성된다. 제안하는 기저대역 수신기는 100 kHz, 200 kHz, 400 kHz, 그리고 600 kHz의 1 dB 다중 채널 차단 주파수를 지원하며, +7 dB에서 +84 dB까지 1 dB 단계로 전압 이득을 제공한다. 또한 제안하는 기저대역 수신기는 DC-offset 제거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직접 변환 수신기 구조에서 발생되는 DC-offset 문제를 회피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하는 수신기는 최대 차동 신호 $1.5V_{pp}$의 입력 신호를 받아들일 수 있으며, 5 kHz와 500 kHz에서 42 dB, 37.6 dB 노이즈 지수를 각각 제공한다. 제안하는 I/Q기저대역 수신기는 $0.18-{\mu}m$ CMOS 공정으로 설계되었으며, 1.8 V의 전압으로 부터 총 17 mW 전력을 소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