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portation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3초

Room Temperature Hydrogen Sensor

  • Cho, Hyoung Jin;Zhang, Peng;Seal, Sudipta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1.3-51.3
    • /
    • 2010
  • Due to the recent public awareness of global warming and sustainable economic growth,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alternative clean energy sources. Hydrogen is considered as a clean fuel for the next generation. One of the technical challenges related to the use of hydrogen is safe monitoring of the hydrogen leak during separation, purification and transportation. For detecting various gases, chemiresistor-type gas sensors have been widely studied and used due to their well-established detection scheme and low cost. However, it is known that many of them have the limited sensitivity and slow response time, when used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In our work, a sensor based on Schottky barriers at the electrode/sensing material interface showed promising results that can be utilized for developing fast and highly sensitive gas sensors. Our hydrogen senso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based on indium oxide (In2O3)-doped tin oxide (SnO2) semiconductor nanoparticles with platinum (Pt) nanoclusters in combination with interdigitated electrodes. The sensor showed the sensitivity as high as $10^7%$ (Rair/Rgas) and the detection limit as low as 30 ppm. The sensor characteristics could be obtained via optimized materials synthesis route and sensor electrode design. Not only the contribution of electrical resistance from the film itself but also the interfacial effect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overall sensor characteristics. This promises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sensor for monitoring hydrogen leak at room temperature.

  • PDF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가이드웨이의 동적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f Dynamic Responses of Urban Maglev Guideway)

  • 홍유나;정원석;여인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5-121
    • /
    • 2009
  • 자기부상열차는 전자기력으로 차량을 부상, 추진하는 시스템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주행성능이 우수해 장래의 대중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1989년 이후 자기부상열차와 그 시설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2년 인천에 도시형 자기부상열차가 실용화될 예정이다. 도시형자기부상열차가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자기부상 전용 가이드웨이의 성능이 확보되어야한다. 또한 자기부상열차는 나라마다 차량형식이 달라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절한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자기부상 실용화 사업에서 제안된 자기부상 가이드웨이를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도시형 자기부상 가이드웨이의 단면성능을 평가하고 충격계수를 산출하였다. 해석수행 결과 동적증폭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향후 자기부상 전용 가이드웨이 충격계수 설계기준 정립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고속철도 환경소음예측을 위한 계산 모델 제안 (A Proposal on Calculation Model to Predict Environmental Noise Prediction Emitted by High Speed Trains)

  • 조대승;조준호;김진형;장강석;윤제원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43-848
    • /
    • 2011
  •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railway for high speed trains up to 400 km/h are recently driven in Korea. High speed train is one of the environment-friendly fastest mass transportation means but its noise generated by rolling, traction and aerodynamic mechanism can cause public complaints of residents nearby railways. To cost-effectively prevent the troublesome noise in a railway planning stage, the rational railway noise prediction metho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ins as well as railway structures should be required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uthentic methods for Korean high speed trains such as KTX and KTX-II. In this study, we propose a framework of our own railway noise prediction model emitted by Korean high speed trains over 250 km/h based on the recent research results carried out in EU countries. The model considers railway sound power level using several point sources distributed in heights as well as tracks, whose detail speed- and frequency-dependen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high speed trains should be determined in near future by measurement or numerical analysis. The attenuation during propagation outdoors is calculated by the well-known ISO 9613-2 and auxiliary methods to consider undulated terrain and wind effect.

  • PDF

도심환경교통(Urban Air Mobility, UAM) 도입에 따른 소음 문제에 대한 시론 -UAM 소음의 특성과 잠재적 건강영향: 연구 방향 및 관리를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 (Perspectives on Noise Issues Arising from the Introduction of Urban Air Mobility (UAM)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of UAM Noise: Research Directions and Policy Considerations-)

  • 함승헌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1-82
    • /
    • 2024
  • Urban air mobility (UAM) is emerging as an innovative transportation solution for cities. However, the potential noise impact on urban life must be carefully examined. Continuous exposure to UAM noise, with its unique frequency characteristics and temporal variability, may adversely affect citizens' health by causing sleep disorder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ognitive impairmenet, particularly in children. NASA has formed a UAM Noise Working Group to study this issue comprehensively. In Korea,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AM demonstration project is expected to accelerate related research and development. Scientific analysis, including noise measurement, prediction modeling, and health impact assessment, must be prioritized. Measures to minimize noise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is evidence, such as optimizing flight modes, developing noise reduction technologies, and establishing new noise management standards. Transparency and social consensus are crucial throughout this process. Expert review and open communication with civil society are necessary to address related concerns. Sharing demonstration project result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UAM noise through digital twin simulations can help address public concerns and build social consensus. Proactively and scientifically tackling noise issues is essentia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ccessful integration of UAM into daily life.

주택바우처 수혜자의 주거지 특성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of Housing Voucher Program - in the Cas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김가연;홍희정;홍성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207-220
    • /
    • 2016
  • 서민층의 주거지원 정책이 기존의 사업자 중심의 대규모 공공임대주택 공급에서 수요자 중심의 주택바우처 제도로 전환되고 있다. 한국의 주택바우처는 2010년부터 서울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전국적으로 확대 실시하였다. 이러한 관심에 따라 주택바우처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논의가 많으나 실증 자료를 기반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서울시 주택바우처 수혜자의 주거지 선택요인을 찾아내고, 일반 회귀분석(OLS)과 지리적 가중회귀(GWR) 분석을 실시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주택바우처 수혜자들이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요인으로 단순노무직 일자리와 사회복지시설 접근성, 대중교통 접근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와 다른 결과로써 다음과 같은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한국형 주택바우처에 대한 목적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단순한 주거지원 뿐만 아니라 재취업을 위한 교육과 가족들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복지 서비스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도시 대중교통정보 이용 행동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Services Use)

  • 조창현;이백진;빈미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6-66
    • /
    • 2009
  • 정보의 양이 급격히 늘어나고, 유비쿼터스 도시 환경이 출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가 어떤 유형의 정보를 어떤 정보 전달 매체를 통해 이용하는가 하는 문제는 공공 및 상업적 교통정보 서비스 제공자에게 공통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어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수도권에서 수집한 대중교통 이용자의 대중교통 정보습득 및 정보전달 매체선택에 관한 자료분석의 첫 번째 결과물을 보고한다. 연구는 정보의 습득과 정보매체의 선택은 정보 이용의 의사결정 상황에 크게 의존한다는 가정에 기초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상황에 따라 가변적인 의사결정의 원리를 탐구하는 데 적합한 decision table 및 CHAID 분석을 응용하여 정보 습득과 정보매체 선택의 동질적 segment를 확인한다. 분석 결과, 정보 습득 및 정보매체 선택에 정보 이용 당시의 이용 교통수단 및 수행 활동 등 상황변수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더해 정보 습득에는 정보 이용 당시의 시각 역시 중요하며, 정보매체 선택에는 이용 정보 내용이 추가적으로 중요한 상황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는 동적 market segmentation에 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시간활동 접근법에 의한 면 보건요원의 업무량 분석 (Measuring Myun Health Worker's Performance by Time-Activity Approach)

  • 김한중;김문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0권1호
    • /
    • pp.34-43
    • /
    • 1977
  •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erformances of Myun Health Workers-the frontline workers in the Korean rural health care delivery system. The time-activity approach was mainly utilized as a measuring tool.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September 1976 with 35 Myun Health Workers at the Kang Wha County. The pretested time-activity approach sheets were filled out daily for one month by those Myun Health Workers themselves. Statistical means and variances of analysis were utilized for statistical method in comparing some activities and functions converged into time distribution Findings: 1. The workers's average working hours derived in this study is 8 hours and 48 minutes per day, which takes half an hour longer than normal schedule. 2. They spend 56% working hour for direct services, in other words, the main function, 22% for supportive function, and 22% for other activities, the unrelated health services. 3. Considering the total working hours of main function, out-center activity is far more than in-center services with the ratio of 70% to 30% respectively, which proves, therefore, that the main activity of the workers is home visiting. 4. It takes 20 minutes purely for home visiting and takes 14 minutes for transportation. 5. This research also indicates that such factors as characteristics of the health workers and myun influence in shaping the structures of the worker's function and activity: a. The workers whose working site is located in myun office spend 15% among total working hours in carring out official myun activities, which is incidentally unrelated to health services, while the health subcenter have no rooms for administrative jobs for myun office. b. The workers whose office is in health subcenter contribute much time in doing main function and those working in special project distribute more time in performing supportive function. c. The types of workers are another dominant factor to influence the components of worker's functions and activities. MCH workers and MPW I spend much time for manipulating main function. d. MPW II, whose function is reorganized by special project in 2 myuns shows different pattern of time distribution compared to the TB worker orFP worker in the ordinary area. MPW II distributes their time evenly in performing MCH program, T.B. Program, F.P. program and education activity, while the unipurpose workers engage in carring out only their dominant role. e. Another variables which involve the variation of the worker's activity can be illustrated with the variables like target population, size of myun and convenience for transportation, among which the latter two are remarkable factors in determining the time for out-center service.

  • PDF

지역 및 기능적 특성을 고려한 복합환승시설 유형분류 (Classification of Multi-modal Transfer Center Considering the Region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 김태균;이삼수;변완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89-98
    • /
    • 2013
  • 최근 도시의 정책적 패러다임이 지속가능한 도시성장관리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교통정책도 승용차중심에서 대중교통중심으로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복합환승센터의 도입은 매우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가에서 주도하는 국가기간망중심의 환승센터 뿐 만 아니라 광역 및 지역중심의 환승시설에 대한 도입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복합환승시설 도입을 위해 다양한 지역적 특성(영향권, 입지위치, 도시규모, 도시기능)과 환승시설기능(환승공간 이용방법, 연계교통수단)을 고려하여 66개의 사례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통계적인 유의성 검정을 통해 영향권-연계교통수단-도시기능조합과 도시규모-입지위치조합의 2가지 복합화된 유형을 제시하였다. 유형분류를 이용한 기존의 66개 사례지역을 정리해 본 결과 국내외 모두 비교적 규모가 큰 대도시를 중심으로 지역간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환승시설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복합환승시설에 대한 자료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질 경우 좀 더 신뢰성이 높은 유형분류의 결과를 기대해 본다.

도시형 실버타운의 입지특성 분석 연구 (Analysis of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Silver Towns)

  • 권지혜;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79-288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에서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노년층은, 과거와 달리 '액티브 시니어'로 불린다. 액티브 시니어는 높은 거주 비용에도 불구하고 도심의 실버타운에 거주하는 것을 선호하며 그들만의 새로운 도시콘텐츠를 만들어 간다. 액티브 시니어의 생활특성을 반영한 새로운 도시 콘텐츠는 그들의 거주지 선택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액티브 시니어의 도시생활 콘텐츠를 바탕으로 액티브 시니어의 주요 거주지로 선호되는 도시형 실버타운의 입지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액티브 시니어의 도시생활 콘텐츠를 고려한 도시형 실버타운 입지 특성으로는 1) 대중교통, 2) 주변간선도로, 3) 문화 쇼핑시설, 4) 의료시설, 5) 아파트 단지, 6) 자연적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자연적 환경보다는 주변의 의료시설 및 아파트 단지 및 문화 쇼핑 시설이 도시형 실버타운의 주요한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액티브 시니어의 새로운 도시 콘텐츠인 도심 실버타운의 입지선정뿐만 아니라 고령자 주택 관련 정책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복지시설별 이용객 특성과의 관계 분석: 대응분석을 중심으로 (A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characteristics by Forest Welfare Facilities: Focusing on Correspondence Analysis)

  • 김동훈;강병훈;이은지;강희지;이정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1-13
    • /
    • 2024
  • 본 연구는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 및 결합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022 산림복지 시설·공간 이용객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국립자연휴양림, 국립숲체원, 국가숲길, 국립치유의숲 등 4개 시설을 대상으로 범주형 자료분석인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차분석 결과, 산림복지시설별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교통수단,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은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대응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숲체원과 치유의숲이 연령대, 월평균 가구소득 등 인구통계학 특성에 따라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이용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숲길 이용객의 교통수단은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차이점을 보였으며, 숲체원은 공적인 성격의 단체방문 유형과 관련기관 및 시설 홈페이지 및 온라인 포털사이트로부터 정보 습득, 그리고 교육 및 학습·체험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과 연관성을 보이는 등 동반유형, 정보습득 경로, 방문목적이 그 외 산림복지시설과 구별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복지시설과 이용객 특성 간 연관성과 결합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대응분석을 통해 산림복지시설 이용객 자료 활용성의 범위를 확장하였다고 판단된다.